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마송과 하성을 오가는 마을버스, rd1=김포 마을버스 22)] [include(틀:폐선)] || [[파일:22번시내.jpg|width=100%]] || [[파일:Gimpo22-a.png|width=100%]] || || 일반시내버스 시절, 송정역 종점 당시. || 마곡역 연장 이후.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김포시 CI_White.svg|width=30]] 김포시 좌석버스 22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김포 22 노선도_.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구래리(구래리차고지) ||<-2> 종점 ||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동(마곡역) || ||<|2> 종점행 || 첫차 || 04:30 ||<|2> 기점행 || 첫차|| 05:40 || || 막차 || 00:00 || 막차 || 01:10 || ||<-2> 배차간격 ||<-4> 1일 6회 || ||<-2> 운수사명 || [[선진버스]] ||<-2> 인가대수 || 14대[* 실제로는 1대로 운행했다.] || ||<-2> 노선 ||<-4> 구래리차고지 - 금성백조예미지 - 한강3차푸르지오 - 김포한강신협 - 천주교양곡성당.양곡중고 - 오라니마을.고다니마을9단지 - 호수초교.한강아이파크 - 김포시자원화센터 - 운곡마을 - [[장기역]].김포고용복지플러스센터 - 장기고등학교 - 캐널시티 - (→ 장기사거리.수정마을 →/← 전원마을1단지 ←) - [[48번 국도|{{{#ccc 48번 국도(태장로)}}}]] - 장곡.고촌고등학교 - [[고촌역(김포)|고촌역]] - 아라대교 - (→ 개화역광역환승센터 →) - 개화2치안센터 - 방화중학교 - (→ 롯데몰.김포공항 → 김포공항국제선 → 한국공항공사 → 김포공항국내선 →) - 송정역 - 마곡역 || == 개요 == [[선진버스]]에서 운행했던 좌석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62.2km이다. == 역사 == * 한강신도시의 교통 편의를 위해 신설한 노선으로 한강신도시 입주가 시작되고 조금 지난 2012년 4월 23일에 개통하였다. [[http://e-gimpomaru.gimpo.go.kr/gimpomaru/bbs/WEBZINE/view.do?num=4234&cate_cd=MENU001|관련 기사]] 노선계획 당시 신도시에서는 우회도로 직통을 요구했지만, 선진버스에서는 수요 문제를 이유로 거부하였다. 당시는 한강신도시 입주 초기로 [[김포 한강로]] 경유는 꿈도 꾸지 못할 정도로 인구가 적었고, 우회도로를 경유했던 [[김포 버스 9004|9004번]]이 수요저조로 우회도로 구간이 폐지된 전례도 있었기 때문. 결국 [[김포대로]]를 따라 김포시내를 경유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이 노선이 개통하면서 가망이 없던 9004번은 한 달 뒤인 2012년 5월에 폐선되었다. * 하지만 한강신도시에서 김포 구시가지를 거쳐 서울로 가는 노선은 이미 631번, [[김포 버스 60-3|60-3]]번 등의 기존 노선들이 [[빗자루질(교통)|꽤나 자주 다니고 있었고]] 김포시내(사우동) 통학 노선으로도 [[김포 버스 81-1|81-1번]]이 자리잡아 가던 상황이였기 때문에 신도시의 교통난 해소에는 별 도움이 되지 못했다. 배차 간격 또한 위의 노선들보다 길었기 때문에 그다지 큰 경쟁력도 없고 기존 노선들의 통근. 통학 수요를 일부 나눠먹는 수준에 그치고 말았다. 그런데 정확히 개통 한 달째인 [[2012년]] [[5월 23일]]에 [[광역급행버스 M6117|M6117]]이 개통하면서 큰 타격을 입었다. 당시 자주 다니지도 않았던 데다가, 구도심 경유로 서울 접근성이 낮은 상태에서 서울 접근성이 넘사벽인 [[광역급행버스]]가 개통하자 신도시에서 외면받게 된 것. * 그러던 차에 2012년 10월에 [[김포 버스 3100|3100번]]이 김포 구시가지 구간을 폐지하고 한강신도시에서 바로 김포 한강로를 타도록 변경되었다. 