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의 물리학자]][[분류:1968년 출생]][[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하버드 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컬럼비아 대학교 재직]][[분류:하버드 대학교 재직]] ||<-2> '''{{{+1 김필립}}}[br]金必立 | Philip Kim'''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김필립.jpg|width=100%]]}}}|| ||<|2> '''출생''' ||[[1968년]] ([age(1968-01-01)]세)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서울대학교/학부/자연과학대학#s-3.3|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2 ([[물리학]] / [[학사]]) (1990년)}}}[br][[서울대학교 대학원]] {{{-2 ([[물리학]] / [[석사]] (1992년)[* 석사 학위 논문: [[http://www.riss.kr/link?id=T49051|STM을 이용한 Y₁Ba₂Cu₃O₇ 고온초전도체 박막의 연구]]]}}}[br][[하버드 대학교]] 대학원 {{{-2 (응용물리학 / [[Ph.D.]]) (1999년)}}} || || '''경력''' ||前 [[캘리포니아 대학교/버클리 캠퍼스|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물리학과]] 연구원 [br] 前 [[컬럼비아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 '''현직''' ||現 [[하버드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응용물리학 박사 프로그램 교수]|| || '''수상''' ||2008년 제18회 [[호암상]] 과학상 [br] 2011년 제6회 자랑스러운 한국인상[br]2023년 벤저민 프랭클린 메달 || [목차] [clearfix] == 개요 == 김필립은 대한민국 국적의 [[하버드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이다. [[그래핀]]의 선구적 연구 업적으로 2023년 '미국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벤저민 프랭클린 메달'을 수상했다.[[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30522/119420146/1|#]] 본명이 한자 이름 필립(必立)이다. == 업적 == [[김필립]] 교수도 [[그래핀]] 분야의 권위자로, AFM[* Atomic Force Microscope, 쉽게 말하면 원자크기 탐침으로, 작동 원리는 [[LP]]용 축음기에서 바늘이 하는 역할을 생각하면 비슷하다. 원래는 측정용 기술 및 장비인데 Tip 끝을 기존의 Si같이 잘 부숴지지 않게 만든것에서 그라파이트로 바꾸는 [[마개조]]를 하였다. 자세한 것은 [[https://youtu.be/ObzkboQVmCQ|김필립교수의 15분짜리 스피치]]를 통해 확인해 보자.] 등을 이용해 그래핀에 가까운 무언가를 얻어냈고 이후로도 왕성한 활동을 했다. 그러나 AFM으로 분리한 물건은 그래핀이라기엔 너무 두껍고 활동 자체도 Novoselov-Geim에 비해서 뒤떨어진다고 봤는지 한국 최초로 노벨상 과학 분야 수상을 하지는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