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 김풍철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54번}}}''' || || 장승익[br](1995~1997) || {{{+1 →}}} || '''{{{#fff 김풍철[br](2002~2003)}}}''' || {{{+1 →}}} || [[이동훈(1981)|이동훈]][br](2005~2009)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풍철.png|width=100%]]}}} || ||<-2> '''롯데 자이언츠 육성 부단장''' || ||<-2> '''{{{+2 김풍철}}}[br] Kim Poong-Cheol''' || ||<|2> '''출생''' ||[[1976년]] [[10월 20일]] ([age(1976-10-20)]세)|| ||[[경상남도]] [[양산시]]|| ||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대한민국]]|| || '''학력''' ||[[동래고등학교 야구부|동래고]] - [[동아대학교 야구부|동아대]]|| || '''포지션''' ||[[투수]]|| || '''투타''' ||[[우투우타]]||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2002년/신인드래프트#s-3.2|2002년 2차 4라운드]] (전체 30번, [[롯데 자이언츠|롯데]])|| || '''소속팀''' ||[[포스틸 야구단]] (1999) [br] [[롯데 자이언츠]] (2002~2003)|| || '''프런트''' ||[[롯데 자이언츠]] 스카우트 팀장 (2016~2019)[br][[롯데 자이언츠]] 운영팀장 (2019)[br][[롯데 자이언츠]] 스카우트 부서장 (2020~?)[br][[롯데 자이언츠]] 육성 부단장|| || '''병역''' ||[[상무 피닉스 야구단]] (1999~2001)||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롯데 자이언츠]] 소속 우완 [[투수]]이자, 前 [[롯데 자이언츠]] 스카우트 부서장, 現 [[롯데 자이언츠]] 육성 부단장 == 선수 경력 == === [[롯데 자이언츠]] 시절 === 2002년 [[롯데 자이언츠]]의 2차 4라운드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 입단 전 [[포스틸 야구단]]에서 뛰다가 [[상무 피닉스 야구단]]에서 군 문제를 해결했다. ==== 2002 시즌 ==== 2002 시즌 불펜 투수로 25경기에 나와 3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활약했다. ==== 2003 시즌 ==== 스프링캠프에서 부상으로 하차하더니 소리 소문 없이 방출당했다. 당시 기사들을 보면 [[사이드암 스로]]로 전향했다는 기사가 뜨는데 아마 이런 과정에서 무리한 투구폼 수정과 전년도의 혹사로 부상을 당하지 않았나 싶다. == 프런트 경력 == [[김해님]]에 이어서 [[롯데 자이언츠]] 스카우트팀을 이끌었다. 2019년 6월 [[표성대]]에게 스카우트 팀장 자리를 넘기고 운영팀장으로 보직을 변경했다. 스카우터로 재직할 동안 [[김해님]]만큼 성과가 없는 수준은 아니지만 이 인간도 이상한 픽을 상당히 했다. [[2017 KBO 신인드래프트]]에선 [[이승호(1999)|이승호]]를 거르고 포수 [[나균안]]을 스틸픽한게 결과적으로는 실패로 끝났으며 [[2018 KBO 신인드래프트]]에선 2차 2라운드에서 [[최민준]], [[이재원(1999)|이재원]], '''[[정철원]]''' 등 쟁쟁한 고교 선수들을 거르고 대졸 투수 [[정성종]]을 얼리픽했지만 공만 빠르고 나머지는 수준 이하라는 것만 드러나며 '''대망(亡)의 픽'''이 돼버렸으며 [[2020 KBO 신인드래프트]]에선 [[전의산]], [[남지민]], [[이주형(2001)|이주형]] 등 연고지 내 뛰어난 유망주들이 2차 지명으로 대거 빠졌지만 좌완이 부족한 이유로 [[홍민기(야구선수)|홍민기]]를 2차 1라운드로 지명했고 홍민기는 이후 부상으로 사이버 투수가 되었으며 이후 1군에 처음 등판했을 땐 좌완 파이어볼러라고 말하기에도 민망한 구속을 보이고 군입대를 하면서 사실상 [[한승혁(좌완투수)|한승혁]]의 재림이 되어버렸다. 그리고 수비 평가가 안좋은데 대형 내야수감이라고 평가했던 [[고승민]], [[윤동희]]가 전부 외야수로 전향했으며 특히 윤동희 같은 경우엔 내야수가 급한 팀 상황에서 유격수가 가능하다고 장담했음에도 1년만에 바로 외야수로 전향하면서 비판을 받았다가 이후 [[입스]]라는 결과가 밝혀져 겨우 잠잠해졌다. 이후 스카우트 팀장으로 권영준이 선임되고 2021년 [[2022 KBO 신인드래프트]] 이후로 김풍철의 모습을 보이지 않아 다른 부서로 이동한 것으로 보였는데 이후 육성 부단장으로 재임 중이라는게 밝혀졌다. 이후 [[성민규]] 단장이 경질되고 [[박준혁]] 단장이 부임하면서 프런트들의 대거 인사이동이 이뤄졌고 이 과정에서 다시 스카우터 부서로 좌천된 걸로 보인다.[[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410/0000966073|#]] == 연도별 주요 성적 == ||<-17> {{{#fff 역대 기록}}} || || 연도 || 팀 || 출장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ERA || ERA+ || FIP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WHIP || sWAR || || 2002 || [[롯데 자이언츠|롯데]] || 25 || 54 || 1 || 3 || 1 || 0 || 3.67 || 114.7 || 3.87 || 49 || 6 || 19 || 44 || 1.20 || 1.10 || || 연도 || 팀 || 출장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ERA || ERA+ || FIP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WHIP || sWAR || || 2003 || [[롯데 자이언츠|롯데]] ||<-15> 1군 기록 없음 || ||<-2> '''[[KBO 리그|KBO]] 통산'''[br](1시즌) || 25 || 54 || 1 || 3 || 1 || 0 || 3.67 || 114.7 || 3.87 || 49 || 6 || 19 || 44 || 1.20 || 1.10 || == 여담 == * 지금까지 지명회의에서 '''한 번도 타임을 부른 적이 없었다.''' 하지만 [[KBO 리그/2021년/신인드래프트|2021 KBO 신인드래프트]]에서 타임을 불렀다. * [[프로야구 매니저]] 속 김풍철 카드의 사진이 매우 특이한데, 김풍철은 2002년과 2003년에만 팀에 소속되어 있었는데 사진 속 유니폼은 '''2009년부터 2017년까지 입었던 홈 유니폼'''을 입고 있다.[* 특히 2002년엔 잘 알고 있는 주황색 폰트의 자이언츠 유니폼이 아닌 검은 폰트의 유니폼을 입고 있었다. 그리고 2003년에 자이언츠 홈 유니폼은 자이언츠 폰트 위에 작은 LOTTE 글자가 쓰여 있지 않았다.] 이를 찾아낸 용자가 사진의 출처를 찾았는데 원래 사진의 주인은 [[송승준]], 그것도 '''[[김거김]]'''이 일어난 경기에 찍힌 [[송승준]] 사진에다가 2003년도에 김풍철 얼굴을 합성하고 등번호도 교묘하게 합성한 것이다.(...) [* 유니폼 앞 번호 (54번) 부분을 자세히 살펴보면 합성해서 붙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br][[파일:프야매 김풍철.jpg]]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76년 출생]][[분류:2002년 데뷔]][[분류:2003년 은퇴]][[분류:양산시 출신 인물]][[분류:동래고등학교 출신]][[분류:동아대학교 출신]][[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상무 피닉스 야구단/전역]][[분류:롯데 자이언츠/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