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김포시의 버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포8000.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김포시 CI_White.svg|width=30]] {{{#ffffff 김포시 직행좌석버스 8000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김포 8000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 약암리(대명항) ||<-2> 종점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동3가(신세계백화점) || ||<|2> 종점행 || 첫차 || 04:30 ||<|2> 기점행 || 첫차 || 06:00 || || 막차 || 23:10 || 막차 || 00:30[* 공식 막차시간은 00:30 이지만 실제로는 거의 1시에 출발한다.] || ||<-2> 평일배차 || 30~40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35~45분/공휴일 40~55분 || ||<-2> 운수사명 || [[김포운수]] ||<-2> 인가대수 || 9대 || ||<-2> 노선 ||<-4> [[대명항]] - 율생리입구 - 양곡버스정류장.양곡사거리.양촌터미널 - 곡촌3단지 - 고다니8단지 - 호수마을5단지후문 - 지난마을 - [[장기역]].김포고용복지플러스센터 - 장기고등학교 - 수정마을 - 전원마을1단지 - 전원마을3단지 - 모담마을 - {{{#aaa 김포한강신도시IC}}} - {{{#aaa 김포한강로}}} - (→ {{{#aaa 개화IC}}} → [[개화역광역환승센터]] → [[송정역(서울)|송정역]] → [[마곡역]] → [[발산역]] →/← {{{#aaa 올림픽대로}}} ← 가양8단지아파트.[[가양역]] ←) - [[등촌역]].강서보건소 - [[염창역]].서울도시가스 - {{{#aaa 노들로}}} - [[당산역]] - [[영등포시장역|영등포시장]] - 신세계백화점 || == 개요 == [[김포운수]]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 [[http://map.naver.com/?busId=13011&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왕복 운행거리는 85.5km다. == 역사 == [[파일:김포60-1.jpg]] * 기존에 양곡에서 영등포를 잇던 [[김포 버스 60-1|60-1번]]이 전신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조하면 되나 간략히 설명하자면 양곡에서 출발하여 현재의 양곡 이후 [[김포 버스 81-1|81-1번]]처럼 한강신도시 C지구(구래동, 마산동)를 경유하지 않고 장기동으로 들어와 [[김포 버스 22|22]]번처럼 장기동을 들쑤신 후 김포 우회도로를 통해 고촌을 지나 [[개화역]], [[송정역(서울)|송정역]] 이후 여느 김포 시내버스처럼 [[공항대로]]를 따라 [[영등포역]]까지 가는 노선이였다. 하지만 송정역 이후에는 별 수요처가 없다는 것과[* 한강신도시에서 당산역 등을 이용할 경우에는 8601번을 이용하는 게 시간면에서 훨씬 이득이다. 그렇다고 서울시내 수요가 좋은 것도 아니었다.] 배차간격으로도 [[김포 버스 22|22번]]에게 한참 밀려서, 이래 치이고 저래 치이던 상황이였던지라... 마침 [[한강신도시]]에서도 [[가양역]]으로 가는 직행좌석버스의 신설요구도 있고 해서 2014년 4월 2일에 겸사겸사 만들어지게 되었다. 결국은 요금만 두 배로 올라가고 다시 [[개화역]] 행 셔틀이 되어버렸다. * 고속화도로 내 입석금지 제도가 시행되면서, 2014년 7월 16일부터 양 방향 모두 올림픽대로 대신 송정역과 개화역환승센터를 경유하게 되었다. [[http://gyh95050.blog.me/220058274573|관련 게시물]] * 2014년 12월 1일부터 김포 방면은 송정역으로 가지 않고, 마포중.