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김학수)] ||<-5> '''[[김학수]]''' || || [[김학수/2011|2011]] || → || '''2012''' || → || [[김학수/2013|2013]] || [목차] [clearfix] == 개인리그 성적 == === [[HOT6 GSL Season 1]] === 32강 D조에 속하게 되었다. 첫 상대는 코드 A결승전에 만났던 [[이원표]]였다. 그를 만나 2대0 으로 스윕하고 만난 상대는 공인된 프프전 최강자 [[송준혁]]. 2대1로 승리하고 조 1위로 진출하는데에 성공한다. 16강에서는 B조에 속하게 되었다. 첫 상대는 GSL November 8강전에서 만난 문성원. 첫경기는 가져갔지만 나머지 2경기는 내줘서 패자조에 속하게 되었다. 그곳에서 만난 상대는 [[김영진(프로게이머)|김영진]]. 2대1로 눌러서 최종전에 진출해 다시 [[문성원]]과 맞붙게 되었다. 하지만 2대1로 패배해 코드A로 떨어졌다. 코드A 3라운드에서 [[김남중(프로게이머)|김남중]]을 2대0으로 스윕하고 차기시즌 코드 S를 고수하였다. === [[HOT6 GSL Season 2]] === 32강 H조에 속하게 되었다. 첫상대 [[박지수(프로게이머)|박지수]]에게 2대 0으로 패배해 패자조에 들어가 [[최성훈(프로게이머)|최성훈]]을 만나게 된다. 그를 2대 0으로 스윕하고 만난 상대는 다시 박지수... 하지만 이번에는 자기가 받은만큼 돌려주는 데에 성공하여 조 2위로 16강에 진출하게 되었다. D조에 속하게 되었는데, 하필이면 [[장민철|프통령이자 공인받은 프프전의 최강자]], [[박현우(프로게이머)|StarTale의 에이스 카드]], [[조성주(프로게이머)|신예 테란으로 주목받는 자]]와 같은 조에 들어갔다. 그러나 여기서 간과한게 있는데 이때의 [[장민철]]은 이미 프통령과는 거리가 멀었고 김학수 본인의 프프전 승률이 무려 80%대였다. 하지만 첫상대인 박현우는 무려 100%라는 압도적인 승률 때문인지 빌드에서도 밀려 2대0으로 패해 패자조로 떨어지게 되었지만 상대는 [[장민철]]. 장민철을 2대1로 이겨 코드A로 떨어뜨리고 만난 상대는 [[조성주(프로게이머)|조성주]]. 1경기에서는 졌지만, 나머지 2경기를 가져가는 데에 성공하여 조2위로 8강에 진출하는데에 성공했다. 박현우와의 1세트에서 과감한 2가스 러쉬를 하면서 박현우의 타이밍을 꼬아버렸지만 어이없게도 그런 상황에서 당황하지 않고 박현우가 김학수에게 [[매너 파일런|매너 수정탑]]을 선사하면서 김학수도 타이밍이 꼬이게 된다. ~~20% 차이가 이건가~~ 8강 상대는 프테전에선 최강자이지만 타 종족전에서 약하다 평가받는 원이삭. 그리고 그런 원이삭한테 3:0으로 무난히 쓸려갔다 ~~못한다며...~~ 아무래도 원이삭과 한 팀인 [[박현우(프로게이머)|꼬부기]]때문일지도 === [[2012 무슈제이 GSL Season 3]] === 6월 20일 코드 S 32강 G조 [[김동환(프로게이머)|김동환]] 선수에게 0:2, [[조성주(프로게이머)|조성주]] 선수에게 1:2 패배를 당하며 조4위로 코드 A 1라운드에 내려간다. 7월 10일 코드 A 1라운드에서 [[송재경]] 선수에게 2:0 승리를 한다. 7월 18일 코드 A 2라운드에서 [[최병현(1992)|최병현]] 선수에게 0:2 패배를 당하며 다음 시즌 승강전을 기다리게 됐다. === [[옥션 스타리그 2012]] === 스타 2로 시작하는 스타리그의 듀얼토너먼트로 오래간만에 온게임넷에 나왔다. 