그러자 수요가 2배 가까이 증가하였는데 이걸 의식했는지 한 달 뒤인 2012년 11월 7일에 드디어 한강신도시 주민들이 원하던 대로 구도심 구간을 폐지하고 김포 우회도로(태장로)를 경유하여 고촌(장곡)까지 직통으로 운행하도록 노선이 변경되었다. 덕분에 [[개화역]], [[김포공항]]까지의 소요시간이 크게 줄어들면서 서울 접근성이 눈에 띄게 증가하였고, 예상을 뛰어넘는 지금의 [[가축수송(교통)|가축수송]] 노선이 탄생하였다. [[2015년]] 현재는 출근 시간의 경우 마산동 은여울마을만 지나도 [[헬게이트]]가 열리며 장기동에 들어오는 순간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2017년]] 현재는 21번의 분리개통으로 수요가 나눠먹기되어 과거처럼 [[헬게이트]]가 열리진 않는다. [[파일:attachment/김포 버스 22/22.jpg]] * 이런 대표노선에서 수익을 더 창출하고 싶었는지, 2013년에 일반좌석버스로 형간전환을 위해 [[현대 유니시티|유니시티]]를 출고했다.--어차피 바뀔 거 진작 바뀌었으면 지금보다는 나았을텐데-- 김포시청에서도 인가 변경 허가를 내주어 별 문제 없이 준비 중이였는데 반대 민원이 접수되자 김포시가 돌연 태도를 바꿔 인가 변경을 거부했다. 결국 이 차량들은 [[선진상운|강화운수]]로 가서 [[김포 버스 3000|3000번]]에 있던 구형 디젤 차량들을 밀어내고 투입되었다. --이때부터 김포시의 오락가락 행정이 잘 드러난다-- * 2014년에 한 번 더 전환을 시도했다. [[광역급행버스 M6427|M6427번]]의 한강신도시 직선화를 수용하는 대신 협상조건으로 내건 듯. --참 많이도 퍼 줬다-- 이 때문에 당시 M6427번의 인가대수가 6대로 줄었고, 1004번이 신촌을 경유하면서 여의도 직장인들이 큰 피해를 봤으며, 여기 22번까지 협상대상에 포함된 것. * [[선진네트웍스]]와 한강신도시 주민들 간의 줄다리기는 계속되었다. 2015년 12월에 일반좌석버스 도색을 한 뉴 슈퍼 에어로시티를 출고하여, 다시 한 번 형간전환을 추진하였다. 사실 인가는 2015년 9월에 이미 받은 상황이였으나 --미리 예고했다간 다시 한번 민원 폭탄을 맞을 게 분명하니-- 조용히 준비하여 차량 행선판 작업까지 모두 마치고 전환을 고작 일주일 남겨 둔 상태에서 안내문을 붙이기 시작하였다. 12월 25일에 변경될 예정이었으나, 1주일 연기되어 2016년 1월 1일에 전환되었다.[* 원래는 20번도 같이 전환될 예정이었으나, 걸포동 주민들이 시청을 방문해 항의하면서 전환이 연기되었고, 이후 1월 11일에 전환되었다.] [[http://gyh95050.blog.me/220583117090|관련 게시물]] * 기점을 양곡차고지에서 구래리차고지로 바꾸고, 복합환승센터와 솔터.은여울마을 대신 호수마을을 경유하는 안건에 대해 2017년 3월 10일부터 20일까지 의견을 받았다. 기존 구간은 신규 노선인 [[김포 버스 21|21번]]이 대체하게 된다. [[http://www.gimpo.go.kr/portal/notice/vw.do?not_ancmt_mgt_no=28836&cate_cd=1&menu_cd=100303&pageIndex=1|김포시 공고 제 2017-392호]] * 안건 일부가 확정되어 2017년 4월 8일에 이마트(김포한강점) 대신 모산.연운사, 운곡마을 경유로 바뀌었다. 기점은 구래리차고지로 바뀌지 않고 유지되었다. [[:파일:22번 버스 노선 변경 안내문.jpg|안내문]] * 김포한강아이파크에 입주가 시작되면서, 호수마을5단지후문 대신 이 곳과 호수초교로 돌아가는 안건에 대해 2018년 2월 9일부터 23일까지 의견을 받았다. [[http://www.gimpo.go.kr/portal/notice/vw.do?not_ancmt_mgt_no=32435|김포시 공고 제 2018-299호]] * 2018년 3월 12일에 양곡터미널 첫차가 4시 30분에서 4시 50분으로, 송정역 첫차가 5시 30분에서 5시 50분으로 조정되었다. * 안건이 확정되어 2018년 4월 30일에 호수초교 경유로 변경되었다.