고교와 가양역을 거쳐 올림픽대로를 통해 김포로 간다. [[http://blog.naver.com/j2682312/220192230513|관련 게시물]] * 2016년 6월 21일부터 7월 1일까지 대명항 - 대곶사거리 - 율생리입구 - 양곡터미널 구간을 연장하는 안건에 대해 의견을 받았다. [[http://www.gimpo.go.kr/portal/notice/vw.do?not_ancmt_mgt_no=26380&menu_cd=100303|관련 문서]] 노선 변경이 확정되어 2016년 7월 14일에 대명항으로 연장되었다. [[http://m.dcinside.com/view.php?id=bus&no=1231751|관련 게시물]] 다만, 행선지 스티커 등 외부 작업은 13일에 미리 완료되었다. * 2018년 7월 1일에 양곡주공7단지 - 곡촌마을1.2단지 - 고다니마을8단지 구간을 단축하고 대명항 막차를 23시 반에서 22시 40분으로, 영등포 막차를 0시 30분에서 0시로 조정할 예정이었으나 무산되었다. [[http://www.gimpo.go.kr/portal/bbs/CM4207/view.do?num=1850&menu_cd=100300&pageIndex=1&pblc_bbs_id=CM4207&rannum=8628|김포시 공지사항]] * 2019년 5월에 2018년 7월와 똑같이 곡촌마을 구간을 단축하는 안이 나왔고, 이번에는 동년 7월 1일에 실제로 시행되었다. [[http://gimpo.go.kr/portal/ntfcPblancView.do?key=1004¬_ancmt_mgt_no=38277&pageIndex=2&cha_dep_code=&searchCnd=not_ancmt_sj&cate_cd=1|김포시 공지사항]] [[https://m.blog.naver.com/nobunaga34/220842945535|관련 게시물]] * 2019년 11월 김포운수가 적자를 이유로 노선반납을 신청했다. 이에 경기도 [[경기도 공공버스]] 시범노선 중 하나로 선정되어 경기도로 소유권이 넘어가 노선입찰 방식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 2019년 11월 30일에 토요일, 공휴일만 첫차는 30분 늦춰지고, 막차는 30분 앞당겨졌다. [[http://m.dcinside.com/board/transit/190428|관련 게시물]] * 2020년 2월에 2019년 7월 1일에 폐지된 곡촌마을 구간을 환원하는 안이 공개되었다. 경기도 공공버스 사업이 시행되는 2020년 7월 중에 시행될 예정이였으나 연기되어 2021년 1월에 시행되었다. 또한, 2020년 3월 1일부터 공공버스 시행 전까지는 한시적으로 5대로 감차되다 공공버스 시행이 이뤄지면서 8대로 증차되었다. [[http://gimpo.go.kr/portal/ntfcPblancView.do?key=1004¬_ancmt_mgt_no=41565&pageIndex=1&cha_dep_code=&searchCnd=not_ancmt_sj&cate_cd=1|김포시 공지사항]] * 2023년 1월 1일에 대광위 준공영제로 이관되었다. == 특징 == * [[김포한강로]] 경유 서울 방면 직행좌석버스 중 최초로 전원마을과 모담마을을 경유해서 김포한강로로 진입한다. 고로 풍경마을, 하늘빛마을 등 한강신도시 A지구 중심으로는 지나가지 않는다. * [[올림픽대로]]를 통해 [[한강신도시]]에서 [[가양역]]까지 직통운행하는 노선이었지만 2014년 7월 16일 [[수도권 광역버스 입석금지]]에 대한 대책으로 자동차전용도로[* [[김포한강로]] 경유에 대해서도 이야기가 나올 수 있는데, 실질적으로 [[고속화도로]]지만 법적으로 아직 김포한강로는 [[자동차전용도로]]가 아니다.]([[올림픽대로]])경유를 포기하고 [[공항대로]]를 경유하도록 노선을 변경했다가 수요 저조와 중복노선([[김포 버스 22]]) 등으로 인해 김포시 방향만 2014년 12월 1일부터 다시 올림픽대로를 이용하게 되었다. 이로써 반만 환원되었어도 [[서울 버스 9707]]에 이어 두 번째로 고속화도로 재경유 노선이 되었다. * [[경기도 공공버스|공공버스]]가 시행되어 배차간격이 크게 좋아졌음에도 불구하고 [[공기수송(교통)|수요가 상당히 저조하다]]. 그도 그럴 것이 배차간격이 나아졌다고는 하지만 그래도 15~40분으로 긴 편이며, 대체노선[* 대명항~대곶 일대는 [[김포 버스 60-3|60-3번]]과 [[인천 버스 60-5|60-5번]], 한강신도시는 [[김포 버스 21|21번]], 모담마을~걸포동은 [[김포 버스 388|388번]], 서울 구간은 [[김포 버스 60|60번]]]이 있고 해당 노선들의 배차간격도 준수하기 때문에 그런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출.퇴근 시간대만 제외하면 한산한 편. * 영등포 방면 운행 시와 김포 방면 운행시에 따라 운행 경로가 달라진다. 