[include(틀:김해시의 일반버스)] || [[파일:김해8_20190617_020609155_1200.png|width=100%]] || [[파일:김해버스8(1).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김해시 CI_White.svg|width=25]] {{{#ffffff 김해시 시내일반버스 8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김해 8번 버스 노선도 V3.png|width=100%]]}}} || ||<-2> 기점 || 경상남도 김해시 삼계동(삼계차고지) ||<-2> 종점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동래역) || ||<|2> 종점[br]행 || 첫차 || 05:00 ||<|2> 기점[br]행 || 첫차 || 06:30 || || 막차 || 22:00 || 막차 || 23:30 || ||<-2><:>배차간격||<-4><:>20~25분(44회)|| ||<-2> 운수사명 || [[가야IBS]] ||<-2> 인가대수 || 11대 || ||<-2> 노선 ||<-4> 삼계차고지 - [[가야대학교]] - 매정공원 - 김해문화의전당 - 법원등기소입구 - 내동사거리 - 오복당서점 - 김해보건소 - 활천고개 - 선거관리위원회 - 자성공원 - [[인제대학교]] - 삼방시장 - [[한일여자고등학교(경남)|한일여고]] - 안동육거리 - [[지내역]] - [[불암역]] - 대사리 - [[평강역]] - 강서복지회관·우편집중국 - 대저119안전센터 - [[강서구청역(부산)|강서구청역]] - (→ 북구청 →) - [[구포역]] - [[덕천역]] - [[남산정역]] - 만덕성당 - [[제2만덕터널|{{{#aaa 제2만덕터널}}}]] - 미남교차로([[미남역]]) -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 (← 롯데백화점동래점[* 동래 방향 노선으로는 롯데백화점동래점에 갈 수 없으며, 동래역에서 모두 하차해야 한다. 삼계차고지행의 경우 승차 가능.]) || == 개요 == 가야IBS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으로, 김해시와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을 잇는다. 왕복 운행거리는 73.6km. [[https://bus.gimhae.go.kr/mobile/public_transport/bus_search_result2.php?line_id=1|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원래는 삼방동에서 출발해 동래까지만 가는 노선이었다. 당시 구간은 '삼방동 - [[인제대학교]] - 안동 - 불암동 - 구포 - 만덕 - 동래'였으며, 왕복 운행거리 58km에 2대가 일 11회 운행하였다. * [[1993년]] [[11월 10일]]에 2-1번(외동 - 칼아파트 - 구지로 - [[가락로(김해)|가락로]] - 김해시청 - 구포 - 만덕 - 동래 - 부산대. 왕복 33km, 4대, 20회)과 통합되어 '[[부원역|시외주차장]] - 가락로 - 구산백조아파트 - 구봉초등학교 - 내외동 - [[분성로]] - 활천고개 - 인제대학교 - 삼방동 - 안동 - 구포 - 부산대' 구간(왕복운행거리 74km)을 6대가 일 32회 운행하게 되었다. * [[1996년]] [[9월 1일]]에 요금이 인상되어 일반 400원, 중고생 270원, 초등생 150원이 되었고,[* 당시 부산 시내버스 요금과 동일했다. 다른 김해 버스는 일반 460원, 중고생 330원, 초등생 230원, 좌석 700원] 시계외요금은 일반 180원, 중고생 110원, 초등생 70원이 되었다. 시계외요금은 [[1997년]] [[3월 3일]] 폐지되었다. * [[1998년]] [[6월 27일]]에 '내동 - 외동 - 분성로 - 삼방동 - 안동 - 불암동 - 구포 - 만덕 - 부산대' 구간을 11대가 55회 운행하도록 변경되었다. * [[1999년]] [[11월 11일]]에 외동터미널을 경유하도록 변경되었으며, 운행횟수도 60회로 늘어났다. * [[2000년]] [[4월 29일]]에 13대가 65회 운행하는 걸로 증회되었다. * 2001년 개편 이후에는 김해여객터미널에서 출발해 내외동을 반시계방향으로 돌고 부산대로 가게 되었다. 