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김포시의 시내버스]][[분류:고양시 경유 관외 노선]][[분류:2014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2023년 폐지된 버스 노선]] [include(틀:폐선)]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포33_9317.sv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포33_매그넘.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김포시 CI_White.svg|width=30]] 김포시 일반형버스 33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김포 33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양곡리(고다니마을9단지) ||<-2> 종점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일산동구청) || ||<|2> 종점행 || 첫차 || 04:20 ||<|2> 기점행 || 첫차 || 05:20 || || 막차 || 23:20 || 막차 || 00:20 || ||<-2> 평일배차 || 30~40분 ||<-2> 주말배차 || 50~70분 || ||<-2> 운수사명 || [[선진버스]] ||<-2> 인가대수 || 21대[* 코로나19로 인해 실제로는 10대 미만으로 운행] || ||<-2> 노선 ||<-4> 고다니마을9단지 - 곡촌마을.금호어울림1단지 - 고다니8단지 - [[구래역]] - [[마산역(김포)|마산역]] - 뉴고려병원 - 가현초등학교.장기동행정복지센터 - 수정마을 - 장기마을입구.검은다리 - {{{#aaa 일산대교}}} - 한국건설기술연구원.[[킨텍스]] - [[대화역]] - 현대백화점 - 일산노인종합복지관 → 강선마을16.17단지 → 일산동부경찰서 → 일산동구청 → 웨스턴돔 → 일산호수공원 → 일산노인종합복지관 - 이후 역순 || == 개요 == [[선진버스]]에서 운행했던 일반형버스 노선으로 김포시 양촌읍에서 [[정발산역]](일산동구청)를 잇는다. 왕복 운행거리는 약 45km이다. == 역사 == * 2014년 9월 1일에 개통하였다. [[http://gyh95050.blog.me/220108401640|관련 게시물]] 그동안 한강신도시에서 일산까지 바로 가는 버스가 없어 장기사거리까지 나와 [[고양 버스 97|97번]]을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이에 신도시 주민들의 지속적인 민원과 시청의 노력으로 개통하게 되었다. * 2017년 4월에 수도권 최초로 중국산 전기버스 저상버스 10대가 투입되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2809671|관련 기사]] * 중국산 전기 저상버스로 완전히 교체되면서 [[파주선진]] 차고지 주박이 없어졌고, 이에 따라 2017년 7월 14일에 첫/막차 시간이 변경되었다. 전기버스 충전 문제로 인해 부득이 이렇게 한 것으로 보인다. * 양곡 첫차 : 04:30 → 04:20 * 정발산역 첫차 : 변동 없음. * 양곡 막차 : 23:10 → 23:20 * 정발산역 막차 : 00:20 → 00:30 * 2018년 3월에 전기버스 증차분이 투입되었다. [[http://gall.dcinside.com/m/transit/30254|관련 게시물]] * 2018년 7월 1일에 곡촌3단지 경유로 변경될 예정이었지만 무산되었다. [[http://www.gimpo.go.kr/portal/bbs/CM4207/view.do?num=1850&menu_cd=100300&pblc_bbs_id=CM4207|김포시 공지사항]] * 2019년 9월 28일에 [[김포 버스 33-1|33-1번]]의 분리신설을 위해 4대가 감차되어 배차간격이 8~20분으로 조정된다. 또한, 신양중학교 대신 곡촌마을1~3단지를 경유하고, 북변동, 풍년마을, 걸포동을 미경유하여 장기마을입구.검은다리 정류장에서 바로 일산대교로 진입하도록 변경된다. 본래 8월 1일에 변경될 예정이였으나 [[김포 도시철도]]의 개통이 지연됨에 따라 연기되었다. * 2023년 1월 20일에 [[김포 버스 2000|2000번]]과 통폐합되어 폐선되었다.