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성주군|[[파일:성주군 CI.svg|width=40]]]] {{{+1 '''[[경상북도|{{{#005588 경상북도}}}]] [[성주군|{{{#005588 성주군수}}}]]'''}}} || || {{{#fff ''' 민선3-4기 ''' }}} || || {{{#fff ''' 민선5-6기 ''' }}} || || {{{#fff ''' 민선7-8기 ''' }}} || || 67대[br][[이창우(1938)|이창우]] || → || '''68-69대[br]김항곤''' || → || 70대[br][[이병환]] || ||<-2> '''{{{#fff {{{#ffffff 제68-69대 경상북도 성주군수}}}[br]{{{+1 김항곤}}}[br]金恒坤 | Kim Hang-g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항곤.jpg|width=100%]]}}}|| || '''{{{#ffffff 본관}}}''' ||[[김해 김씨]][* [[https://www.joongang.co.kr/article/22641609#home|#]]] || ||<|2> '''{{{#ffffff 출생}}}''' ||[[1951년]] [[10월 1일]] ([age(1951-10-01)]세) || ||[[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 용성리 운포마을[* [[http://m.seongjuro.co.kr/view.php?idx=20241|#]]] || || '''{{{#ffffff 학력}}}''' ||초전초등학교 {{{-2 (4학년 / 전학)}}}[br]→ [[대구교육대학교 대구부설초등학교]] {{{-2 ([[졸업]])}}}[br][[대구중학교]] {{{-2 ([[졸업]])}}}[br][[경북고등학교]] {{{-2 ([[졸업]])}}}[br][[영남대학교]] {{{-2 ([[경제학]] / [[학사]])}}}[br][[경북대학교/대학원|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 ([[행정학]][* 일반행정 전공] / [[석사]][*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8112722|韓國 警察의 改革 方向]](한국 경찰의 개혁 방향).])}}} || || '''{{{#ffffff 가족}}}''' ||아버지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baksj15&logNo=40193105782|김용대]](金容大), 숙부 [[김용철(1924)|김용철]][br]아내 김복숙, 슬하 2녀 || || '''{{{#ffffff 소속 정당}}}''' ||[include(틀:국민의힘)] || || '''{{{#ffffff 현직}}}''' ||정당인 || || '''{{{#ffffff 약력}}}''' ||청와대 경호실 경호원[br]대법원장 경호대장[br]경북 청도경찰서장[br]대구 성서경찰서장[br]경북 성주경찰서장[br]민선5·6기 경북 성주군수[br][[자유한국당]] 고령·성주·칠곡 당협위원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경찰공무원]] 출신 [[정치인]]이다. 전직 경상북도 성주[[군수]]이며 당적은 [[자유한국당]]→[[미래통합당]]이다. == 생애 == 1951년 10월 1일 [[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 용성리 운포마을에서 대구광역시 교육감을 지낸 아버지 김용대(金容大)의 아들로 태어났다. 초전초등학교 4학년 때 아버지의 부임지를 따라 경상북도 대구시(현 [[대구광역시]])로 이주하여 성장하였다. [[대구교육대학교 대구부설초등학교]], [[대구중학교]], [[경북고등학교]], [[영남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2001년 [[경북대학교/대학원|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일반행정 전공으로 [[행정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경찰공무원으로 근무하면서 [[청와대]] 대통령경호실(현 [[대통령경호처]])에서 근무하기도 하였다. 이후 경북청도[[경찰서장]], 대구성서경찰서장, 경북성주경찰서장 등을 지냈다.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경상북도]] 성주[[군수]]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경상북도]] 성주[[군수]]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6년 [[주한미군 THAAD 배치 논란]] 때는 [[THAAD]] 배치에 반대해서 [[혈서]]까지 썼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불출마를 선언했다. 2019년 1월 12일 자유한국당 [[고령군·성주군·칠곡군]] 당협위원장에 선임되었다. 그리고 21대 총선을 앞두고 이 지역에서 16~18대 국회의원을 지낸 [[이인기]] 전 의원과 대구 달서구 갑에서 19대 국회의원을 지낸 [[홍지만]] 전 의원, [[송언석]] 의원의 보좌관인 [[정희용]] 예비후보와 경선을 했지만 패배하였고 불출마를 하게 되었다.[* 재선 군수와 당협위원장의 관록이 있어 정치 초년생인 정희용보다 유리할 것이라고 평가되었으나 이전에는 가장 인구가 많은 [[칠곡군]]이 아니라 [[성주군]] 출신이었던 [[이완영]]이 [[고령군·성주군·칠곡군]] 지역구의 국회의원이었던만큼 [[성주군]] 출신이었던 김 전 군수에 대한 반발로 [[칠곡군]] 출신이던 [[정희용]] 경상북도 특보가 경선에서 승리하게 되었다.] == 논란 == 2016년 9월 7일에 김항곤 당시 성주군수가 "우리 군민들이 완전히 안보 불감증에 걸려버렸어. 위에 놈(북한)은 미쳐서 날뛰는데 지금 밑에서는 말이야, 이북 편드는 놈도 있고 희한한 나라가 돼 버렸어" 라면서 "특히 여자들이 정신이 나갔어요. 이번에 사드 관련해서 보니까… 정신이 나갔어. 군대를 안 갔다 와서 그런가. 전부 술집 하고 다방 하고 그런 것들인데…" 라고 말해서 논란이 된 적이 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333551?sid=102|#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47/0002126575?sid=102|#2]] == 선거이력 ==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10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 경북 성주군수 || [include(틀:한나라당)] || '''14,083 (55.24%)''' ||<|2> '''당선 (1위)''' || '''초선''' || || 2014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15,995 (65.32%)''' || '''재선''' || == 관련 문서 == * [[경북고등학교/동문]] == 둘러보기 == [include(틀:경상북도의 기초자치단체장(민선 5기))] [include(틀:경상북도의 기초자치단체장(민선 6기))]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1951년 출생]][[분류:성주군 출신 인물]][[분류:김해 김씨]][[분류:대한민국의 경찰공무원]][[분류:성주군수]][[분류:한나라당 기초자치단체장]][[분류:새누리당 기초자치단체장]][[분류:자유한국당 기초자치단체장]][[분류:경찰 출신 정치인]][[분류:대구교육대학교대구부설초등학교 출신]][[분류:경북고등학교 출신]][[분류:영남대학교 출신]][[분류:경북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국민의힘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