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김학범호)] [include(틀: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아시안 게임)] [include(틀:김학범호)] ---- [include(틀: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남자 축구)] [목차] [clearfix] == 개요 == [[김학범호]]의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경기 기록에 관한 문서. == 25개국 조 편성 == 2018년 7월 5일 이뤄진 조추첨은 E조에서 키르키스스탄, 말레이시아, 바레인과 맞붙게 '''되었었다.''' 매우 무난한 조편성이라고 여겨졌으나 조편성 도중 UAE와 팔레스타인이 누락되는 실수가 있었음이 밝혀져 무효 처리되고 2018년 7월 23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재추첨이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인도 역시 마지막에 참가 신청을 한 것으로 알려져서 UAE, 팔레스타인, 인도의 3개국이 추가된 27개국으로 재추첨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문제는 그 마저도 일정대로 시행될 지 미지수일 정도로 대회 운영이 막장이라는 점이다. [[https://m.sport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144&aid=0000564248|#]] 결국 김학범 전 감독의 예상대로 23일이 아닌 한국 시각으로 25일 오후 4시에 조추첨이 진행되었다. 인도는 끝내 참가하지 못하게 되어 26개국으로 진행되며 B조와 E조가 5개국으로 한 조를 이루게 되며 나머지 4개조는 4개국으로 구성되는가 했으나. [[https://m.sport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144&aid=0000564365|#]] 이마저도 뒤집어지며 한국은 원래 조편성을 유지하고 새로 참가하는 2개국만 기존 조에 넣는 것으로 결정되며 마지막까지 막장 운영을 보여주었다. [[https://m.sport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421&aid=0003500944|#]] 결국 UAE가 한국이 속한 조에 들어와서 일정이 꼬이게 되었다. 친선경기, 연습 등등 대표팀 일정이 완전히 박살나버린 것. 2018년 8월 9일로 예정된 이라크 평가전은 취소되었고 원래 2018년 8월 10일로 예정되었던 대표팀 출국 일정도 변경하려는 움직임이 보이고 있다. 일정이 얼마나 막장이 되었냐면... 당초 14일을 첫경기로 예상해서 9일에 평가전을 잡고 10일 출국 계획을 세웠으나, 주최측의 막장 운영으로 12일 바레인전, 15일 UAE전, 17일 말레이시아전, 20일 키르기즈스탄전을 치뤄야 한다. 16강에 진출해도 16강전이 23일이라는 미친 일정이 기다리고 있다. '''11일 동안 5경기'''를 치뤄야하는 것이다. 월드컵이 끝나고 프리시즌을 뛰고 있는 손흥민은 개막전은 뛰고 와야하므로 체력 문제가 더욱 커지게 되었다. 게다가 이라크 U-16 대표팀이 나이조작 사건에 걸렸는데 이 때문에 아겜 불참 선언 가능성도 있다고 한다. 이렇게되면 C조는 조별리그를 2경기만 뛰고 A조와 E조는 4경기나 뛰면서 형평성에 어긋나기 때문에 조추첨을 또 할 수도 있다고 한다. [[https://m.sport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005&aid=0001119147|#]] 그리고 UAE가 추첨으로 25강 C조로 가면서 한국은 정상적으로 본선 조별리그 3경기를 치르게 됐다. == 선수단 == * '''굵은 글씨'''는 __[[와일드카드(스포츠)#s-4.1|와일드카드]]__[* 만 23세 초과선수.]이다. * 이상 병역특례자 명단. ||<-8>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축구|[[파일: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로고.svg|width=30]] {{{#114c85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선수단 명단'''}}}]] || || {{{#fff '''No.'''}}} || {{{#fff '''포지션'''}}} || {{{#fff '''한글 표기'''}}} || {{{#fff '''영문 표기'''}}} || {{{#fff '''소속 리그'''}}} || {{{#fff '''소속 클럽'''}}} || {{{#fff '''U-23 출전(득점)'''}}}[*A 골키퍼인 경우, 실점.] || {{{#fff '''비고[br](병역)'''}}} || || {{{#000 '''1'''}}} ||<|2> [[골키퍼|{{{#000 '''GK'''}}}]] || [[송범근]] || '''B'''um '''K'''eun '''SONG''' ||[[K리그1|[[파일:K리그1 로고(2018~2020).svg|width=20]] K리그1]] ||[[전북 현대 모터스|[[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width=20]] 전북 현대 모터스]] || 3(-2) || 미필 || || {{{#000 '''18'''}}} || '''[[조현우]]''' || '''H'''yun '''W'''oo '''CHO''' ||[[K리그1|[[파일:K리그1 로고(2018~2020).svg|width=20]] K리그1]] ||[[대구 FC|[[파일:대구 FC 엠블럼.svg|width=20]] 대구 FC]] || 2(-4) || 미필 || || {{{#fff '''2'''}}} ||<|7> [[수비수(축구)|{{{#fff '''DF'''}}}]] || [[황현수]] || '''H'''yun '''S'''u '''HWANG''' ||[[K리그1|[[파일:K리그1 로고(2018~2020).svg|width=20]] K리그1]] ||[[FC 서울|[[파일:FC서울 엠블럼(백색배경).svg|width=20]] FC 서울]] || 7(1) || 미필 || || {{{#fff '''3'''}}} || [[김민재]] || '''M'''in '''J'''ae '''KIM''' ||[[K리그1|[[파일:K리그1 로고(2018~2020).svg|width=20]] K리그1]] ||[[전북 현대 모터스|[[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width=20]] 전북 현대 모터스]] || 2(0) || 미필 || || {{{#fff '''4'''}}} || [[김진야]] || '''J'''in '''Y'''a '''KIM''' ||[[K리그1|[[파일:K리그1 로고(2018~2020).svg|width=20]] K리그1]] ||[[인천 유나이티드 FC|[[파일:인천 유나이티드 FC 로고.svg|width=20]] 인천 유나이티드]] || 2(0) || 미필 || || {{{#fff '''5'''}}} || [[정태욱]] || '''T'''ae '''W'''ook '''JEONG''' ||[[K리그1|[[파일:K리그1 로고(2018~2020).svg|width=20]] K리그1]] ||[[제주 유나이티드 FC|[[파일:제주 유나이티드 FC 로고.svg|width=20]] 제주 유나이티드]] || 3(1) || 미필 || || {{{#fff '''6'''}}} || [[김문환]] || '''M'''oon '''H'''wan '''KIM''' ||[[K리그2|[[파일:K리그2 로고(2018~2020).svg|width=20]] K리그2]] ||[[부산 아이파크|[[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width=20]] 부산 아이파크]] || 6(0) || 미필 || || {{{#fff '''12'''}}} || [[이시영(축구선수)|이시영]] || '''S'''i '''Y'''oung '''LEE''' ||[[K리그2|[[파일:K리그2 로고(2018~2020).svg|width=20]] K리그2]] ||[[성남 FC|[[파일:성남 FC 엠블럼.svg|width=20]] 성남 FC]] || 1(0) || 미필 || || {{{#fff '''13'''}}} || [[조유민]] || '''Y'''u '''M'''in '''CHO''' ||[[K리그2|[[파일:K리그2 로고(2018~2020).svg|width=20]] K리그2]] ||[[수원 FC|[[파일:수원 FC 로고.svg|width=20]] 수원 FC]] || 5(0) || 미필 || || {{{#000 '''8'''}}} ||<|6> [[미드필더|{{{#000 '''MF'''}}}]] || [[이진현]] || '''J'''in '''H'''yun '''LEE''' ||[[K리그1|[[파일:K리그1 로고(2018~2020).svg|width=20]] K리그1]] ||[[포항 스틸러스|[[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width=20]] 포항 스틸러스]] || 4(0) || 미필 || || {{{#000 '''10'''}}} || [[황인범]] || '''I'''n '''B'''eom '''HWANG''' ||[[K리그2|[[파일:K리그2 로고(2018~2020).svg|width=20]] K리그2]] ||[[아산 무궁화|[[파일:아산 무궁화 FC 엠블럼.svg|width=20]] 아산 무궁화]] || 4(2) || 복무중 || || {{{#000 '''14'''}}} || [[장윤호]] || '''Y'''oon '''H'''o '''JANG''' ||[[K리그1|[[파일:K리그1 로고(2018~2020).svg|width=20]] K리그1]] ||[[전북 현대 모터스|[[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width=20]] 전북 현대 모터스]] || 6(0) || 미필 || || {{{#000 '''15'''}}} || [[이승모]] || '''S'''eung '''M'''o '''LEE''' ||[[K리그2|[[파일:K리그2 로고(2018~2020).svg|width=20]] K리그2]] ||[[광주 FC|[[파일:광주 FC 엠블럼.svg|width=20]] 광주 FC]] || 2(0) || 미필 || || {{{#000 '''19'''}}} || [[김건웅(1997)|김건웅]] || '''G'''un '''W'''oong '''KIM''' ||[[K리그1|[[파일:K리그1 로고(2018~2020).svg|width=20]] K리그1]] ||[[울산 현대|[[파일:울산 현대 엠블럼.svg|width=20]] 울산 현대]] || 1(0) || 미필 || || {{{#000 '''20'''}}} || [[김정민(1999)|김정민]] || '''J'''eong '''M'''in '''KIM''' ||[[오스트리아 2. 리가|[[파일:아드미랄 오스트리아 2. 리가 로고.svg|width=20]] 오스트리아 2. 리가]] ||[[FC 리퍼링|[[파일:FC 리퍼링 로고.svg|width=20]] FC 리퍼링]] || 1(0) || 미필 || || {{{#fff '''7'''}}} ||<|5> [[공격수|{{{#fff '''FW'''}}}]] || '''[[손흥민]]''' [[파일:주장 아이콘.svg|height=15]] || '''H'''eung '''M'''in '''SON''' ||[[프리미어 리그|[[파일:프리미어 리그 심볼.svg|width=20]] 프리미어 리그]] ||[[토트넘 홋스퍼 FC|[[파일:토트넘 홋스퍼 FC 로고.svg|width=20]] 토트넘 홋스퍼 FC]] || 4(2) || 미필 || || {{{#fff '''9'''}}} || [[황희찬]] || '''H'''ee '''C'''han '''HWANG'''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파일:아드미랄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로고.svg|width=20]]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FC 레드불 잘츠부르크|[[파일:FC 레드불 잘츠부르크 로고.svg|width=20]] FC 레드불 잘츠부르크]] || 16(2) || 미필 || || {{{#fff '''11'''}}} || [[나상호]] || '''S'''ang '''H'''o '''NA''' ||[[K리그2|[[파일:K리그2 로고(2018~2020).svg|width=20]] K리그2]] ||[[광주 FC|[[파일:광주 FC 엠블럼.svg|width=20]] 광주 FC]] || 1(0) || 미필 || || {{{#fff '''16'''}}} || '''[[황의조]]''' || '''U'''i '''J'''o '''HWANG''' ||[[J1리그|[[파일:J1리그 엠블럼.svg|width=20]] J1리그]] ||[[감바 오사카|[[파일:감바 오사카 엠블럼(1997~2021).svg|width=20]] 감바 오사카]] || 15(5) || 미필 || || {{{#fff '''17'''}}} || [[이승우]] || '''S'''eung '''W'''oo '''LEE''' ||[[세리에 B|[[파일:세리에 B 로고.svg|width=20]] 세리에 B]] ||[[엘라스 베로나 FC|[[파일:엘라스 베로나 FC 로고(1999~2020).svg|width=20]] 엘라스 베로나 FC]] || -(-) || 미필 || ||<-8> {{{#fff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김학범|{{{#fff 김학범}}}]] (KIM Hak-Bum)'''}}}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나이키|[[파일:나이키 로고 화이트.svg|align=left&width=50]]]][[대한축구협회|[[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2002~2019).svg|align=right&width=40]]]]{{{-1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ffffff '''대한민국 아시안 게임 축구 국가대표팀'''}}}]]}}}[br]{{{+1 {{{#ffffff '''김학범호'''}}}}}}[br]{{{-2 {{{#ffffff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축구|{{{#ffffff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 최종 명단}}}]])}}}}}}}}} || || {{{#ffffff {{{#ffffff 1}}} [[송범근|{{{#dec135 송범근}}}]] · {{{#ffffff 2}}} [[황현수|{{{#ff2e3c 황현수}}}]] · {{{#ffffff 3}}} [[김민재|{{{#ff2e3c 김민재}}}]] · {{{#ffffff 4}}} [[김진야|{{{#ff2e3c 김진야}}}]] · {{{#ffffff 5}}} [[정태욱|{{{#ff2e3c 정태욱}}}]] · {{{#ffffff 6}}} [[김문환|{{{#ff2e3c 김문환}}}]] · {{{#ffffff 7}}} [[손흥민|{{{#ff2e3c 손흥민}}}]]{{{-2 C}}} [br] {{{#ffffff 8}}} [[이진현|{{{#ff2e3c 이진현}}}]] · {{{#ffffff 9}}} [[황희찬|{{{#ff2e3c 황희찬}}}]] · {{{#ffffff 10}}} [[황인범|{{{#ff2e3c 황인범}}}]] · {{{#ffffff 11}}} [[나상호|{{{#ff2e3c 나상호}}}]] · {{{#ffffff 12}}} [[이시영(축구선수)|{{{#ff2e3c 이시영}}}]] · {{{#ffffff 13}}} [[조유민|{{{#ff2e3c 조유민}}}]] · {{{#ffffff 14}}} [[장윤호|{{{#ff2e3c 장윤호}}}]] [br] {{{#ffffff 15}}} [[이승모|{{{#ff2e3c 이승모}}}]] · {{{#ffffff 16}}} [[황의조|{{{#ff2e3c 황의조}}}]] · {{{#ffffff 17}}} [[이승우|{{{#ff2e3c 이승우}}}]] · {{{#ffffff 18}}} [[조현우|{{{#dec135 조현우}}}]] · {{{#ffffff 19}}} [[김건웅(1997)|{{{#ff2e3c 김건웅}}}]] · {{{#ffffff 20}}} [[김정민(1999)|{{{#ff2e3c 김정민}}}]] }}}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3F3F; font-size: 0.8em" [[코치(스포츠)|{{{#ffffff 감독}}}]]}}}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20]]]] [[김학범|{{{#ffffff 김학범}}}]][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3F3F; font-size: .8em" [[코치(스포츠)|{{{#ffffff 수석코치}}}]]}}}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20]]]] [[이민성|{{{#ffffff 이민성}}}]][br]{{{-1 {{{#ffffff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3F3F; font-size: .8em" {{{#ffffff 스태프}}}}}}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6]]]] [[김은중|{{{#ffffff 김은중}}}]]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6]]]] [[차상광|{{{#ffffff 차상광}}}]]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6]]]] [[김찬빈|{{{#ffffff 김찬빈}}}]]}}}}}} || ---- 2018년 7월 16일 월요일, [[http://www.kfa.or.kr/news/news_view.asp?BoardNo=15171&Query=Gubun%3D11301|선수 명단이 최종 확정]]되었다. 