[* 안내문은 운행중단으로 되어있지만 대놓고 2000번이 대체 노선이기 때문에 비슷한 구간으로 본노선 개통을 할 가능성이 없다보니 사실상 폐선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본래는 2023년 1월 16일부로 시행 예정이었으나 노선 확정이 늦어지면서 연기되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577658&page=1|#]] == 특징 == === 김포 도시철도 개통 이전 === * 분명 [[한강신도시]] 주민들의 요청으로 만들어지고 양곡과 일산을 잇는 노선은 맞는데, 수익성을 이유로 김포 원시가지 중심지인 풍년마을(김포고)까지 들어갔다가 유턴 후 [[일산대교]]를 건넌다. 원래 만들려던 노선은 '양곡 - 한강신도시 - 장기사거리 - 걸포동 - 일산대교'였는데, 이것이 '양곡 - 한강신도시 - 장기사거리 - 걸포동[* --물론-- 이것도 수익성을 위한 선진 측의 무단(...) 노선 변경으로 걸포동이 아닌 북변택지와 구시가지를 경유한다. 아래 참조.] - 풍년마을.김포고(서울 방면) - 풍년마을.김포고(강화 방면) - 걸포동 - 일산대교'가 되어버린 것. 여기에서 거의 20분 가까이 날아간다(...) . 계속 타고 있자면 [[대략 정신이 멍해진다]]. 심지어 반대 방향인 일산→한강신도시 노선도 마찬가지로 김포고, 풍년마을을 찍고 들어간다. 한마디로 똑같이 시간이 더 걸리는 것도 물론이요, 김포고 정류장에서는 똑같은 방향, 똑같은 장소에 일산으로 가는 버스와 한강신도시로 가는 버스가 모두 오는 상황. 덕분에 잘못타면 '''한강신도시로 가려다 일산으로 갈 수도, 일산으로 가려다 한강신도시로 가는 불상사가 터질 수 있다.'''(...) 그러니 버스 앞에 방향 표시판을 보거나 기사에게 어느 방향으로 가는지 물어봐야 했다. * 물론 기존에 [[일산대교]]를 경유하여 김포와 일산을 잇던 노선들의 --암울한-- 사례를 보면 노선이 이 모양이 되는건 어쩔 수 없었을 지도 모른다. 본격적인 한강신도시 개발 전 시범지구였던 장기지구 입주 초기 [[대명항]]과 [[대화역]]을 잇던 [[김포운수]] 605번이, 또 [[강화터미널]]에서 한강신도시를 --살짝 스쳐-- 경유하여 대화역까지 운행하던 [[선진상운|강화운수]] [[김포 버스 80|80번]], 이외에도 계양역과 대화역을 잇던 300번, 북변동을 경유했던 [[고양 버스 550|550번]], ~~존재감 없는 [[고양 버스 15|15번]]~~ 등 [[일산대교]]를 경유하여 운행하던 노선들은 하나같이 저조한 수요로 인해 폐선의 길을 걸었다. 구도심 또는 신도시에서만의 수요로는 부족했는지 두 곳을 모두 지나는(...) 방법을 선택한 것. * 비록 업체 입장에서는 폐선 방지를 위한 수익성 재고의 결과겠지만, 이 노선을 원했던 신도시 주민들에게는 '''레전드급 [[굴곡 노선/버스/경기도|굴곡 노선]]'''이다. 이 풍년마을 유턴을 위해 거치는 원도심 구간은 김포시 도로교통의 상막장이 열린 곳들(...)로, 이 때문에 원도심을 운행하는 동안 '''2~30분의 시간이 소요'''된다. 결국 [[김포 버스 60-3|60-3번]], [[김포 버스 81|81번]] 혹은 이 버스를 타고 가다가 장기사거리에서 내려서 97번 기다리는 편이 33번을 타고 원도심 투어하는 것보다 더 빠르게 먹혔다. 결국 신도시에서의 33번은 81, 81-1과 함께 원도심 셔틀로 전락했었다(...) * '''그러나''' 구도심에서는 사정이 달랐다. 기존 고촌을 지나 [[김포대교]]를 타고 일산으로 돌아가는 96번과 달리, 김포고 유턴 뒤 걸포동을 지나 바로 일산으로 꽂아주므로 [[고양 버스 96|96번]]의 경쟁노선으로서 훌륭한 역할을 하고 있다. [[대화역]]이나 킨텍스 쪽으로 갈 경우 96번을 타는 것보다 많은 시간이 절약된다. ~~무엇보다 96번은 대화역하고 킨텍스를 가지 않는다.~~ * 결론은 기껏 신도시를 위해 노선을 만들었더니 오히려 구도심에서 인기있는 노선이 되어 버린 셈.[* 물론 이는 목적지가 일산인 경우 한정으로, 신도시에서 33번 타고 김포시내 가는 수요는 그 이상으로 매우 많다. --그러라고 만들어 준 노선이 아닐텐데--] --사실 [[광역급행버스 M6427|이 노선]]에서 쌓인 한을 풀고 싶었던 거다.--[* 선진에서는 M6427을 김포시내-고촌-올림픽대로 루트로 운행하려고 했으나, [[한강신도시]] 주민단체의 강력한 민원세례로 인해 [[김포 한강로]] 직통안으로 결정되었다. 