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MBC 100분 토론 진행자)] [include(틀:이미지나인컴즈 소속 아티스트)] ---- ||<-2>
'''{{{+2 {{{#000000,#ffffff 김지윤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지윤 설화수.jpg|width=100%]]}}} || ||<|2> '''출생''' ||[[1972년]] [[3월 1일]][* 생년은 본인의 저서 '내 권리는 희생하고 싶지 않습니다'에서 언급, 생일은 소속사 블로그 포스팅 참조] ([age(1972-03-01)]세) || ||[[서울특별시]] [[성동구]] [[능동]][br](現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 || || '''국적'''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대한민국]] || || '''가족''' ||슬하 2남[* [[https://youtu.be/zjlnRGv4ugw?t=511|#]]]|| || '''학력''' ||[[경복초등학교]] {{{-2 ([[졸업]])}}}[br][[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2 ([[정치외교학]] / [[학사]])}}}[br][[캘리포니아 대학교/버클리 캠퍼스|UC 버클리 대학원]] {{{-2 ([[정책학]] / [[석사]])}}}[br][[메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 대학원]] {{{-2 ([[정치학]] / [[박사]])}}}[* 분배정치 및 [[지역주의]]를 주제로 하여 박사논문을 썼다. [[https://dspace.mit.edu/handle/1721.1/33685|링크]]] || || '''경력''' ||[[몬트리올 대학교]] [[박사후연구원]][br] [[연세대학교]] 강사 [br][[아산정책연구원]] 여론계량분석센터 연구위원 [br] 아산정책연구원 여론계량분석센터장 [br]GR코리아 상임고문 [br]민주주의학술연구원 선임고문 || ||<|2>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EA%B9%80%EC%A7%80%EC%9C%A4TV/video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김지윤의 지식Play]]'''[br]{{{-1 '''구독자''': 746,000명[*기준 2023년 5월 22일][br]'''조회수''': 60,419,995회[*기준]}}} || ||[[https://www.youtube.com/@longtakeTV|[[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김지윤의 롱테이크]]'''[br]{{{-1 '''구독자''': 24,700명[*기준][br]'''조회수''': 734,517회[*기준]}}} || || '''링크''' ||[[https://www.instagram.com/amelie_214/|[[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現 민주주의학술연구원 선임고문이자 [[유튜버]]다. 前 GR 코리아 상임고문, 前 [[아산정책연구원]] 여론계량분석센터 센터장. == 저술 활동 == * < 한국 유권자의 선택 - 2012 총선 > (2012년 8월 / 박찬욱 , 김지윤 , 우정엽 / 아산정책연구원 ) * < 좋은 선거구 , 나쁜 선거구 > (2013년 4월 / 김지윤 편저 / 아산정책연구원 ) * < 한국 유권자의 선택 - 18대 대선 > (2013년 7월 , 박찬욱[* 1954년생 ,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 , 김지윤 , 우정엽[* 아산정책연구원 안보연구센터장] / 아산정책연구원 ) * < 내 권리는 희생하고 싶지 않습니다 : 절대 외면할 수 없는 권리를 찾기 위한 안내서 > (2020년 4월 / 알에이치코리아) * < 선거는 어떻게 대중을 유혹하는가 > (2020년 7월 / EBS BOOKS) * < 정치외교학자 김지윤 박사가 알려 주는 : 십대를 위한 정치 사전 > (2022년 7월 / 다림) == 방송 활동 == * KBS1 글로벌 정보쇼 세계인 (2015.3.14 ~ 2016.3.26) * KBS 1 [[특파원 보고 세계는 지금]] (2016.4.23 ~ 2023.2.4) * MBC [[100분 토론]] (2018.7.24 ~ 2020.1.21 ) * KBS1 [[거리의 만찬]] (2018.11.16 ~ 2020.3.8 ) * TBS 색다른 시선 김지윤입니다 (2019.6.7 ~ 2019.9.27) * TBS 김지윤의 이브닝쇼 (2019.9.30 ~ 2020.11.27 ) * SBS 정치를 한다면 (2020.4.3 ~ 2020.4.25) * tvN 월간 커넥트 (2021.1.7 ~ 2021.12.4 ) * KBS1 [[예썰의 전당]] (2022.5.8 ~ 2023.6.3) * JTBC [[세계 다크투어]] (2022.6.9 , 2022.6.21 , 2022. 8. 25 , 2022. 10 .5 ) * JTBC [[톡파원 25시]] (2023.01.09) : 44회 게스트 * [[식객 허영만의 백반기행]] (2023.06.09) : 203회 게스트 == 유튜브 활동 == === [[김지윤의 지식Play]] === 해당 문서 참조. === [[김지윤의 롱테이크]] === 해당 문서 참조. == 기타 == * 어릴 적부터 소설과 같은 문학보다는 사회과학 등 상식에 관련된 서적이 취향에 맞았다고 한다. 