해외파의 합류 일정과 경기 일정 조정으로 2018년 8월 9일 예정되었던 이라크와의 평가전이 취소되고 조별리그 시작 전까지 대표팀 전원 소집이 불가능해 보였으나 최종적으로 경기 일정이 정상화되고 [[황의조]]가 6일, [[황희찬]], 이승우가 8일, [[손흥민]]이 13일 합류하는 걸로 결정되면서 첫 경기인 15일 바레인전까지는 대표팀 전원이 합류할 수 있게 되었다. 손흥민이 대표팀 주장을 맡는다. === 선수단 선발 논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학범호/선수단 선발 논란)] ==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축구/남자 조별리그 D조~F조|25강 본선 E조]] == === [[바레인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바레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width=30]]]] [[김학범호/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바레인전|조별리그 바레인전 6 : 0 승]] === ||<-3>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축구/남자 조별리그 D조~F조|[[파일: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로고.svg|width=50]][br]{{{#1f2954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E조 1차전'''}}}]][br]{{{#871996 '''2018년 8월 15일 수요일 19:00 (UTC+7)'''}}}[* 대한민국 시각 기준 2018년 8월 15일 수요일 21:00.] || ||<-3> {{{#ffffff '''잘락 하루팟 스타디움 {{{#ffffff ([[인도네시아|{{{#ffffff '''인도네시아'''}}}]], [[반둥|{{{#ffffff '''반둥)'''}}}]]}}}'''}}} || ||<-3> {{{#ffffff '''주심: [[일본|[[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width=30]]]] 오카베 다쿠토'''}}} || ||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2002~2019) 블랙.svg|height=100]] ||<|2> {{{+5 {{{#000000 '''6 : 0'''}}}}}}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ce1126 5%, #fff 5%, #fff 30%, #ce1126 30%, #fff 50%)" [[파일:바레인 대표팀 로고.png|height=100]]}}} || ||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width=30]] {{{#ffffff '''대한민국'''}}}]] || [[바레인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바레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width=30]] {{{#000000 '''바레인'''}}}]] || || {{{#000000 '''17', 36', 43' [[황의조|{{{#000000 '''황의조'''}}}]][br]23' [[김진야|{{{#000000 '''김진야'''}}}]][br]41' [[나상호|{{{#000000 '''나상호'''}}}]][br]90+3' [[프리킥|{{{#000000 '''(FK)'''}}}]] [[황희찬|{{{#000000 '''황희찬'''}}}]]'''}}}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 ||<-3> {{{#000000 '''[[https://m.youtube.com/watch?v=k1RkbcC7POA&pp=ygUQ7ZWc6rWtIOuwlOugiOyduA%3D%3D|{{{#000000 '''경기 다시 보기'''}}}]] | [[https://m.youtube.com/watch?v=3-Jo9DCJPME&pp=ygUQ7ZWc6rWtIOuwlOugiOyduA%3D%3D|{{{#000000 '''경기 하이라이트'''}}}]]'''}}} || ||<-3> {{{#000000 '''경기 최우수 선수: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width=30]]]]'''}}}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학범호/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바레인전)] === [[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30]]]] [[김학범호/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말레이시아전|조별리그 말레이시아전 1 : 2 패]] === ||<-3>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축구/남자 조별리그 D조~F조|[[파일: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로고.svg|width=50]][br]{{{#1f2954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E조 2차전'''}}}]][br]{{{#871996 '''2018년 8월 17일 금요일 19:00 (UTC+7)'''}}}[* 대한민국 시각 기준 2018년 8월 17일 금요일 21:00.] || ||<-3> {{{#ffffff '''잘락 하루팟 스타디움 {{{#ffffff ([[인도네시아|{{{#ffffff '''인도네시아'''}}}]], [[반둥|{{{#ffffff '''반둥)'''}}}]]}}}'''}}} || ||<-3> {{{#ffffff '''주심: [[사우디아라비아|[[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30]]]] 모하메드 알호이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11.1%, #eee 11.1%, #eee 22.2%, #fff 22.2%, #fff 33.3%, #eee 33.3%, #eee 44.4%, #fff 44.4%, #fff 55.5%, #eee 55.5%, #eee 66.6%, #fff 66.6%, #fff 77.7%, #eee 77.7%, #eee 88.8%, #fff 88.8%)" [[파일: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100]]}}} ||<|2> {{{+5 {{{#000000 '''2 : 1'''}}}}}} ||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2002~2019) 블랙.svg|height=100]] || || [[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30]] {{{#010066 '''말레이시아'''}}}]] ||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width=30]] {{{#ffffff '''대한민국'''}}}]] || || {{{#000000 '''4', 45' [[사파위 라시드|{{{#000000 '''사파위 라시드'''}}}]]'''}}}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000000 '''87' [[황의조|{{{#000000 '''황의조'''}}}]]'''}}} || ||<-3> {{{#000000 '''[[https://m.youtube.com/watch?v=h-xR9gOgjzE|{{{#000000 '''경기 다시 보기'''}}}]] | [[https://m.youtube.com/watch?v=EEBqj-lvrBY&pp=ygUW66eQ66CI7J207Iuc7JWEIO2VnOq1rQ%3D%3D|{{{#000000 '''경기 하이라이트'''}}}]]'''}}} || ||<-3> {{{#000000 '''경기 최우수 선수: [[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30]]]]'''}}}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학범호/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말레이시아전)] ---- 2018년 8월 17일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말레이시아와 E조 조별리그 두 번째 경기에서 벌어진 '''충격적 패배.''' 