하지만 M6427의 경우 원래 계획 노선이 한강로 직통안이며, 김포시내 경유루트는 한강신도시의 입주 부진으로 [[공기수송(교통)|공기수송]]이 우려되자 나온 고육지책이다. 이게 핌피로 인해 원안대로 밀어붙여진 것.] * 33번이 신설되면서 605번 이후로 [[고양시]]에서 철수했던 선진버스가 이 노선으로 다시 한번 일산에 진출하게 되었다. 그리고 얼마 후 [[김포 버스 2000|2000번]]을 인수하면서 고양시 진출 노선을 하나 더 갖게 되었고, 김포 도시철도 개통일에 맞춰 김포시 버스노선들이 개편을 함에따라 33-1번이 분리신설 되면서 순식간에 3개로 늘어났다. * 인가대수는 17대였으나 처음부터 20대나 뽑아서 열정적으로 운행했지만 한계가 있었는지 81번 등 타 노선으로 빠지거나 예비차로 격하된 차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른 배차간격 증가는 덤. * 과거 [[신성여객(파주)|신성여객]]에서 운영하던 [[파주 버스 33]]과 일부 구간이 겹쳤다. 이 때문에 노선번호 앞에 '김포'라고 따로 표기하였는데, 지금은 해당 노선이 폐선되어 굳이 구분할 필요가 없지만, 그동안 '김포33'이라고 쓴 게 익숙해졌는지 새로 들여온중국산 전기버스까지도 측면 행선지를 포함해 전면 LED까지 '''김포33'''으로 표기해놨다. 물론 [[광주광역시 시내버스]]나 [[보성교통|보성군 농어촌버스]]의 예시와 달리 노선명 자체가 '김포 버스 김포33' 따위가 된 건 아니다. * 노선 인가상에는 한강신도시-북변사거리-북변환승센터-김포고(유턴)-북변환승센터-걸포사거리-[[일산대교]] 노선으로 왕복해서 걸포동을 경유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실제로는 한강신도시-북변사거리-'''김포초교'''-김포고(유턴)-북변환승센터-걸포사거리-[[일산대교]] 구간으로 운행하고 있었다.(하행도 마찬가지) 따라서 이 구간을 지날 때 종종 BIS에서 차가 사라졌다 순간이동하는 현상이 발생했다. [[선진버스]] 측에서는 인가 과정에서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빠른 시일 내 BIS를 수정하겠다고 하지만 2016년 2월 1일까지도 여전히 이 문제는 고쳐지지 않고 있었는데 드디어 경로변경이 이루어졌다. 다만 이 와중에 김포방향의 김포고 정류소를 빼먹었다(...) * 선진버스 측에서 밝힌 노선 변경 이유는 북변동·검단 주민의 교통 편의 증진이다. 운행 첫 날부터 이렇게 다녔는데 약 2년이 돼서 해결되었다. 김포 도시철도 개통이후 풍무동이나 북변동 주민들은 33-1번을 이용해야 한다. * 한편 한창 증차가 되었던 2016년경에는 김포시가 아닌 일산 지역에서 의외의 효과가 나타났는데, 대화역에서 [[KINTEX]] 제2전시장으로 갈 수 있는 가장 가성비 좋은 해결책이기도 했'''었'''다. 기존 제1전시장의 경우 [[고양시 마을버스]] [[고양 버스 039|039]], [[고양 버스 082|082]] 등이 빗자루질을 하고 있지만 제2전시장은 역에서 도보로 30분 이상 걸린다. 물론 제2전시장을 회차점으로 하는 버스노선이 몇 개[* 그 중 하나가 [[고양 버스 058|고양 058번]]인데, 이 노선은 [[한류월드]] 지구 독점 경유로 인해 대화역까지 우회한다. --[[고양 버스 062|062번]]은 애초에 이마트 킨텍스점을 노린거라 탈락.--] 있지만 죄다 광역노선이나 시외버스이고[* 즉 버스요금이 일반 시내노선의 2배 가량. 게다가 [[경기순환버스 8109|8109번]]은 일반 광역보다 더 비싸다!] 그나마도 한 시간에 몇 대 없는데. 김포 33번을 타고 건설센터에서 내려서 빤하게 보이는 제2전시장까지 5분 정도 걸어가면 된다. 물론 97번을 타도 되지만 이 노선은 주말의 경우 거의 20분에 한 대씩 오는 노선이라 사실상 있으나마나했는데, 33번이 증차되면서 숨통이 상당히 트였다. * 그러나 이제는 [[고양 버스 089|089번 마을버스]]가 더욱 가까이 내려주고, 33번 배차간격이 거의 97번과 맞먹을 정도로 배차가 반토막나버렸기 때문에 제2킨텍스 셔틀이란 타이틀은 무색해졌다. * 그리고 전기버스 운행으로 인해 2017년 하반기 들어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는 것은 인가대수 19대가 맞나 싶을정도로 벌어진 배차간격이다. 