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파일:김철주 사진.png|width=70%]] {{{+1 金哲柱}}} [[1916년]] [[6월 12일]] ~ [[1935년]] [[6월 14일]](향년 19세) == 개요 == [[김일성]]의 동생이며 [[김영주(북한)|김영주]]의 형이다. 형인 김일성과 동생인 김영주와는 달리 일찍 사망했다. 1926년 2월 15일 북한에서 결성한 첫 청소년 혁명조직인 새날소년동맹 결성모임의 회원이었고 연길현 제8구반제동맹구 인민위원회의 중국인공작부장을 담당했다. 1930년대 초반 항일유격대에 입대하였다가 1935년 [[연길시|옌지]]의 석인구 인근에서 일본군과 교전 중 전사했다고 한다. 사망년도로 미루어봐서 김일성이 소련 적군에 입대하기 전에 사망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후 북한은 [[대성산혁명렬사릉]]을 조성하면서 김철주를 여기에 안장했다. 김일성의 동생인데다가 빨치산 운동을 하다가 일찍 죽었기 때문에 북한에서는 '김철주 동지' 라는 칭호로 우상화되고 있다. 2005년에는 기념 우표가 발행되었으며 김철주사범대학이 세워지는 등 상당히 대접이 좋다. == 기타 == 묘하게 김일성 3형제들과 김일성의 3자녀들이 비슷한 행보를 보이고 있는데 첫째이자 형 [[김일성]]과 조카 [[김정일]]은 북한의 최고 지도자가 되었고, 둘째이자 본인 김철주와 김일성의 조카 [[김만일(북한)|김만일]]은 어린 나이에 요절하였고, 셋째이자 동생 [[김영주(북한)|김영주]]와 조카 [[김경희(1946)|김경희]]는 앞의 두 형제자매보다 오랫동안 장수하고 있다. 김영주는 향년 101세의 나이로 사망하였고, [[김경희(1946)|김경희]]는 [age(1946-05-30)]세로 현재까지도 살아 있다. 다만 김철주의 경우 20살(만 19세)까지는 살았기 때문에 만 3세에 사망한 [[김만일(북한)|김만일]]과는 꽤 차이가 있다. 그의 이름을 딴 김철주포병종합군관학교가 있었으나 2017년 즈음에 오진우포병종합군관학교로 개칭되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1916년 출생]][[분류:1935년 사망]][[분류:만경대구역 출신 인물]][[분류:김일성 가문]][[분류:전주 김씨]][[분류:대성산혁명렬사릉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