그 뒤 한국이 이 경기를 [[액땜]]으로서 반면교사삼아 남은 경기들을 차례로 이기면서 성공적으로 금메달을 얻었지만, 이 경기만 놓고 보면 재평가의 여지가 없는 졸전이며, 향후에도 [[김학범호]]가 반면교사로 기억해야 할 경기다. 이 경기를 '''말레이 쇼크'''라고 해도 이상할 것은 없다. 첫 번째 경기에서 바레인과 상대로 6:0이라는 대승을 거두고 기분 좋게 출발한 대표팀은 두 번째 경기인 말레이시아와의 경기에서 일찌감치 조 1위로 16강에 진출하겠다는 마음으로 경기에 임했다. 말레이시아의 피파 랭킹은 2018년 8월 171위로 한국과의 랭킹 차이는 약 3배로 이미 승부는 결정이 난 상태였다고 봐도 충분했다. 말레이시아는 1960년대~1970년대까진 동아시아의 축구 강호로 한국과 대등했고[* 1976년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에서 한국이 말레이시아를 상대로 6분 남기고 1:4로 뒤진 상황에서 [[차범근]]이 '''혼자 해트트릭을 몰아쳐 동점으로 끝난 경기'''가 유명하다.] 한국의 전력이 강해진 1980년대에도 홈에서는 한국을 이길 수 있었을 정도였다. 당장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최종 예선에서도 한국과 일본이 말레이시아 원정에서 패했을 정도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론 완전히 쇠퇴하여 한국에 비길 팀이 아니다. 아시안 게임 역대 전적에서도 4승 1패로 한국이 앞서 있으며 올림픽 대표팀 간의 맞대결에서는 7승 1무 1패의 절대 우세를 보이고 있다. 유일한 패배는 2010년 7월 25일에 말레이시아에서 열린 친선전에서 당한 0:1 패배였다. 다만 한국은 말레이시아와 2018년 1월에 열린 [[2018 AFC U-23 챔피언십 중국]]에서 8강전 상대로 만나 2:1로 진땀승을 거둔 바 있다. 게다가 아시안 게임 직전 있었던 UAE와의 평가전에서 말레이시아가 2:0 승리를 거둔 바 있기 때문에 의외의 복병이 될 수도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https://m.sport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001&aid=0010264086|#]] 장지현 해설위원도 2018 AFC U-23 챔피언십 중국 8강에서 한국을 고전시킨 상대이기도 하고 미드필더들의 중거리 슈팅 능력 등의 강점을 가지고 있어 말레이시아전이 힘들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15일 말레이시아가 키르기스스탄과의 조별리그 경기에서 3:1로 승리하여 승점 3점을 가져가면서 이 경기가 사실상 조 1위 결정전이 되었다. === [[키르기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width=30]]]] [[김학범호/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키르기스스탄전|조별리그 키르기스스탄전 1 : 0 승]] === ||<-3>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축구/남자 조별리그 D조~F조|[[파일: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로고.svg|width=50]][br]{{{#1f2954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E조 3차전'''}}}]][br]{{{#871996 '''2018년 8월 20일 월요일 19:00 (UTC+7)'''}}}[* 대한민국 시각 기준 2018년 8월 20일 월요일 21:00.] || ||<-3> {{{#ffffff '''잘락 하루팟 스타디움 {{{#ffffff ([[인도네시아|{{{#ffffff '''인도네시아'''}}}]], [[반둥|{{{#ffffff '''반둥)'''}}}]]}}}'''}}} || ||<-3> {{{#ffffff '''주심: [[시리아|[[파일:시리아 국기.svg|width=30]]]] 마수드 투파일레'''}}} || ||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2002~2019) 블랙.svg|height=100]] ||<|2> {{{+5 {{{#000000 '''1 : 0'''}}}}}}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5%, #000080 5%, #000080 20%, #0000ff 20%, #0000ff 35%, #fff 35%), linear-gradient(to right, #000080 20%, #0000ff 20%, #0000ff 80%, #000080 80%)" [[파일:키르기스스탄.축구.엠블럼.png|height=100]]}}} || ||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width=30]] {{{#ffffff '''대한민국'''}}}]] || [[키르기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width=30]] {{{#000000 '''키르기스스탄'''}}}]] || || {{{#000000 '''63' [[손흥민|{{{#000000 '''손흥민'''}}}]]'''}}}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 ||<-3> {{{#000000 '''[[https://m.youtube.com/watch?v=Q3xrGwfs4HM|{{{#000000 '''경기 다시 보기'''}}}]] | [[https://m.youtube.com/watch?v=GNXQqEhrEN8&pp=ygUZ7ZWc6rWtIO2CpOultOq4sOyKpOyKpO2DhA%3D%3D|{{{#000000 '''경기 하이라이트'''}}}]]'''}}} || ||<-3> {{{#000000 '''경기 최우수 선수: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width=30]]]]'''}}}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학범호/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키르기스스탄전)] == 토너먼트 == ===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이란 국기.svg|width=30]]]] [[김학범호/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이란전|16강 이란전 2 : 0 승]] === ||<-3>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축구/남자 16강|[[파일: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로고.svg|width=50]][br]{{{#1f2954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16강전'''}}}]][br]{{{#871996 '''2018년 8월 23일 목요일 19:30 (UTC+7)'''}}}[* 대한민국 시각 기준 2018년 8월 23일 목요일 21:30.] || ||<-3> {{{#ffffff '''위바와 묵티 스타디움 {{{#ffffff ([[인도네시아|{{{#ffffff '''인도네시아'''}}}]], [[찌카랑|{{{#ffffff '''찌카랑)'''}}}]]}}}'''}}} || ||<-3> {{{#ffffff '''주심: [[요르단|[[파일:요르단 국기.svg|width=30]]]] 아흐마드 야쿠브 이브라힘'''}}} || || [[파일: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100]] ||<|2> {{{+5 {{{#000000 '''0 : 