당시 구간은 '외동터미널 - 연지공원 - 칼아파트 - [[금관대로]] - [[분성로]] - [[인제대학교]] - 삼방동 - 안동 - 불암동 - 대사리 - 낙동중학교 - 구포 - 만덕 - 동래 - 부산대로'였으며 내외동 구간을 제외하면 현재와 대동소이하며 9대가 20분 간격으로 54회 운행하는 걸로 감편되었다. * [[2003년]] [[1월 10일]]에 [[가야대학교]] 김해캠퍼스가 개교하면서 교통편 확충을 이유로 삼계차고지까지 연장되었다. * [[2015년]] [[11월 28일]]에 [[부산 버스 130|130번]]이 폐선되면서 김해와 부산대를 잇는 유일한 노선이 되었다. 15대 운행대수에 15~20분 간격으로 운행했다. * [[2018년]] [[8월 23일]]에 2대가 감차되고 운행횟수도 총 52회로 감회되었다. 또한 삼계차고지 막차가 22시 30분에서 22시로, 장전역 막차가 23시 55분에서 23시 35분으로 변경되었다.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79858|관련 게시물]] * 2020년 11월~12월에 21번, 21-1번 노선 증차 사유로 2대가 감차되었다. * 2021년 8월 20일부터 장전역에서 회차하던 노선을 동래롯데백화점 회차로 단축하여 운행한다. 또한 내외동 구간도 변경되었는데, 기존에는 금관대로와 외동사거리로 운행하였으나 변경 후 내외중앙로로 운행하게 되었다. 이번 노선변경으로 첫차도 40분 늦은 5시에 출발하며 4시 30분 김해보건소 중간 출발 첫차 또한 폐지되었다. * [[2021년]] [[12월 24일]]부터 주말, 공휴일에도 평일과 동일한 시간표로 운행한다. == 특징 == * 김해시 구간은 삼안동, 인제대학교, 어방동 등 [[굴곡 노선/버스|굴곡이 심한 반면]] 부산 구간은 대저안동네 구간을 제외하면 굴곡이 거의 없다.[* 신만덕을 거치지 않고 [[만덕대로]]를 바로 질주한다.] 거기다가 대저안동네는 1004번, 127번 부산방면을 제외하고는 김해시내~부산 노선이 모두 들리는 곳이다. *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방면으로는 그나마 배차간격이 준수하게 지켜지는 반면 삼계동 방면으로는 [[만덕2터널]] 가는 길에 차량지정체가 심각한 덕분에 배차간격이 제법 벌어지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그래도 [[구포역]] 이후로는 노선 선형이 대로변을 따라 상당히 직선화되어있기 때문에 배차간격이 터무니없는 수준까지 벌어지는 일은 거의 없다. 만약 정류장의 도착 예정시간이 40분을 넘기는 경우가 있다면 유령버스[* 운행은 하지만 BIS 정보를 발신하지 않는 버스, 김해 버스의 경우 [[제2만덕터널]]을 통과할 때 BIS 정보를 발신하지 못한다. 이 때문에 경우에 따라 간격이 벌어진 것처럼 보일 때가 있다.]의 존재를 의심할 만하다. --가끔가다 진짜로 저 간격인 경우가 있다.-- * 동래역에서 승객을 모두 하차시킨 후 동래역 인근에서 휴식한 후 롯데백화점 동래점 인근에서 회차한다. * [[동래구]]에서 8번을 타고 [[김해 버스 58, 59|58번, 59번]]이나 [[김해 버스 97, 98|97번, 98번]]으로 환승하면 [[창원대학교]]까지 1,500원만으로 갈 수 있고, [[김해 버스 140|140번]]으로 환승하면 [[마산시외버스터미널]]까지 1,450원만으로 갈 수 있다.[* 시외버스보다 훨씬 오래 걸리지만, 실제로 하굣길에 이렇게 통학하는 부산대 학생들이 몇몇 있었다.] * 2017년 기준 1일 승차수가 평일 기준 11,000명 수준인데 얼핏 승객 수로만 보면 흑자 노선인 것 같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고 1년에 적자가 수억 단위로 난다. 