첫경기를 이기고 승자전에 갔지만 상대가 [[정종현]]이었는지라 어려울거라 예상되었다...였는데 예상을 깨고 승리하여 시드자 제외 첫 스타2리그 진출자가 되었다!! 물론 로얄로드 후보가 되었지만, 브루드 워 시절부터 오랫동안 경험을 쌓은 선수라는 점을 생각해 보면 꽤나 늦은 온게임넷 개인리그 데뷔라고 생각~~[[임재덕]]이 있었지~~. B조에서 정명훈과 김성현을 꺾고 조 1위로 8강에 진출. 비 케스파 소속 선수중에서 유일하게 조 1위를 거둬버리는 바람에 8강 대진표에서 연맹 선수들과 대결하는 것이 확정. 상대는 [[박수호]]로 결정되었고, 3:1로 박수호에게 4강 진출을 허용하고 만다. 해운절의 재래를 두려워한 협회팬, 연맹팬 모두가 박수호가 이기기를 바랬고 결국... === [[2012 HOT6 GSL Season 4]] === 8월 31일 승강전에서 [[최연식(프로게이머)|최연식]], [[김동원(프로게이머)|김동원]], [[이승현(1997)|이승현]] 선수들에게 모두 패배를 하면서 코드 A로 내려가고만다. 10월 2일 [[코드 A]] 48강 1차전에서 [[조성호(프로게이머)|조성호]]를 만났으나 0:2 [[셧아웃]] 패배를 당하면서 [[코드 B]] 강등. 특히 파수기 2기를 뽑고 멀티할 것처럼 페이크를 치고 [[암흑 기사(스타크래프트 시리즈)|암흑 기사]] 기습을 시도했으나 '''정작 조성호가 정찰을 안 가서''' 페이크 자체가 무위가 되어버렸다. == 팀리그 성적 == === [[2012 GSTL Season 1]] === 1월 27일 10강 A조 예선전 1경기 [[SlayerS]]의 [[문성원]] 선수에게 패배한다. 2월 10일 10강 A조 패자부활전 [[ZeNEX]]의 [[김남중(프로게이머)|김남중]], [[박준성]] 선수들에게 승리하며 팀의 승리를 이끈다. 2월 17일 8강 A조 조별 리그 1경기 [[MVP(프로게임단)|MVP]]의 [[김경덕]] 선수에게 패배한다. 3월 17일 8강 A조 조별 리그 4경기 [[SlayerS]]의 [[김상준(프로게이머)|김상준]], [[최종환(프로게이머)|최종환]] 선수들에게 승리하나 다음선수인 [[김동원(프로게이머)|김동원]] 선수에게 패배한다. === [[2012 HOT6 GSTL Season 2]] === 6월 4일 12강 B조 예선전 2경기 [[TSL]]의 [[강동현]] 선수에게 패배한다. 6월 15일 8강 A조 조별 리그 1경기 [[Prime]]의 [[장현우(프로게이머)|장현우]] 선수에게 패배한다. 6월 29일 8강 A조 조별 리그 3경기 [[MVP(프로게임단)|MVP]]의 [[김경덕]] 선수에게 패배한다. 7월 13일 8강 [[SlayerS]]의 [[박진영(게임 해설가)|박진영]], [[정승일(1992)|정승일]] 선수들에게 승리하나 다음선수인 [[최종환(프로게이머)|최종환]] 선수에게 패배한다. === [[2012 HOT6 GSTL Season 3]] === 9월 8일 [[LG-IM]]의 [[최용화]] 선수에게 패배한다. 9월 21일 [[FXO.KR]]의 [[남기웅]] 선수에게 패배한다. [각주] [[분류:김학수/커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