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김하윤}}}[br]Kim Hayu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김하윤 항저우.jpg|width=100%]]}}} || ||<|2> '''출생''' ||[[2000년]] [[1월 7일]] ([age(2000-01-07)]세)[* 빠른 년생이라 99년생과 학창시절을 보냈다.]|| ||[[부산광역시]] [[남구(부산광역시)|남구]]||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신체''' ||178cm, 78kg|| || '''종목''' ||[[유도]]|| || '''체급''' ||+78kg|| || '''가족''' ||아버지, 어머니, 오빠 || || '''학력''' ||[[분포초등학교]] {{{-2 (졸업)}}}[br][[분포중학교]] {{{-2 (졸업)}}}[br][[삼정고등학교]] {{{-2 (졸업)}}}[br][[한국체육대학교]] {{{-2 (유도경기지도학과 / 졸업)}}}|| || '''소속팀''' ||안산시청|| || '''SNS''' ||[[https://instagram.com/ha_yun_00?igshid=NzZhOTFlYzFmZQ==|[[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여자 유도선수. ==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남들보다는 늦은 중학교 3학년 때 유도를 시작하고, 선수 생활은 본격적으로 고등학교 1학년 때 시작했고, 그 해 운동을 시작한 지 1년 만에 전국체전에서 금메달을 따내면서 두각을 드러내었다. [* [[https://youtu.be/m9X7zKDVvPs?si=wU5Pf3klPHcrzZrt |챗터뷰 영상]] 36초쯤 부터][br] 그 후 고등학교 3년 내내 전국체전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한국 유도의 최대 유망주로 이름을 날렸다. === 고등학교 졸업 이후 === 한국체육대학교 유도경기지도학과에 입학하고 졸업후 안산시청과 계약을 하며 국가대표에 꾸준히 선발되고 세계대회에 자주 나가며 메달을 꾸준히 따고 랭킹포인트를 쌓으며 세계랭킹 최대 3위를 찍기도 하며 엄청난 기량을 뽐내고 있다.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 노골드 위기에 처해있던 유도에서 +78kg급에서 결승에 진출하면서 [[금메달]]을 기대하게 만들었다. 결승에서 절반으로 얻은 점수를 끝까지 지켜내면서 항저우 아시안게임 유도에서 대한민국 선수로는 유일하게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반면 남자는 아시안 게임 사상 최초로 노골드를 기록했다. 여자는 [[2006 도하 아시안 게임]]에서 이미 노골드를 기록한 바 있다.] 여자 최중량급은 한국이 아시안게임에서 단 한 번도 우승한 적이 없는 취약 체급이지만[* 올림픽에서는 [[2000 시드니 올림픽]]에서 김선영이 동메달을 받은 바 있다.], 김하윤이 사상 처음으로 금메달을 차지했다. [[1996 애틀랜타 올림픽]] [[조민선]]의 금메달을 마지막으로 끊겨 있는 대한민국 여자 유도의 올림픽 금맥을 [[2024 파리 올림픽]]에서 이어줄 것으로 기대되는 선수이다. == 수상 기록 == ||<-3>
{{{#white 아시안게임}}} || || 금메달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2022 항저우]] || +78kg || [[분류:대한민국의 유도 선수]][[분류:1999년 출생]][[분류:남구(부산) 출신 인물]][[분류: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