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48168|관련 게시물]] * 2019년 9월 28일에 [[마곡역]]까지 연장되었다. [[http://m.dcinside.com/board/transit/173127|관련 게시물]] 마곡나루역 부근도 회차하는 과정에서 지나가기는하나, 해당 정류장에는 서지 않으므로 참고할 것. * 2020년 1~2월에 운행댓수가 급격하게 감차되었다. 12월까지만 해도 평일 14, 토요일 12, 주말 10대로 다니던 것이 지금은 절반도 안 되는 수준으로 줄어들고 구 9-1, 69번과 비슷한 수준으로 전락했다. 이후 2대가 늘어 8대로 증차되었다. 줄어든 차량들은 전부 직행좌석버스 도색으로 재도색한뒤 [[김포 버스 2000|2000번]]으로 빠져나갔다. * 2022년 3월 7일부로 폐지되었다. == 특징 == * 2015년 12월까지 우회도로(태장로)를 경유하는 유일한 시내버스 노선이었다. 과거에 김포운수에서 [[김포 버스 60-1|60-1번]]을 우회도로 경유로 변경하였는데, 22번보다는 배차가 뜸해 수요를 나눠먹으며 연명해 가다가 2014년 4월 [[김포 버스 8000|8000번]]으로 형간전환되면서 김포 한강로 경유로 바뀌었다. * 한강신도시로 갈 때는 장기사거리를 경유하지 않고 전원마을을 들렀다가 갔다. * 일반시내버스였던 2015년에 [[서울 공항중삼거리 버스 간 추돌 사고]]에 연관된 노선 중 하나다.[* 다른 하나는 [[김포 버스 60-3|60-3번]]. 현재는 70km/h이내로 운행한다.] 사고 차량은 수리 후 81번으로 이동 후 33번의 AVIC ENVYON 전기버스 운행 중단으로 33번으로 이동되었다가 2019년 현재 다시 81번으로 이동되었다. * GBIS와 카카오에는 회차구간이 공항중학교에서 좌회전해 신방화역을 거쳐 신방화사거리까지 올라가서 회차한다고 뜨지만, 실제로는 신방화역에서 우회전한다. * [[김포 골드라인]] 개통으로 마곡역까지 연장되었지만, 별 소득이 없었는지 대량 감차되어 현재는 폐선되었다. 감차분들은 [[김포 버스 21|21번]]과 [[김포 버스 2000|파주 2000번]]으로 이동하였다. * 2020년 1월 1일에 [[김포 버스 8000|8000번]]이 공공버스로 전환됨과 동시에 노선변경이 이루어지면서 한강신도시 구간의 경로가 22번과 매우 유사해졌다. 안그래도 없는 수요가 배차가 좋아진 8000번에 밀릴 가능성이 커졌다. * 2017년 이전에는 20대 가량 운행할 정도로 폭발적인 수요를 자랑했으나 이후 [[김포 버스 21|21번]]의 분리개통과 [[김포 골드라인]]의 개통 이후에는 노선 자체의 메리트가 사라진 상태이다. 최근에는 코로나로 인해 운행횟수가 대폭 감회되어 사실상 과거 [[김포 버스 20|20번]]처럼 유령노선으로 전락하고 지금은 폐지되었다. === 시간표 === ||<-3> 김포 버스 22번 운행시간표[br]2021년 12월 기준 || || 횟수 || 구래리차고지 || 마곡역 || || 1 || 04:30 || 05:40 || || 2 || 08:00 ||<|4> 도착 후 회차 || || 3 || 12:00 || || 4 || 16:00 || || 5 || 20:00 || || 6 || 24:00 || 01:10 || == 사건 사고 == === 공항중삼거리 추돌 사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울 공항중삼거리 버스 간 추돌 사고)] == 연계 철도역 == * [[수도권 전철 5호선]]: [[김포공항역]], [[송정역(서울)|송정역]], [[마곡역]] *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화역]], [[김포공항역]] * [[인천국제공항철도]]: [[김포공항역]] * [[김포 골드라인]]: [[장기역]], [[고촌역(김포)|고촌역]], [[김포공항역]] [[분류:김포시의 시내버스]][[분류:경기도의 일반좌석버스]][[분류:2012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2022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