2'''}}}}}} ||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2002~2019) 블랙.svg|height=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23%, #ff0000 23%, #ff0000 25%, #fff 25%, #fff 75%, #ff0000 75%, #ff0000 77%, #fff 77%)"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이란 국기.svg|width=30]] {{{#ff0000 '''이란'''}}}]]}}} ||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width=30]] {{{#ffffff '''대한민국'''}}}]] || || '''-'''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000000 '''40' [[황의조|{{{#000000 '''황의조'''}}}]][br]55' [[이승우|{{{#000000 '''이승우'''}}}]]'''}}} || ||<-3> {{{#000000 '''[[https://m.youtube.com/watch?v=sBaF6U4RZ0U&pp=ygUN7ZWc6rWtIOydtOuegA%3D%3D|{{{#000000 '''경기 하이라이트'''}}}]]'''}}} || ||<-3> {{{#000000 '''경기 최우수 선수: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width=30]]]]'''}}}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학범호/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이란전)] ===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width=30]]]] [[김학범호/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우즈베키스탄전|8강 우즈베키스탄전 4 : 3 승]] === ||<-3>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축구/남자 8강~결승|[[파일: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로고.svg|width=50]][br]{{{#1f2954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8강전'''}}}]][br]{{{#871996 '''2018년 8월 27일 월요일 16:00 (UTC+7)'''}}}[* 대한민국 시각 기준 2018년 8월 27일 월요일 18:00.] || ||<-3> {{{#ffffff '''패트리어트 스타디움 {{{#ffffff ([[인도네시아|{{{#ffffff '''인도네시아'''}}}]], [[브카시|{{{#ffffff '''브카시)'''}}}]]}}}'''}}} || ||<-3> {{{#ffffff '''주심: [[사우디아라비아|[[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30]]]] 모하메드 알호이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1468B3 5%, #fff 5%)" [[파일:UFA emblem.png|height=100]]}}} ||<|2> {{{+5 {{{#000000 '''3 : 4'''}}}}}}[br]{{{#000000 '''A.E.T.'''}}} ||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2002~2019) 블랙.svg|height=100]] || ||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width=30]] {{{#000000 '''우즈베키스탄'''}}}]] ||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width=30]] {{{#ffffff '''대한민국'''}}}]] || || {{{#000000 '''17' [[자롤리딘 마사리포프|{{{#000000 '''자롤리딘 마사리포프'''}}}]][br]53', 56' [[이크롬존 알리바예프|{{{#000000 '''이크롬존 알리바예프'''}}}]]'''}}}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000000 '''5', 35', 75' [[황의조|{{{#000000 '''황의조'''}}}]][br]118' [[페널티킥|{{{#000000 '''(PK)'''}}}]] [[황희찬|{{{#000000 '''황희찬'''}}}]]'''}}} || || {{{#000000 '''101' [[이크롬존 알리바예프|{{{#000000 '''이크롬존 알리바예프'''}}}]] [[레드카드|[[파일:경고 퇴장 아이콘.svg|height=18]]]][br]120+4' 자롤리딘 마사리포프 [[레드카드|[[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height=18]]]]'''}}} || [[레드카드|[[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height=20]]]] || '''-''' || ||<-3> {{{#000000 '''[[https://youtu.be/trLyob2R3Jc|{{{#000000 '''경기 하이라이트'''}}}]]'''}}} || ||<-3> {{{#000000 '''경기 최우수 선수: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width=30]]]]'''}}}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학범호/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우즈베키스탄전)] ---- '''이번 대회 최고의 명승부.''' '''미리 요약하자면 긴 시간과 함께 [[황의조|1명의 해트트릭 달성+PK 유도]]가 가져 온 승리였다.''' === [[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30]]]] [[김학범호/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베트남전|준결승 베트남전 3 : 1 승]] === ||<-3>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축구/남자 8강~결승|[[파일: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로고.svg|width=50]][br]{{{#1f2954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준결승전'''}}}]][br]{{{#871996 '''2018년 8월 29일 수요일 16:00 (UTC+7)'''}}}[* 대한민국 시각 기준 2018년 8월 29일 수요일 18:00.] || ||<-3> {{{#ffffff '''파칸사리 스타디움 {{{#ffffff ([[인도네시아|{{{#ffffff '''인도네시아'''}}}]], [[찌비농|{{{#ffffff '''찌비농)'''}}}]]}}}'''}}} || ||<-3> {{{#ffffff '''주심: [[시리아|[[파일:시리아 국기.svg|width=30]]]] 마수드 투파일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3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871B4D 3%, #ffff00 3%, #ffff00 5%, #B50017 5%)"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0px 2px 22px; background: #ffff00; font-size: .8em" [[파일:베트남 국기.svg|height=50px]]}}}}}} ||<|2> {{{+5 {{{#000000 '''1 : 3'''}}}}}}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60deg, #FFFFFF 4%, #F19183 4%, #F19183 6%, #FFFFFF 6%, #FFFFFF 14%, #F19183 14%, #F19183 16%, #FFFFFF 16%, #FFFFFF 24%, #F19183 24%, #F19183 26%, #FFFFFF 26%, #FFFFFF 34%, #F19183 34%, #F19183 36%, #FFFFFF 36%, #FFFFFF 44%, #F19183 44%, #F19183 46%, #FFFFFF 46%, #FFFFFF 54%, #8683A3 54%, #8683A3 56%, #FFFFFF 