평일 낮 배차는 [[고양 버스 97]]과 맞먹는 20분 가량에, 평일 출퇴근시간이 그나마 예전의 평일 낮 배차 정도인 10 ~ 15분이고, 평일 밤 8시 30분 이후나 주말/공휴일은 '''거의 30분 이상'''이다. BIS를 앱 등으로 찍어보면 일산대교-일산동구청 양 방향 구간에서 배차중인 버스가 꼴랑 1대, 심지어는 단 1대도 없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차량혼잡도 상승은 덤. 그래서 현재 선진에서는 대책을 마련 중이라고 하는데...~~좌석시트로 개조하면 끝 아닌가?~~ 전기버스를 딱히 투입할 노선이 없기 때문에 당분간은 이러한 현상이 지속될 듯하다. === 김포 도시철도 개통 이후 === * 고양시 구간은 [[김포 버스 33-1|33-1번]]과 노선이 완전히 동일하기 때문에 '''김포 원도심(걸포, 북변, 사우, 풍무 등)이 목적지인 경우 33-1번을 타야한다.''' 반대로 '''[[한강신도시]](구래, 마산, 장기 등)가 목적지인 경우에는 이 노선 그대로 타면 된다.'''[* 2023년 1월 20일부터는 이 노선이 운휴되면서 대신 [[김포 버스 2000|2000번]]이 한강신도시를 이어준다. 다만 33번 시절 노선과 다르게 2000번은 중앙차로만 경유한다.] * 2020년 들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로 인한 감차로 평일 배차간격이 감차 전 시절의 주말 배차간격보다 길어지는 현상이 지속되었다. 평일 출퇴근시간 배차간격만 20분 이상 벌어지며, 평일 평시나 주말은 거의 30~40분까지 벌어지는 일도 자주 발생되었다.[* 게다가 저상 전기버스의 좌석수가 20석이 안될정도로 매우 적다보니 입석이 평소에도 자주 생기는 편이다.] 심지어 2021년에 들어서는 평일 기준 30~40분, 주말은 무려 '''1시간에 한 대가 올 정도'''로 배차간격이 더욱 안좋아지면서 승객들의 불편은 과거 10분에 한대 다녔던 노선이 맞나 싶을정도로 불편이 커지는 상황이 이어졌다. 김포-일산 간 이동하는 수요는 있으나 운행 여건이 점점 악화되면서 배차간격은 점점 증가되고 기존에 이용하던 승객들은 타 노선을 이용하는 등 악순환이 이어지면서, 결국 운행중단 직전 시절에는 평일 [[러시 아워]] 시간에도 1시간이 넘어가는 경우가 많았다. * [[김포 도시철도]] 개통 이후로 과거 사우동에서 유턴했던 양방향 정차 구간이 사라졌지만, 이후에도 일산 방향과 김포 방향을 구분하는 행선판을 사용했다. || 한강신도시 방향 || 일산동구청 방향 || || '''{{{#black {{{+3 구래동}}}}}}''' || '''{{{#red {{{+3 일산행}}}}}}''' || === 사건/사고 === * 2017년 9월 13일 김포 구래동 오라니마을 사거리 교차로에서 보행자 신호 중 자전거를 타고 건너던 중학생 A군이 '''신호를 무시한 채 우회전하는''' 버스에 치여 병원으로 후송됐지만 끝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09543129?sid=102|관련 기사]] 추가로 해당 교차로는 자전거 전용 횡단로(보행자 횡단보도의 끝 부분에 실선으로 표시된 공간)가 설치되어 있어 자전거에서 내리지 않고 건너도록 되어 있는 교차로이므로 자전거를 타고 교차로를 건넌 학생 측은 책임이 없다. * 2018년 7월 2일에 정비 중이던 AVIC 전기버스 한 대에 불이 나 해당 차량의 배터리 1개가 전소되었다. [[http://www.cartv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79108|관련 기사]] 당초 충전 중 발화되었다고 보도되었는데, 이후 정비 중 화재가 난 것으로 정정되었다. 이 화재사고로 인하여 일부 차량은 휴차에 들어가고 뉴 슈퍼 에어로시티가 다시 투입되었다가 다시 복귀되었다. === 노선 === || 김포시 일반형버스 33번 ||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auto -11px" ||<|2> SK엠시티[br]20705 ||<|2> ||<-2> ← ||<|2> ||<|2> 웨스턴돔[br]20514 || || || || || 일산호수공원관리사무소[br]20655 || || || || '''종점''' || '''일산동구청(중)[br]20227''' || || 일산호수공원[br]20177 || ↓ || || ↑ || || 일산동부경찰서(중)[br]20206 || || 대우.