이유는 무지막지하게 긴 노선 길이로 인한 연료비와 차량 유지비, 인건비.[* 초장거리 노선이라 운행시간이 오래 걸리고 그에 따른 승무원들의 피로감 또한 가중되기 때문에 이 노선 운행을 기피하는 기사들이 많다.] 보기엔 수요가 많아보여도 선뜻 증차시키지 못하고 계속 감차하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현재는 승객 수가 더 줄었으며, 위의 이유로 인해 장기적으로 노선을 구포시장까지 단축하는 용역 안이 나온 바 있다. 그러나 승객들의 반발로 결국 동래역까지만 단축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결국 부산 버스 130번의 폐선 이후 마지막 남은 김해~부산대 노선은 2021년 8월 20일부로 완전히 사라졌다. 그래도 다행히 김해~동래 노선은 사라지지 않았다. * 김해 구간도 직선화시키면 어떻냐는 의견이 많지만 동김해 지역에서 내외동을 거쳐 구산동, 삼계동까지 이어주는 노선이라 [[필요악|김해 시내에서 이 노선을 이용하는 수요가 상당히 많아서 불가능하다.]][* 배차간격 단축을 위한 방안이 대저안동네 구간 직선화인데 130번 폐선 이후 동래 방면으로 가는 노선이 이거 하나뿐이라 변경이 불가능하다. 그나마 2021년 8월 20일부로 내외동 구간이 일부 변경되어 내외중앙로를 경유하게 되면서 내외동 구간은 굴곡이 줄어들었다.] 특히 [[부산 버스 128-1|128-1번]] 김해 구간 철수 이후에는 동김해 지역에서 부산으로 가는 버스가 이 노선과 구포까지만 가는 [[김해 버스 912|912번]]만 남게 되면서 이 노선의 중요성이 예전보다 커지게 되었다. 단, 동김해에서 구포로 넘어갈거면 배차도 길고 대저안동네를 거치는 이 버스보다 배차도 더 짧고 대저안동네 미경유에 양방향 대상지하차도 경유인 [[김해 버스 912|912번]]을 타는 것이 훨씬 낫다. * 험하게 운전하는 버스기사가 많기 때문에 탑승시 상당히 조심해야 한다. 입석으로 탄다면 반드시 손잡이나 봉을 잡자. * 늦은 심야시간이 되면, 기사들의 퇴근본능으로 인해 버스가 질주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옛날에는 부산대에서 김해 인제대학교까지 40분 안으로 주파하는 경우가 다반사였다. 특히 대저안동네 부근에서는 신호위반은 기본이고,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하고 승객이 있는가 확인하는 승무원들이 몇몇 있다. === 연간 일평균 승차량 === * 원 출처는 [[https://ptc.ts2020.kr/app/#/inside/use|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6년 ||<)> 11,249.57 ||<)> ㆍ|| || 2017년 ||<)> 11,254.71 ||<)> {{{#Red △ 5.14}}} || || 2021년 ||<)> 2,210.43 ||<)> ㆍ|| || 2022년 ||<)> 2,192.14 ||<)> {{{#blue ▽ 18.29}}} || === 노선 === ||<#3399ff> [[파일:김해시 CI_White.svg|width=25]] {{{#ffffff 김해시 시내일반버스 8번}}} || ||<^|1><#ffffff,#1f2023>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중앙대로(부산)|{{{#353535,#eee '''중앙대로'''}}}]] || || {{{-2 동래럭키아파트 ▼}}}||{{{-2 ▲ 동래역}}} || ||<-2> [[충렬대로|{{{#353535,#eee '''충렬대로'''}}}]] || || {{{-2 만덕교차로(만덕역) ▼}}}||{{{-2 ▲ 광혜병원(미남역)}}} || ||<-2> [[만덕대로|{{{#353535,#eee '''만덕대로'''}}}]] || || {{{-2 구포시장 ▼}}}||{{{-2 ▲ 덕천역}}} || ||<-2> [[낙동대로(부산)|{{{#353535,#eee '''낙동대로'''}}}]] || || {{{-2 강서구청역 ▼}}}||{{{-2 ▲ 