56%, #FFFFFF 64%, #8683A3 64%, #8683A3 66%, #FFFFFF 66%, #FFFFFF 74%, #8683A3 74%, #8683A3 76%, #FFFFFF 76%, #FFFFFF 84%, #8683A3 84%, #8683A3 86%, #FFFFFF 86%, #FFFFFF 94%, #8683A3 94%, #8683A3 96%, #FFFFFF 96%)"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2002~2019) 블랙.svg|height=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50017 90%, #ffff00 90%)" [[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30]] {{{#ffffff '''베트남'''}}}]]}}} ||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width=30]] {{{#423f3f '''대한민국'''}}}]] || || {{{#000000 '''70' [[프리킥|{{{#000000 '''(FK)'''}}}]] [[쩐민브엉|{{{#000000 '''쩐민브엉'''}}}]]'''}}}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000000 '''7', 55' [[이승우|{{{#000000 '''이승우'''}}}]][br]28' [[황의조|{{{#000000 '''황의조'''}}}]]'''}}} || ||<-3> {{{#000000 '''[[https://m.youtube.com/watch?v=kssA_HmTO7Y&pp=ygUQ7ZWc6rWtIOuyoO2KuOuCqA%3D%3D|{{{#000000 '''경기 다시 보기'''}}}]] | [[https://youtu.be/CGmg8nAE3j8?si=dhtmTlpBtW_gkPKJ |{{{#000000 '''경기 하이라이트'''}}}]]'''}}} || ||<-3> {{{#000000 '''경기 최우수 선수: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width=30]]]]'''}}}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학범호/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베트남전)] ---- '''체력, 피지컬, 개인 기량 등 총체적인 면에서 한계를 맞이한 베트남, 그래도 경의를 표해야 마땅할 투혼과 집념.''' '''연속 우승을 향해 한 걸음을 남긴 대한민국.''' ===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width=30]]]]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축구(남자)/결승전|결승 일본전 2 : 1 승]] === ||<-3>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축구/남자 8강~결승|[[파일: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로고.svg|width=50]][br]{{{#1f2954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결승전'''}}}]][br]{{{#871996 '''2018년 9월 1일 토요일 18:30 (UTC+7)'''}}}[* 대한민국 시각 기준 2018년 9월 1일 토요일 20:30.] || ||<-3> {{{#ffffff '''파칸사리 스타디움 {{{#ffffff ([[인도네시아|{{{#ffffff '''인도네시아'''}}}]], [[찌비농|{{{#ffffff '''찌비농)'''}}}]]}}}'''}}} || ||<-3> {{{#ffffff '''주심: [[우즈베키스탄|[[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width=30]]]] 아지즈 아시모프'''}}} || ||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2002~2019) 블랙.svg|height=100]] ||<|2>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height=50]][br]{{{+5 {{{#000000 '''2 : 1'''}}}}}}[br]{{{-1 {{{#000000 '''A.E.T.'''}}}}}} || [[파일: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height=100]] || ||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width=30]] {{{#ffffff '''대한민국'''}}}]] ||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width=30]] {{{#ffffff '''일본'''}}}]] || || {{{#000000 '''93' [[이승우|{{{#000000 '''이승우'''}}}]][br]101' [[황희찬|{{{#000000 '''황희찬'''}}}]]'''}}}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000000 '''115' [[우에다 아야세|{{{#000000 '''우에다 아야세'''}}}]]'''}}} || ||<-3> {{{#000000 '''[[https://m.youtube.com/watch?v=wvebg9CQv_w&pp=ygUS7ZWc6rWtIOydvOuzuCAyMDE4|{{{#000000 '''경기 다시 보기'''}}}]] | [[https://m.youtube.com/watch?v=NQrTRcT_VLs&pp=ygUn64yA7ZWc66-86rWtIOydvOuzuCDslYTsi5zslYjqsozsnoQga2Jz|{{{#000000 '''경기 하이라이트'''}}}]]'''}}} || ||<-3> {{{#000000 '''경기 최우수 선수: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width=30]]]]'''}}}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축구(남자)/결승전)] ---- [[손흥민]]을 비롯한 대한민국 선수의 [[병역면제]]와 일본 유망주와의 한일전 결승전이 조합된 매치다. 결승에서 성사된 세대 5대 더비 중 하나인 [[한일전]]이자 [[2012 런던 올림픽]]의 [[2012 런던 올림픽/축구(남자)|남자 축구]]에서의 [[2012 런던 올림픽/축구(남자)/동메달 결정전|3위 결정전]]의 재현이기도 했다. == 총평 == [[파일:2018soccergoldmedal.png|width=400]] ---- 대한민국은 이 대회에서 우승을 했지만, 그 과정만큼은 분명 순탄하지 못했다. 대회를 시작하기도 전에 [[황의조]]의 인맥 논란으로 대표되는 부정적인 여론에 휩싸여 [[영 좋지 않은]] 분위기 속에서 주최 측의 미숙한 행정 처리로 인하여 조별리그 경기가 25강 조별리그로 1경기 늘어났다 다시 줄어드는 바람에 제대로 된 평가전 한 번 못해보고 대회를 맞이해야 했다. 25강 조별리그에서는 [[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전혀 예상치 못한 상대]]에게 [[김학범호/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말레이시아전|불의의 일격]]을 맞아 조 순위가 2위로 내려가는 굴욕을 겪었으며, 16강에서는 공동 최다 우승국이었던 숙적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이란]]을 만났고 8강에서는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최강의 적]]을 만나 목숨을 건 혈투 끝에 4:3이라는 스코어로 기적적으로 올라갔고, 준결승에서도 [[박항서|한국 감독]]이 지휘하는 [[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팀]]을 만나서 어려운 경기를 했다. 이렇듯 정말로 어려운 대진표를 뚫고 결승전에 진출했고, 결승전에서도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그렇게 염원하던 금메달을 손에 넣게 되었고, 세 번째로 아시안 게임 축구 종목 2연패를 달성한 국가가 되었다.[* 첫 번째는 [[중화민국]], 두 번째는 이란이다.] 또한 이 경기 전까지 아시안 게임 4회로 이란과 함께 공동 최다 우승이던 한국이 우승 횟수를 5회로 늘리면서 단독 최다 우승 국가로 자리매김했다. 그리고 한국 AG 축구 사상 '''첫 원정 단독 우승'''도 달성하게 되었다.