삼성오피스텔[br]20155 || || || || || 강선마을16.17단지[br]20697 || ||<-6> 이상 회차 구간 || || 일산노인종합복지관[br]20138 || ↓ || || || ↑ || 일산노인종합복지관[br]20140 || || 문촌17단지신안아파트[br]20636 || || || || || 가로수길[br]20696 || || 현대백화점[br]20583 || ↓ || || || ↑ || 현대백화점[br]20560 || || 킨텍스후문[br]20597 || || || || || -[br] || || 킨텍스삼거리[br]20637 || ↓ || || || ↑ || -[br] || || 장촌초등학교[br]20596 || || || || || 장촌초등학교[br]58330 || || 대화역[br]20086 || ↓ || || || ↑ || 대화역[br]20085 || || 대화중학교.종합운동장[br]20076 || || || || || 대화중학교.종합운동장[br]20077 || || 한국건설기술연구원.킨텍스[br]20557 || ↓ || || || ↑ || 한국건설기술연구원.킨텍스[br]20558 || || 대화마을입구삼거리[br]20632 || || || || || 대화마을입구삼거리[br]20633 || || {{{#808080 자유로출입[br]미정차}}} || ↓ || || || ↑ || {{{#808080 자유로출입[br]미정차}}} || || 한옥마을입구.검은다리[br]35212 || || || || || 장기마을입구.검은다리[br]35213 || || -[br] || ↓ || || || ↑ || 장기사거리.수정마을[br]35211 || || 수정마을.휴먼시아[br]35623 || || || || || 수정마을.쌍용예가[br]35622 || || 캐널시티[br]35785 || ↓ || || || ↑ || 캐널시티[br]35784 || || 가현초등학교.장기동행정복지센터[br]35628 || || || || || 가현초등학교.장기동행정복지센터[br]35629 || || 장기고등학교[br]35536 || ↓ || || || ↑ || 장기고등학교[br]35526 || || 반도유보라.우미린아파트[br]35503 || || || || || 우미린.반도유보라아파트[br]35494 || || 고창마을.반도유보라후문[br]35504 || ↓ || || || ↑ || 타운하우스[br]35506 || || 뉴고려병원.이니스더원[br]35493 || || || || || 뉴고려병원[br]35509 || || 김포생활체육관[br]35694 || ↓ || || || ↑ || 김포생활체육관[br]35695 || || 마산역[br]35685 || || || || || 마산역[br]35684 || || 힐스테이트.경남아너스빌[br]35660 || ↓ || || || ↑ || 힐스테이트.경남아너스빌[br]35659 || || 솔터마을입구[br]35643 || || || || || 솔터마을입구[br]35642 || || 구래역[br]35195 || ↓ || || || ↑ || 구래역[br]35196 || || 호수마을이편한세상.한가람우미린[br]35640 || || || || || 한가람마을우미린.호수이편한세상[br]35641 || || 이편한세상.한강아이파크[br]35911 || ↓ || || || ↑ || 휴먼시아9단지[br]35917 || || 고다니8단지[br]35608 || || || || || 고다니8단지[br]35306 || || 신양초교[br]35592 || ↓ || || || ↑ || 신양초교[br]35595 || || 곡촌1.2단지[br]35633 || || || || || 곡촌1.2단지[br]35639 || || 곡촌3단지[br]35612 || ↓ || || || ↑ || 곡촌3단지[br]35611 || || 곡촌마을.금호어울림1단지[br]35467 || || || || || 곡촌마을.금호어울림1단지[br]35117 || || 곡촌마을.무지개희영아파트[br]35598 || ↓ || || || ↑ || 고다니마을7단지[br]35599 || ||<-6> '''오라니마을 · 고다니마을9단지[br]35645 · 35644''' || }}}}}}}}} || ||||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대화역]], [[정발산역]][* 일산동구청(중) 정류장 하차 후 도보로 이동] * [[파일:GoldLine_icon.svg|width=17]] [[김포 도시철도]]: [[구래역]], [[마산역(김포)|마산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