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투니버스]]의 [[더빙]] 연출 PD다. [[http://blog.naver.com/ccaccng|블로그]] == PD 생활 및 작품 == 입사 전에는 오디언의 연출가로 활동했으며, 2011년에 투니버스로 이적한 뒤부턴 [[닌자보이 란타로]] 8기를 시작으로 연출작이 서서히 늘어가고 있다. 투니버스에선 신입 PD인만큼 후속작 위주로 연출만 맡았지만 이미 경력도 있었던 만큼 첫 자신의 작품이라 할수있는 [[치즈 스위트 홈]]에서 [[김현지(성우)|김현지]]의 고양이 연기를 발굴하는 등 평타 이상은 치는 편. 다만 짱구 12기는 짱구 성우 교체로 인해 완전히 묻혀버리고 말았다. 이 후 2013년 여름에 짱구 13기의 연출을 맡아 다시 복귀했다. 이어서 하반기에 [[아이카츠!|아이엠스타]]를 연출하였는데 신입 PD임에도 불구하고 경력 5년 미만의 신인 성우들을 전면에 내세우는 과감한 도박이 보란듯이 성공해서 상당히 안정적인 연출과 주제곡들의 번안을 보여줘서 기대를 받고 있다. 2016년 2월 11일 개봉한 [[극장판 아이카츠!]]를 연출했는데 게스트 [[김자연]] 성우의 초월더빙으로 [[아이카츠 요정|아이엠아재]]들을 열광시켰다. 누적 관객 14만명을 넘어 극장판 러브라이브 관객 기록을 깬 셈이다.[* 하지만 러브라이브는 꾸준히 계속 상영해서 총 관객수 누적 13만명을 동원한 반면 아이엠스타 극장판는 첫주 관객수가 무려 '''10만명'''이였다. 러브라이브 극장판의 첫주 기록(3만 2000명) 경신했지만 이후 엄청나게 급감 하면서 최종 14만명을 그친것이라서 사실상 러브라이브 기록도 간신히 경신한 셈이다.] [[극장판 아이카츠!|아이엠스타]]는 러브 라이브보다 스크린수 2배, 상영횟수 1.5배이며, 특전은 카드 5종만을 지급 했으므로 특전은 훨씬 적었으며 그에 반해 러브라이브는 거의 매주 특전을 제공하였다.[* 상영때까지 일본어를 한국어로 고치지 못하는등의 문제가 한 몫 한것으로 보인다.] '''다만 러브라이브와 아이엠스타는 대상 연령층부터가 다르며, 그에 따라 단순 비교에는 조금 무리가 있다.'''[* 일단 아이엠스타는 여아애니기 때문에, 대부분의 관개들이 유아다. 자연스럽게 엄마나 아빠가 따라오기 때문에 관객수가 두배가 된다.] 아이엠스타 3기에서의 퀄리티는 전보다 그 이상으로 높아졌다. 9기 전속성우인 [[정유정(성우)|정유정]] 성우의 발랄한 연기, 정열적이고 섹시한 목소리를 선사한 [[정유미(성우)|정유미]] 성우, [[캐릭캐릭 체인지]] 이후 오랜만에 노래실력을 보여준 [[양정화]] 성우, 그리고 뱀카츠에서 얀데레스러운 연기로 팬들에게 충격을 선사한 [[김새해]] 성우까지 그야말로 초심으로 돌아간 성우 캐스팅의 조화가 돋보였다. 그리고 24화 엔딩 크레딧에 원판과 똑같이 캘린더 걸을 삽입해주었고 게다가 유일하게 메세지까지 넣어주는 등 한국 팬들은 눈물 찔끔할 정도의 감동을 선사해주었다 그 외 [[아라다 창세전]]을 맡아 귀로 듣는 애니라는 평가를 받으며 호화 성우진과 연출, 가수 [[윤하]]와 [[이승환]] 노래를 주제가로 쓰는 놀라움을 선사하기도 했으며 [[심정희]] PD가 연출했던 [[My Little Pony: Friendship is Magic]]를 시즌 2부터 이어 맡았는데 그 동안 판권 문제로 하지 못했던 삽입곡 번안을 투니버스가 판권 문제를 해결하자마자 삽입곡들을 훌륭하게 번안하여 많은 [[브로니]]들에게 감동을 선사하기도 했다.[* 또 중견급 원로 성우를 세 명이나 기용한 점도 있었는데, [[디스코드]] 역에 '''[[김기현(성우)|김기현]],''' [[My Little Pony: Friendship is Magic/일회성 캐릭터/시즌 2|팬시 팬츠]]역에 [[박일(1946)|박일]], [[My Little Pony: Friendship is Magic/일회성 캐릭터/시즌 2|크랭키 두들 동키]] 역에 [[최흘]] 성우를 캐스팅하는 위엄을 보여주었다.] 김용만 PD가 조연출로 참여한 작품이 몇개 있다.(※) [[http://blog.naver.com/ccaccng/220354177023|출처]] 네이트 웹툰 [[복사골 여고 연극부]]의 주인공 김선아와 언니인 김진아의 모티브이다.[[http://comics.nate.com/webtoon/detail.php?btno=53793&bsno=337340&category=1|#]] === [[유인나]] 캐스팅 논란 === 그런데... 번안곡 등 다양한 퀄리티를 보여주었던 [[아이카츠!|아이엠스타]]에 비성우 연예인인 [[유인나]]가 [[나츠키 미쿠루|미르]] 역으로 캐스팅되어서 한동안 논란의 중심이 되었다. 유인나 캐스팅 건에 대해서는 김진아 PD가 [[http://blog.naver.com/ccaccng/220509133471|자신의 블로그에 입장]][* 현재 비공개 상태]을 밝혔는데, 유인나 캐스팅 건에 대해서는 CJ 등의 외부 개입 없이 PD의 재량으로 캐스팅한 것이라고 김진아 PD 본인이 직접 언급했다. 