북구청}}} || ||<-2> [[낙동북로|{{{#353535,#eee '''낙동북로'''}}}]] || || {{{-2 강서구청 ▼}}}||{{{-2 ▲ 강서구청역}}} || ||<-2> [[대저로|{{{#353535,#eee '''대저로'''}}}]] || || {{{-2 부산교도소 ▼}}}||{{{-2 ▲ 중리입구}}} || ||<-2> [[낙동북로|{{{#353535,#eee '''낙동북로'''}}}]] || || {{{-2 불암역 ▼}}}||{{{-2 ▲ 대사리1구}}} || ||<-2> [[김해대로|{{{#353535,#eee '''김해대로'''}}}]] || || {{{-2 지내동입구 ▼}}}||{{{-2 ▲ 지내역}}} || ||<-2> [[분성로|{{{#353535,#eee '''분성로'''}}}]] || || {{{-2 한일여고 ▼}}}||{{{-2 ▲ 안동육거리}}} || ||<-2> [[삼안로|{{{#353535,#eee '''삼안로'''}}}]] || || {{{-2 삼방동장애인복지관 ▼}}}||{{{-2 ▲ 영운초등학교}}} || ||<-2> [[인제로(김해)|{{{#353535,#eee '''인제로'''}}}]] || || {{{-2 SK브로드밴드 ▼}}}||{{{-2 ▲ 고려병원}}} || ||<-2> [[분성로|{{{#353535,#eee '''분성로'''}}}]] || || {{{-2 외동사거리 ▼}}}||{{{-2 ▲ 한신아파트}}} || ||<-2> [[금관대로|{{{#353535,#eee '''금관대로'''}}}]] || || {{{-2 학생체육관 ▼}}}||{{{-2 ▲ 내외동사거리}}} || ||<-2> [[금관대로|{{{#353535,#eee '''금관대로1368번길'''}}}]] || || {{{-2 백조아파트후문 ▼}}}||{{{-2 ▲ 김해문화의전당}}} || ||<-2> [[구산로(김해)|{{{#353535,#eee '''구산로42번길'''}}}]] || || {{{-2 구산로타리 ▼}}}||{{{-2 ▲ 구산신주공아파트}}} || ||<-2> [[가락로(김해)|{{{#353535,#eee '''가락로'''}}}]] || || {{{-2 매정공원 ▼}}}||{{{-2 ▲ 구지마을}}} || ||<-2> [[삼계로(김해)|{{{#353535,#eee '''삼계로'''}}}]] || || {{{-2 삼계축협 ▼}}}||{{{-2 ▲ 매정공원}}} || ||<-2> [[가야로(김해)|{{{#353535,#eee '''가야로'''}}}]] || || {{{-2 감분마을 ▼}}}||{{{-2 ▲ 삼계푸르지오1차}}} || ||<-2> [[생림대로|{{{#353535,#eee '''생림대로'''}}}]] || }}}}}}}}} || ||<#3399ff> || == 연계 철도역 == * [[파일:Busan1.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 [[파일:Busan2.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덕천역]] * [[파일:Busan3.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미남역]], [[만덕역]], [[남산정역]], [[숙등역]], 덕천역, [[구포역(도시철도)|구포역]], [[강서구청역]] * [[파일:Busan4.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4호선]]: 미남역, 동래역 * [[파일:BGL_logo.svg|width=17]] [[부산김해경전철]]: [[평강역]], [[대사역]], [[불암역]], [[지내역]], [[수로왕릉역]] * 일반철도: [[구포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 둘러보기 #== [include(틀:인제대학교 경유버스)] [include(틀:부산-김해간 버스)] [include(틀:구포시장환승센터 경유버스)] [[분류:김해시의 시내버스]][[분류:부산광역시를 경유하는 김해시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