다만 이것 때문에 정외과를 간 것은 아니고 SBS 유튜브 ’김현우의 취조‘ 영상에서 밝히기를 정치외교학과에 진학한 이유는 남학생들이 많아서라고 한다. 그런데 재미있는 이유긴 하지만 소기의 성과는 거두지 못했다고(…). * 서울 광진구에 있는 [[경복초등학교]]를 졸업했다고 한다. * 피칸파이를 가장 좋아하는 파이로 꼽았다. * 19금 딱지가 붙은 미국욕이 나오는 힙합류 노래를 즐겨듣는다. 미국에서 오랫동안 지냈고, 미국통이다보니 미국 쪽 지식과 정보에 대해서 유독 밝다. * 음악적 취향으로는 탱고, 재즈와 같은 클래식한 장르부터 힙합 등의 신세대 장르까지 폭넓은 편. 힙합의 경우 [[슈퍼볼 LVI]]의 하프타임쇼를 다룬 유튜브 클립에서 힙합 덕력을 선보이기도 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vwXed_uhRhI&t=66s|#]] * 스포츠도 좋아하는데 [[김지윤의 지식Play]]에 [[NFL]] [[슈퍼볼]]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든가, [[NBA]]이나 [[MLB]] 팀명 유래 같은 내용들도 다루기도 했다. MLB에서 특별히 응원하는 팀은 없다고 하고 선수중에서는 엣지 있는 선수를 좋아한다고 한다. 김병현이라던지 마리아노 리베라 같은[* 모 영상에서는 노아 신더가드도 좋아한다고 언급함.] 박사과정을 MIT에서 보내서 그런지 [[뉴잉글랜드 패트리어츠]]을 응원했다는 걸 언급하기도 했다. * [[스타워즈]]를 좋아한다. 한국에서 보고 1990년대에 미국에서 유학할 때 영화관 줄서서 들어가보니 더 좋았다고 한다. * 견문에 있어서 절대적인건 아니라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2016년 미국 대선]] 당시 [[힐러리 클린턴]]의 당선을 예측했으나, [[도널드 트럼프]]가 당선되었다.[* 당시 대부분의 전문가들과 인공지능을 통한 예측까지 힐러리의 우세를 예측했다. 그래서 대선 후, 트럼프 당선을 맞춘 소수의 전문가나 집단이 더 주목을 받게 되었는데 대표적 인물로는 미국의 진보적 [[다큐멘터리|다큐]] 영화감독인 [[마이클 무어]](Michael Moore)를 들 수 있다.] * 가족관계로는 2019년 우먼센스와의 인터뷰에서 수년 前 이혼 후, 혼자 아이들을 키우고 있다고 밝힘. 2020년 본인의 저서 "내 권리는 희생하고 싶지 않습니다" 에서 두 명의 아들[* [[https://youtu.be/zjlnRGv4ugw?t=511|이 영상]]에서 다시 한 번 언급된다.]이 있다는 내용을 넣었다. * [[MBC 100분 토론]] 진행자였지만 [[편향|중립적이지 못하다]]는 비판이 많았다. 진행자를 맡자마자 [[MBC 100분 토론/790회|페미니즘 문제]]를 다루게 되었는데 진행자이면서도 [[워마드]]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이 드러나 [[래디컬 페미니즘]]계의 싸늘한 시선을 받았으며 본인의 저서에서는 연세대학교 제자 몇명을 잃었다고 밝혔다. 물론 진행자가 중립적인 모습에서 벗어난 것은 잘못이 맞다. 이후 [[MBC 100분 토론/827회|게임중독 문제]]를 다루게 되었는데 진행자로서 편향적이었다는 비판을 다시 받았다. [[김윤경(정책국장)|찬성측의 억지주장]]을 제재하지 않고 오히려 두둔을 하며 토론 중재자의 중요한 첫번째 원칙인 중립을 지키지 않았다. 방청객의 [[EBS 강사 군대 비하 사건|"군인이 반복적으로 살인을 배운다."]]라는 무지성, 비상식, 비하에 속하는 위험한 발언에도 제재를 하지 않다가 반대측의 '공공이익 차원에서 경고'성 발언에 '입을 함부로 놀리지 말라'라며 바로 제재를 가했다.[* 결국 맡았던 두 회차 모두 진행에 비판이 많아 [[흑역사|개별 문서가 생성되었다.]]] * 2019년 7월 TBS FM 색다른 시선 김지윤입니다를 진행하는 도중 [[노회찬]] 전 국회의원을 회상하자 눈물을 보였다.[* [[https://youtu.be/X6ivHtcMJb8]]] * 2022년 3월에 광고 영상을 올리고 협찬으로 [[쉐보레 볼트 EUV]]를 타고 있다. 2022년 7월에는 [[제네시스 G70 슈팅브레이크]] 를 협찬받아 광고 영상을 올렸다. * 외삼촌이 1970년대 미국으로 이민을 갔다고 한다. 유학을 준비할 시절 미국 외삼촌 집에서 지내면서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다고한다. * 아이폰 13을 사용한다. * 2023년 1월 두 아들과 영국을 여행했다. * KBS 아나운서의 본사 소속이 아닌 영남권 창원총국 소속 [[송지원|송지원(46기)]]과 얼굴이 닮았다. * 친가, 외가 양친(兩親) 모두 [[평안도]] 출신으로 월남한 이북(以北) [[실향민]]이다.[* [[https://v.daum.net/v/20230609203801224]]] * 캐나다에서 요리 [[푸틴(요리)|푸틴]]을 접하고 굉장히 좋았다고 한다. * 2023년 6월 4일 [[부산엑스포]] 유치를 위한 제2차 발표회에서 연사로 섰다. 기후위기와 정치, 엑스포의 방향에 관해 연설하였다. * 2023년 11월 [[유퀴즈 온 더 블럭]] 219회에 출연하기로 되어있었으나 방영분에서는 편집되었다. == 둘러보기 == *[[김지윤의 지식Play]] *[[김지윤의 롱테이크]] *[[연세대학교]] *[[100분토론]] [[분류:1972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정치학자]][[분류:방송인 출신 유튜버]][[분류:대한민국의 여성 유튜버]][[분류:지식정보 유튜버]][[분류:경복초등학교 출신]][[분류:연세대학교 출신]][[분류:UCB 대학원 출신]][[분류:MIT 대학원 출신]][[분류:성동구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