[* 한국이 이 대회 전까지 홈에서 2번, 원정에서 2번을 각각 우승했는데 원정에서 우승한 건 모두 공동 우승이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대한민국은 [[징병제]]를 시행하는 만큼, [[병역특례]]가 [[올림픽|걸린]] [[아시안 게임|대회]]는 대한민국 국민 뿐만 아니라 영국을 비롯한 전 세계 축구 팬의[* 선수들 중 가장 병역혜택이 절실하고 급했던 [[손흥민]] 선수는 군 입대시 장기간 군 복무로 인하여 영국 프리미어 리그 팀인 [[토트넘 홋스퍼 FC]]의 선수 생활에 커다란 차질이 생기며 토트넘에게도 중요한 전력을 잃게 되기 때문에 세계 축구 동호인들의 큰 관심사였다.] 최대의 관심사가 되어왔다. 본 대회 참가 당시 선수단 20인 전원이 병역 미필자였고,[* [[황인범]]은 [[현역]] 일경으로 [[아산 무궁화]] 소속이긴 했다.] 한국의 축구 간판 스타 [[손흥민]]을 비롯한 와일드카드 선수들과 젊은 선수들의 노력으로 [[홍명보/지도자 경력#s-2.2.2|6년 전 올림픽]], [[이광종호#s-5.3|4년 전 아시안 게임]]과 마찬가지로 '''선수단 전원이 병역특례'''를 거머쥐었다. 그러한 결과는 논란에 굴하지 않고 최적의 선수들을 모아 팀을 꾸린 감독의 안목, 고참 선수들이 선수단 내 소통을 적극적으로 주도하면서 한 팀이 되도록 노력했던 것, 코칭스태프들의 여러 노력, 대표팀을 응원하기 위해 현장에 간 교민들과 응원단의 열정 등 모두의 노력과 열정으로 이루어낸 것이다. * '''최강팀의 자격을 증명한 대표팀''' 대한민국 대표팀은 [[2014 인천 아시안 게임/축구|전 대회]]에서 우승한 [[디펜딩 챔피언]]에다 [[손흥민]]이란 슈퍼 스타가 있는 우승 후보팀이란 압박감을 가지고 본 대회에 임했다. 축구란 종목은 언제나 그러했듯이 실제로 경기를 치르기 전까지는 결과를 장담할 수 없다. 한 수 아래라고 생각됐던 말레이시아에게 충격적인 패배를 당해 여론의 뭇매를 맞고, 조별리그와 토너먼트에서 21세 이하로 선수를 구성한 대표팀들(바레인, 이란, 일본)을[* 본 대회에 21세 이하로 참가한 팀은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바레인, 일본 4개국으로, 한국은 이 중 세 팀을 대회에서 만났다.] 만나면서 '어린 애들을 상대한다'라는 이유로 승리를 폄하당하기도 했다.[* 와일드카드가 26세 2명, 25세 한 명이라 평균연령을 확 높여 놓았는데 이 셋을 제외한 평균연령은 20.7세로 굉장히 어린 편이다.] 하지만 토너먼트에서 최정예로 이루어진 [[우즈베키스탄|2018 AFC U-23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팀]]과 [[베트남|준우승팀]]을 꺾은 것은 대한민국 대표팀이 금메달을 목에 걸어 마땅함을 입증했다고 할 수 있다. 이토록 어려운 무대에서 마지막까지 승리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금메달이라는 값진 성과를 얻어서 돌아온 대표팀 선수단 모두에게 열렬한 박수와 축하를 보내주도록 하자. * '''역대 최고의 와일드카드 선수들''' [[파일:2018wildcards.jpg|width=200]] 와일드카드 선수들의 활약으로 얻어낸 금메달이라고 해도 손색이 없을 만큼 본 대회에서의 와일드카드 선수('''[[황의조]], [[손흥민]], [[조현우]]''')의 활약상은 이전 대회와 비교해도 압도적이다. 연령 제한과 와일드카드 제도가 생긴 2002년 대회부터 한국은 와일드카드 세 명을 총 동원했으나 2010년 대회까지 결승 진출에 실패했고, 2014년 대회에서 금메달을 거머쥐었지만 와일드카드였던 [[김신욱]]은 조별리그에서 불의의 부상을 당해 거의 경기를 뛰지 못해 아쉬움을 남겼다. 본 대회 와일드카드인 황의조는 대회 모든 경기에서 선발 출전하여 [[키르기스스탄]]전과 [[일본]]전을 제외한 모든 경기에서 득점, 7경기 9득점을 기록했다. 대회 역대 최다골 기록에선 선배 [[황선홍]]에 밀리지만 득점의 순도와 팀의 성적을 고려하면 역대 최고 와일드카드 공격수라 평해도 손색이 없다.[* 황선홍은 네팔을 상대로 11:0으로 승리했던 경기에서 8골을 넣었다. 오만전에서 1골을 추가했으며 8강 한일전의 역전골, 실점 후 펠레 스코어 결승골의 임팩트가 워낙 컸던지라 준결승에서 우즈베키스탄에 골키퍼의 알까기로 패하고(이후 우즈베키스탄은 금메달), 조별리그에서 패했었고 동메달 결정전에서 다시 만나서도 패했던 쿠웨이트전 때 득점하지 못했어도 단일 대회 역대급 퍼포먼스로 인정받았었다. 그에 반해 황의조는 거의 모든 경기에서 득점하며 해트트릭만 2번이나 기록하여 팀을 결승으로 올려보내는 전무후무한 퍼포먼스를 보여줬다.] 주장 손흥민은 출전한 경기들에서 많은 활동량과 수준 높은 플레이를 보여주며 대표팀의 많은 득점에 관여했다. 특히 대표팀에서 지금껏 주로 공격진에서 피니셔 역할을 맡았으나 본 대회에서는 최전방을 황의조가 맡으면서 패서로 롤을 변경, 이것은 대회 내내 대한민국 대표팀의 공격력을 극대화시켜주었다. 이는 이번 대회 1골 5도움이라는 스탯으로 확인할 수 있다. 골키퍼 조현우는 비록 대회 중간에 부상을 당하여 중요한 8강전을 결장하긴 했으나 경험이 적은 중원과 수비진을 보완해주는 역할을 톡톡히 해주면서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다. * '''촉박한 일정 속 선수들의 희생과 열정''' 2주 정도되는 대회 기간 동안 7경기를 20인이란 스쿼드로 헤쳐나가야하는 상황 속에서 대표팀 선수단은 중원과 공격진은 두꺼운 반면 측면 수비 자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했다. 백업이 마땅치 않은 상황에서 애초에 주 포지션이 윙어인 [[김진야]], [[김문환]]은 대회 내내 윙백으로서 엄청난 활동량과 체력을 보여주었다. 특히 김진야는 2주 정도되는 대회 기간 동안 모든 시합을 선발 출전해 700분 정도 그라운드를 누비며 '체력왕'이라는 본인의 별명을 아시안 게임을 지켜본 관객들에게 각인시켰다. 원래 계획대로라면 조별리그 수준에서 적절한 로테이션을 돌리며 체력 안배를 시키려 했으나 [[김학범호/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말레이시아전|예기치 않은 사태]]가 일어나며 [[김학범]] 전 감독 본연의 스타일인 주전 위주의 선발 전술로 갔고 대회 마지막까지 주전 멤버들에게 걸린 체력적 부하는 매우 컸을 것이다.[* 아직 조 1위가 확정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 자만심에 빠져 실전 경험과 조직력이 미흡한 로테이션 자원들로 선발을 구성한 것은 자업자득에 가까웠다. 심지어 부상이나 컨디션 난조가 아닌데도 골키퍼까지 로테를 돌렸으니... 한국과 말레이시아 모두 첫 경기에서 1승을 챙긴 상태에서 맞는 두 번째 경기는 사실상 조 1위를 결정하는 중요한 경기였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패하고 말았다. 2승으로 조 1위를 확정 지은 이후 3차전 키르기스스탄전에서 로테이션을 돌릴 수도 있었으며, 이것이 더 일반적인 운영이다. 한국의 입장에선 키르기스스탄이나 말레이시아나 대동소이해 보였을지 몰라도 객관적인 전력은 키르기스스탄에게 1승을 챙긴 말레이시아가 더 높은 편이었다. 이로 인해 최정예로 구성된 [[우즈베키스탄]]과 [[베트남]]을 토너먼트에서 만나는 험난한 대진이 되었으며, 8강 우즈베키스탄전에서는 연장 승부까지 펼치며 더욱 체력 소모를 야기했다. 이는 [[김학범]] 전 감독 본인도 실책이라 인정한 부분이다.] 이런 상황에서도 종료 휘슬이 불릴 때까지 보여준 선수들의 정신력과 투지 넘치는 플레이는 원정 대회 우승의 원동력이라고 평할 수 있을 것이다. * '''약점 보완보단 강점을 강화시킨 전략의 성공''' 대표팀 선발 시점부터 논란이 많았던 부분으로 전반적으로 약해보이는 수비수(특히 측면)와 미드필더 자원이 아닌 공격수에 두 장, 골키퍼에 한 장 와일드카드 선수를 분배했고, 이런 언밸런스한 선수 구성에 대회 시작 전부터 지켜보는 많은 이들이 불안해했다. 우려대로 수비와 중원에서 불안한 모습을 보이긴 했지만 다양한 공격 자원의 활용으로 대회 내내 무서운 공격력을 보여주였고 장점으로 단점을 상쇄시키며 결과적으로 우승까지 이루어냈다. [[김학범]] 전 감독이 선수단 구성 당시 얘기했던 '골을 먹혀서 지는 것보다 골을 못 넣어서 지는 경우가 많았고 그래서 공격진에 무게를 두었다'라는 부분이 맞아 떨어진 것. 또한 이 부분에 관해서 한국 대표팀은 공통적으로 예전부터 수비보다 공격에 강점이 있는 팀이고, 김학범 전 감독이 아시안 게임 감독직을 맡은지 얼마 되지 않았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이번 금메달 획득으로 김학범 전 감독이 추후 열리는 [[2020 도쿄 올림픽]]까지 맡을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이는 계속 발을 맞춰가며 조직력을 쌓고 [[김학범호/선수단 선발 논란|다양한 선발 실험을 통해 개선해 나갈 수 있는 문제다]]. 