영등포 방면으로 갈 때 개화IC로 나온 뒤 개화역광역환승센터에 정차한 뒤 송정역으로 간 후 공항대로를 따라 염창역까지 가지만, 김포 방면으로 갈 때 공항대로를 따르다가 강서구청사거리에서 우회전한 뒤 가양역에 정차한 후 가양대교남단에서 올림픽대로를 탄다. * 이 노선도 한때 과속을 하며 날아다닌 90km/h 제한차량과 100km/h 제한차량이 공존했었으나 현재는 속도 제한 차량과 상관 없이 공공버스 전환으로 과거에 비해 매우 낮아진 편이며, 좌석수는 41석으로 개조되어 기존 노선 또는 [[김포 버스 G6005|G6005번]]으로 넘어갔다. * 그리고 상술한 공공버스 전환 이후로 운행 속도가 느려지고 종점에서 회차하는 시간도 늦어지면서 사실상 [[심야버스/대한민국|심야버스]]의 기능을 하고있다. 심야에 당산역에서 대부분 약 새벽 1시에 통과하면서 김포(한강신도시)로 가는 노선 중 가장 늦게 통과하며, 학운리 방향 [[김포 버스 81-1|81-1번]]의 막차와 연계되는 경우도 있다.[* 만약 평일에 이 노선의 막차를 놓쳤을 경우 [[서울 버스 N26|N26번]]이나 [[서울 버스 N51|N51번]]을 타고 [[합정역]]에서 [[김포 버스 이음1|이음1번]]을 타는 방법도 있다. ~~조금 번거롭지만 택시비를 아낄 수 있다.~~] === 시간표 === [[파일:김포_8000_시간표.png]] === 노선 === ||<:>{{{#ffffff 김포시 직행좌석버스 8000번}}}||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6px" ||<-6><:>'''경방타임스퀘어.신세계백화점[br]19110'''|| ||<:>영등포시장[br]19104|| ||<:>|| || ||<:>영등포시장[br]19120|| ||<:>당산푸르지오아파트[br]19126||<:>{{{#ffffff ↓}}}|| || ||<:>{{{#ffffff ↑}}}||<:>삼환아파트[br]19125|| ||<:>당산역[br]19996|| || || || ||<:>당산역.삼성래미안아파트[br]19174|| ||<:>{{{#808080 노들로[br]미정차}}}||<:>{{{#ffffff ↓}}}|| || ||<:>{{{#ffffff ↑}}}||<:>{{{#808080 노들로[br]미정차}}}|| ||<:>염창역.서울도시가스[br]16001|| || || || ||<:>염창역.서울도시가스[br]16002|| ||<:>등촌역.강서보건소[br]16003|| ||<:>{{{#ffffff ↓}}}||<:>{{{#ffffff ↑}}}|| ||<:>등촌역.강서보건소[br]16004|| ||<:>KC대학교.화진코스메틱[br]16105|| || || || ||<:>강서구청사거리.서울디지털대학교[br]16008|| ||<:>가양역.마포중고등학교[br]16135||<:>{{{#ffffff ↓}}}|| ||<:>{{{#ffffff ↑}}}|| ||<:>KBS스포츠월드[br]16010|| ||<:>가양3동도시개발8단지아파트.가양역[br]16134|| || || || ||<:>발산역[br]16017|| ||<|3><:>{{{#808080 가양대교남단IC[br]미정차}}}||<:>{{{#ffffff ↓}}}|| ||<:>{{{#ffffff ↑}}}|| ||<:>마곡역[br]16019|| || || || || ||<:>송정역[br]16014|| ||<:>{{{#ffffff ↓}}}|| || ||<:>{{{#ffffff ↑}}}||<:>[[개화역광역환승센터]][br]16434|| ||<:>{{{#808080 올림픽대로[br]미정차}}}|| || || || ||<:>{{{#808080 개화IC[br]미정차}}}|| ||<:>{{{#808080 김포한강로[br]미정차}}}||<:>{{{#ffffff ↓}}}|| || ||<:>{{{#ffffff ↑}}}||<:>{{{#808080 김포한강로[br]미정차}}}|| ||<:>{{{#808080 김포한강신도시IC[br]미정차}}}|| || || || ||<:>{{{#808080 김포한강신도시IC[br]미정차}}}|| ||<:>모담마을[br]35484||<:>{{{#ffffff ↓}}}|| || ||<:>{{{#ffffff ↑}}}||<:>모담마을[br]35483|| ||<:>전원마을3단지[br]35584|| || || || ||<:>전원마을3단지[br]35579|| ||<:>전원마을1단지[br]35578||<:>{{{#ffffff ↓}}}|| || ||<:>{{{#ffffff ↑}}}||<:>전원마을1단지[br]35577|| ||<:>수정마을.휴먼시아[br]35623|| || || || ||<:>수정마을.