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김학득}}}'''[br]'''金鶴得'''}}}}}}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김학득.jpg|width=100%]]}}} || || '''본관''' ||[[김해 김씨]] || ||<|2> '''출생''' ||[[1927년]] [[11월 30일]] || ||[[경상남도]] [[밀양시|밀양군]] [[삼랑진읍|하동면]] 삼랑리[br](현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삼랑리)[* 인근의 임천리·율동리와 함께 [[김해 김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김금연]]도 이 마을 출신이다.] || ||<|2> '''사망''' ||[[2002년]] [[12월 7일]] || ||[[경상남도]] [[마산시]]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4묘역-401호 || || '''상훈''' ||건국포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2003년 건국포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김학득은 1927년 11월 30일 경상남도 밀양군 하동면(현 밀양시 삼랑진읍) 삼랑리에서 태어났다. 이후 마산부 고정(현 [[창원시]] [[마산합포구]] [[문화동(창원)|대창동]])으로 이주했다. 그는 [[마산고등학교|마산공립중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이던 1942년 5월, [[한글]] 연구로 인해 무기정학을 받았다. 또 1944년 4월 당시 마산공립중학교 2학년 재학에 중이던 박기병(朴基秉)·박후식(朴厚植)·감영재(甘泳才)·조이섭(曺二燮)·강정중(姜正中) 등의 후배들과 함께 비밀결사 마중독립단(馬中獨立團)을 조직하였다. 그는 이 단체를 통해 해외의 독립운동 상황을 전하고 [[한국사|조선역사]]와 한글을 배우며, 학우 중에서 동지를 포섭하여 해외로 탈출한 뒤 독립운동에 투신하고자 했다. 그러던 그해 7월 학우들을 포섭하는 과정에서 일본 경찰에 발각되어 독립단 조직은 와해되었고, 그는 얼마 뒤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일본 경찰에 검거되었다. 그리고 1년 1개월간 옥고를 치르다가 옥중에서 [[8.15 광복]]을 맞아 곧 출옥하였다. 1980년 12월 [[민권당]] 창당을 준비하기 위해 조직책을 선임할 때 [[마산]]-[[진해]] 지구 조직책에 선임되어 [[https://www.joongang.co.kr/article/1553886#home|활동하였다]]. 2002년 12월 7일 경상남도 마산시에서 별세하였다. 2003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포장이 추서되었다. 그의 유해는 2011년 6월 20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4묘역에 이장되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김해 김씨]][[분류:밀양시 출신 인물]][[분류:1927년 출생]][[분류:2002년 사망]][[분류:건국포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