연예인 캐스팅을 비난하는 [[성우 갤러리|성덕]]들과 아이엠스타를 좋아하는 일반팬 사이에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다른 [[연예인 더빙]]보다는 낫다는 평은 있긴 하지만, 그래봐야 [[국어책 읽기]]라는 평이다.] 결국 3기에서 전문 성우인 [[전해리]]로 교체되었다. ==== 관련 문서 ==== * [[아이카츠!/비판]] === [[노하라 신노스케|짱구]] 성우 교체 논란 === 오랫동안 투니버스에서 [[짱구는 못말려]] 시리즈에서 [[노하라 신노스케|짱구]] 역할을 맡아왔던 성우 [[박영남]]이 건강문제로 물러나고 후임으로 성우 [[정선혜(성우)|정선혜]]가 12기를 위임 받게 되었는데[* 그 전에도 정선혜는 ARS 생방송에서 짱구 목소리를 맡은 바 있었다.[[http://kwon.newsboy.kr/1858|참고]]] 정선혜 성우의 연기도 짱구의 캐릭터를 그럭저럭 잘 연기하였지만 짱구=박영남 성우 라는 인식이 강하게 박힌 시점에서는 당연히 부정적인 반응이 대부분이었고, 네이버 메인에도 짱구 성우 교체라는 단어가 올랐을 정도로 큰 주목을 받았으며 투니버스 홈페이지에서도 성우를 교체해 달라는 요구가 빗발쳤다. 그래도 13기에서 박영남이 복귀했고, 건강상으로 교체된 것이라 끝나는 듯했다. 2017년 6월 9일에 올라온 [[더빙의 신]]에서 짱구 엄마 성우인 [[강희선]]이 밝힌 바에 따르면 '''[[노하라 신노스케|짱구]] 성우는 건강 문제로 12기만 쉬겠다고 한 [[박영남]]의 대타인 정선혜로 계속 캐스팅하려고 했다는 것이 드러났다.''' 그것도 대원이 수입한 [[폭풍을 부르는! 나와 우주의 프린세스|새 극장판]]에서는 이미 복귀하여 녹음을 하고 있었는데도 강행한 것. 강희선이 이것에 대해 크게 항의했었고, 이 소식을 듣고 포기하려고 했던 [[박영남]]을 끝없이 설득해서 유지되었던 거라고 한다. == 총평 == 아이엠스타 1기 때 당시 신입 PD였음에도 불구하고 경력 5년 미만의 신인 성우들을 전면에 내세웠고 아이엠스타 2기 때도 훗날 3기와 4기의 메인 주인공이 되는 [[오오조라 아카리|하늘]] 역에 당시 전속 1년차 신인이었던 [[정유정(성우)|정유정]]을 캐스팅한 걸 보면 성우 캐스팅에 있어 실험정신이 매우 투철한 듯하다. 다만 그런 성향이 안 좋게 폭주해서인지 상술한 것처럼 짱구는 못말려에서 짱구 역의 정선혜를 일시적 성우변경이 아니라 박영남의 건강회복 후에도 계속 캐스팅하려 하기도 했고, 아이카츠 2기에서는 결국 [[나츠키 미쿠루|미르]] 역에 전문 성우가 아니라 비성우 연예인인 [[유인나]]를 캐스팅하기도 했다. 한마디로 실험정신이 폭주하여 무리수 캐스팅으로 이어지지만 않으면 성우 캐스팅을 잘하는 PD인 것 같다. 이 점에 있어서는 KBS의 [[이원희(PD)|이원희]] PD와 비슷하다. 이원희 PD도 [[중복 캐스팅]]과 별개로 더빙퀄리티가 좋은 연출작이 많지만 발연기로 악명 높은 [[김태영(성우)|김태영]], [[신송이]], [[안찬이]]를 무리하게 주연급 배역에 캐스팅하는 삽질을 저지른 적도 있다. 차이점이라면 이원희 PD는 연예인 더빙을 한 적이 없다는 것이다. == 연출작 == === 애니메이션 === * [[나루토 SD 록 리의 청춘 닌자전]][* 2기는 [[심정희]] 피디가 담당.] * [[닌자보이 란타로]] (8~9기)[* 1~2,5~6기는 [[신동식]] PD., 3~4,6~7기부터는 [[김의진(PD)|김의진]] PD.(6기는 공동연출), 10~15기는 미방영, 16기는 김용만.] * [[미르모 퐁퐁퐁]] 4기 차밍[* 투니버스에서 1~3기를 건너뛰고 4기만 방영했다.] * [[쇼콜라의 마법]] * [[아이카츠!|아이엠스타]] (1~3기 파트 1)[* 파트 2 부터 정혜수 PD로 바뀌었다.] * [[짱구는 못말려]] (12~14기)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습격!! 외계인 덩덩이]] * [[치즈 스위트 홈]] * [[아라타칸가타리|아라다 창세전]] ([[아라타칸가타리]]) * [[My Little Pony: Friendship is Magic]] (시즌 2)[* 시즌 1은 [[심정희]] PD., 시즌 3는 라이언 김(GM STUDIO).] * [[빰바라빤쮸]] * [[신비아파트 : 고스트볼의 비밀]] === 외화 === * 세이디 === 드라마CD === * [[얼음나무 숲]] * 지문 사냥꾼 * 1984 == 조연출작 == * [[사랑은 콩다콩]] (3기) * [[짱구는 못말려]] (11기)[* 엔딩 스탭롤에서 '조연출 : 괭피디'의 정체가 바로 김진아 PD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진아, version=128)] [[분류:대한민국의 프로듀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