쌍용예가[br]35622|| ||<:>캐널시티[br]35785||<:>{{{#ffffff ↓}}}|| || ||<:>{{{#ffffff ↑}}}||<:>캐널시티[br]35784|| ||<:>가현초등학교[br]35628|| || || || ||<:>가현초등학교[br]35629|| ||<:>장기고등학교[br]35536||<:>{{{#ffffff ↓}}}|| || ||<:>{{{#ffffff ↑}}}||<:>장기고등학교[br]35526|| ||<:>장기역.주공아파트[br]35505|| || || || ||<:>장기역.신영아파트[br]35501|| ||<:>장기역.김포고용복지플러스센터[br]35508||<:>{{{#ffffff ↓}}}|| || ||<:>{{{#ffffff ↑}}}||<:>장기역.김포고용복지플러스센터[br]35513|| ||<:>청송마을.성우오스타[br]35193|| || || || ||<:>고창마을.KCC[br]35194|| ||<:>은행연립[br]35187||<:>{{{#ffffff ↓}}} || || ||<:>{{{#ffffff ↑}}} ||<:>은행연립[br]35188|| ||<:>모산.연운사[br]35185|||| || ||||<:>모산.연운사[br]35186|| ||<:>지난마을[br]35877||<:>{{{#ffffff ↓}}} || || ||<:>{{{#ffffff ↑}}} ||<:>지난마을[br]35878|| ||<:>호수마을5단지후문[br]35270|||| || ||||<:>호수마을5단지후문[br]35735|| ||<:>호수마을이편한세상.한가람우미린[br]35640||<:>{{{#ffffff ↓}}} || || ||<:>{{{#ffffff ↑}}} ||<:>한가람마을우미린.호수이편한세상[br]35641|| ||<:>이편한세상.한강아이파크[br]35911|||| || ||||<:>휴먼시아9단지[br]35917|| ||<:>고다니8단지[br]35608||<:>{{{#ffffff ↓}}}|| || ||<:>{{{#ffffff ↑}}}||<:>고다니8단지[br]35306|| ||<:>곡촌3단지[br]35612|||| || ||||<:>곡촌3단지[br]35611|| ||<:>곡촌마을.금호어울림1단지[br]35467||<:>{{{#ffffff ↓}}}|| || ||<:>{{{#ffffff ↑}}}||<:>곡촌마을.금호어울림1단지[br]35117|| ||<:>곡촌마을.희영무지개아파트[br]35598|||| || ||||<:>고다니마을7단지[br]35599|| ||<:>양곡사거리.양촌터미널[br]35104||<:>{{{#ffffff ↓}}} || || ||<:>{{{#ffffff ↑}}} ||<:>양곡버스정류장[br]35464|| ||<:>율생리입구[br]35047|||| || ||||<:>율생리입구[br]35048|| ||<:>대곶사거리[br]35039||<:>{{{#ffffff ↓}}} || || ||<:>{{{#ffffff ↑}}} ||<:>대곶사거리[br]35040|| ||<:>대명초교[br]35394|||| || ||||<:>대명초교[br]35012|| ||<-6><:>'''대명항[br]35004 · 35574'''|| }}}}}}|| || ||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영등포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당산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 [[송정역(서울)|송정역]][*왕편 영등포 신세계백화점 방면만 경유], [[마곡역]][*왕편], [[발산역]][*왕편], [[영등포시장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화역]][*왕편], [[가양역]][*복편 대명항 방면만 경유], [[등촌역]], [[염창역]], 당산역 * [[파일:GoldLine_icon.svg|width=17]] [[김포 골드라인]]: [[장기역]] * 일반 철도역: 영등포역(KTX,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광위 준공영제 버스 노선)] [include(틀:김포-당산역간 버스)] [include(틀:김포-개화역간 버스)] [include(틀:개화역광역환승센터 경유 노선)] [[분류:김포시의 시내버스]] [[분류:2014년 개업한 버스 노선]] [[분류:경기도의 직행좌석버스]] [[분류:서울특별시를 경유하는 김포시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