대회 중 보여준 김학범 전 감독의 용병술 또한 성공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공격의 시발점을 맡을 [[황희찬]], [[이승우]], [[황인범]], [[나상호]]의 적절한 투입과 로테이션으로 고른 활약을 이끌어냈다. 또한 역할이 겹치는 [[이진현]]과 [[장윤호]]를 번갈아가며 뛰게 하는 등 적재적소에서 높은 효율을 추구한 기용이 돋보였다. 비록 말레이시아전에서는 과도한 로테이션으로 패배를 자초했으나 그 이후로는 전술적인 지도자란 평에 걸맞는 노련한 운영으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또한 대회 도중 시도한 전술 변화도 전략적 성공을 거두었다고 볼 수 있다. 본래 김학범 전 감독이 대회 전 국내에서부터 준비한 전술은 공격적 스리백 전술이었으나 이를 대회 기간 중 본인의 주특기인 포백으로 전환, 결과적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 '''축구 국가대표팀을 항한 부정적인 시선을 걷어내다''' [[2012 런던 올림픽]]의 [[홍명보]]와 [[박주영]]의 '''고려대 인맥 논란'''으로부터 촉발된 '''인맥, 학연, 지연 축구'''라는 말은 오래도록 이어져와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본선 진출 후부터 아예 '''적폐 축구'''라는 말 까지 만들어냈고, [[파울로 벤투]] 선임을 넘어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우승까지의 길고도 긴 시간 동안 망령과도 같이 축구 국가대표팀에게 엉겨붙어 있었다. 이번 아시안 게임만 해도 한 달 전 기사들을 둘러보는 것 만으로도 얼마나 여론이 부정적이었는지를 알 수 있다. [[https://sports.news.naver.com/kfootball/news/read.nhn?m_view=1&oid=241&aid=0002813273&commentNo=160332538|아시안 게임 관련 기사]]는 물론이고, 아시안 게임 관련 기사도 아닌 [[석현준]]의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216&aid=0000095922&redirect=true|이적설]] [[https://sports.news.naver.com/wfootball/news/read.nhn?m_view=1&oid=421&aid=0003526770&commentNo=161323949|기사]]나 [[이강인]]의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216&aid=0000095920&redirect=true|프리시즌]]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468&aid=0000411487&redirect=true|경기 관련 기사]]의 댓글들만 봐도 --[[홍명보호|과거]]로부터 배운 게 없는지-- [[석현준|더 높은 수준의 리그에서 뛰는 선수]]를 놔두고 [[황의조|본인이 잘 아는 선수]]를 뽑았다는 점, 몇몇 [[이강인|유명한]] [[백승호|유망주]] [[정우영(1999년생 축구선수)|선수]]들을 선발하지 않은 점을 문제 삼아 선발된 선수와 [[김학범]] 전 감독에게 눈 뜨고 봐줄 수 없는 악의적이고 사실의 편린조차도 없는 일방적이고 부정적인 여론이 들끓었었다. [[김학범]] 전 감독의 선수 선발을 옹호하는 여론과 언론도 있었으나, 일명 '축협 알바'로 몰리며 온갖 욕과 조롱을 당하기 일쑤였다. 하지만, 김학범 전 감독이 대회 전 기자회견에서 발언한 '''학연, 지연, 인맥 같은 것 없다. 오로지 실력만으로 뽑았다'''는 말을 아시안 게임 금메달로 증명하며, 기존에 갖고 있던 대표팀 인사에 관한 낮은 신뢰도를 반등시켰다. 이는 그간 대세 여론으로 자리 잡고 있던 '정확한 근거에 입각하지 않은' '''축구 적폐 논란'''을 상당 부분 불식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해, 오랫동안 대회가 시작하기도 전에 일방적으로 부정적인 여론에 시달리며 대회 준비를 하는 악습에 시달리던 대표팀에게는 향후 큰 호재가 될 전망이다. 때마침 성인 대표팀 신임 외국인 감독 [[파울루 벤투]]는 한국 축구인 누구와도 인맥과 학연으로 엮일 여지가 없는 것은 기본이고, 그의 성격상 '할 말은 하는' 정도를 넘어서 ''''안 해도 될 말까지 퍼붓는'''' 좋게 말하면 터프하면서 카리스마 있는 스타일이고 나쁘게 말하면 모나고 거친 스타일이라[* [[올림피아코스]]에서 갈등을 빚어 퇴출되었고, [[https://www.goal.com/kr/news/3397/euro-2016/2011/11/17/2761061/벤투-감독-카르발류와-보싱와-대표팀에서-나가|포르투갈 국대 감독으로도 히카르두 카르발류와 보싱와 등 자신과 갈등을 빚던 베테랑 선수들을 가차없이 퇴출시켰으며]], [[https://www.google.co.kr/amp/s/m.chosun.com/news/article.amp.html%3fsname=news&contid=2018082301560|김판곤 위원장도 공개적으로 인정했던 자신의 중국 생활 실패 주장에 정면으로 반박하였다.]] 자세한 것은 [[파울루 벤투/지도자 경력]] 참고할 것.] 만약 축협이 자신의 권한인 선수 선발에 개입하면 고분고분 듣기는커녕 기자회견 열어서 난리 안 치면 다행일 지경이라 인맥학연지연 축구라는 비난이 나올 여건 자체가 안 된다. [[2020 도쿄 올림픽]]을 목표로 준비를 하게 될 23세 이하 대표팀은 김학범 전 감독이 지휘를 맡을 것이 확정적이므로[* 처음부터 계약기간이 2020 도쿄 올림픽까지였고 아시안 게임 종료 후 김판곤 전 국가대표 감독 선임 위원장이 '중간 목표(금메달)를 달성했으므로 도쿄 올림픽까지 간다.'라는 취지의 인터뷰를 했다.] 농담으로라도 인맥과 학연이란 말로 트집을 잡을 수 없게 되었다.[* 특히 황의조의 경우 아예 해외축구 갤러리에서 "인맥축구 맞습니다. '''인맥으로 겨우 모셔왔습니다.'''" 라고 역으로 반격했다. 인맥 축구 비난을 인맥으로 겨우 인재를 모셔왔다고 받아친 것.] 여담으로 [[https://sports.new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452&aid=0000000820|이 기사를 통해 알 수 있듯]], 앞서 인맥 축구를 외친 일부 개티즌들은 [[https://sports.new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452&aid=0000000803&m_view=1&sort=LIKE|전방위로 폭풍까임과 함께 무수한 조롱]]을 받고 있다. * '''향후 A대표팀에서 활약할 것으로 전망되는 선수들''' [[황의조]]는 본 대회 최다 득점자로 대표팀 선수 중에서도 단연 눈에 띄는 활약을 보여주었고, 새로 취임한 성인 대표팀 [[파울루 벤투]] 감독의 부름을 받았다. 다시 성인 대표팀에 복귀한 그는 아시안 게임에서 보여준 기량이 보다 높은 수준의 무대에 통하는지를 이번 기회에 증명해야 할 필요가 있고, 신진급 선수로는 [[김문환]]과 --[[아산 무궁화]]에서 강제로 방을 빼게 된[* 아산 무궁화에서 의경 활동이였으나, 아시안 게임 우승으로 병역 특례를 받아 본의치 않게 강제로 방을 빼게 되었다(...)]-- [[황인범]]이 물망에 오르고 있다. 두 선수 모두 아시안 게임에서의 활약을 인정받아 커리어 최초로 성인 대표팀 데뷔를 앞두고 있으며, 프로 데뷔 때부터 빠른 발과 좋은 발재간으로 호평을 받던 측면 자원인 [[김문환]]과 유럽 구단에서도 오퍼를 받던 중원의 유망주 [[황인범]]은 성인 대표팀 레벨에서 실력을 입증할 기회를 얻었다. 그 외에도 원래 [[신태용호]]에서 성인 대표팀으로 활약하다 아쉽게 종아리뼈 실금 부상으로 낙마해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에 가지 못한 수비수 [[김민재]]도 병역특례를 받은 후 터키를 시작으로 유럽 리그에 진출해 주가를 높인 후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에 참가했다. 그 외에도 금메달 멤버들 중 [[나상호]], [[송범근]]도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국가대표팀에 선발되는 등, 자카르타의 축구 금메달은 많은 선수들의 길을 터 주었다는 의미도 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학범호, version=1460, paragraph=4.1)] [[분류:김학범호/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