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지수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103번}}}''' || || 정상원[br](2014) || {{{+1 →}}} || '''김지수[br](2015)''' || {{{+1 →}}} || [[윤수녕]][br](2023~2023.5.11.)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30번}}}''' || || [[조현우(야구선수)|조현우]][br](2015.5.3.~2015) || {{{+1 →}}} || '''김지수[br](2016)''' || {{{+1 →}}} || [[김강현(야구선수)|김호준]][br](2017) || ||<-5> '''{{{#fff [[한화 이글스|{{{#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39번}}}''' || || [[정재원(1984)|정재원]][br](2014~2018.8.28.) || {{{+1 →}}} || '''김지수[br](2018.9.27.~2018)''' || {{{+1 →}}} || [[김민하]][br](2019~2021) || ||<-5> '''{{{#fff [[한화 이글스|{{{#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2번}}}''' || || [[이시원(야구선수)|이동훈]][br](2018) || {{{+1 →}}} || '''김지수[br](2019)''' || {{{+1 →}}} || [[김창혁]][br](2020) || ||<-5> '''{{{#fff [[한화 이글스|{{{#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02번}}}''' || || [[노태형]][br](2019) || {{{+1 →}}} || '''김지수[br](2020~2020.7.7.)''' || {{{+1 →}}} || [[이준기(야구선수)|이준기]][br](2021) || ||<-5> '''{{{#fff [[한화 이글스|{{{#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69번}}}''' || || [[김인환]][br](2018) || {{{+1 →}}} || '''김지수[br](2020.7.8.~2021)''' || {{{+1 →}}} || [[권광민]][br](2022)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지수2021.png|width=100%]]}}} || ||<-2> '''{{{+2 김지수}}}[br]Kim Ji-Soo''' || ||<|2> '''출생''' ||[[1996년]] [[10월 29일]] ([age(1996-10-29)]세)|| ||[[경기도]] [[시흥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학력''' ||소래초 - [[평촌중학교|평촌중]] - [[유신고등학교 야구부|유신고]]|| || '''신체''' ||178cm, 78kg|| || '''포지션''' ||[[외야수]]|| || '''투타''' ||[[좌투좌타]]|| || '''프로입단''' ||2015년 [[육성선수]] ([[롯데 자이언츠|롯데]])|| || '''소속팀''' ||[[롯데 자이언츠]] (2015~2017)[br][[한화 이글스]] (2018~2021)|| || '''병역''' ||[[현역병|현역]] (2016~2018)||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롯데 자이언츠]], [[한화 이글스]] 소속 [[외야수]]. == 선수 경력 == === [[롯데 자이언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ottegiantskjs.jpg|width=100%]]}}} || 2015년 프로 지명을 받지 못하고 [[육성선수]]로 입단했다. ==== 2016 시즌 ==== 2군 타격 코치인 [[훌리오 프랑코]]의 [[http://sports.news.naver.com/mlb/news/read.nhn?oid=109&aid=0003293686|호평을 받아]] 팬들의 관심을 많이 받았다. 또 [[에스밀 로저스]]를 상대로 홈런을 치기도 했다. 5월 4일 [[KIA 타이거즈]]전을 앞두고 1군에 콜업되었다. 이날 경기에서 대타로 출전해 데뷔 첫 경기를 치렀고, 1타수 무안타를 기록했다. 5월 11일까지는 상당히 실망스럽다는 반응이 많다. [[훌리오 프랑코|프랑코]] 코치가 관심을 준 것에 비해 너무 못한다며 [[김대륙]]과 함께 까이는 중이었고, 결국 5월 12일 1군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 이후 시즌 종료 후 [[현역병|현역]]으로 입대했다. 그리고 2018년 9월 26일 전역했다. === [[한화 이글스]] === [[2018년 KBO 리그 2차 드래프트]]에서 [[한화 이글스]]의 지명을 받고 [[롯데 자이언츠]] 동료 [[문동욱]]과 함께 이적했다. 2017년 당시 한화의 외야를 보면 대부분 다 30대 중반인 데다가 [[김원석(야구선수)|김원석]]은 대형사고를 저지르며 방출당했기 때문에 젊은 외야수와 좌타 자원이 필요한 한화에서 활약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단 군경구단이 아닌 '''일반 현역 복무'''이기 때문에 실전 감각 문제가 불거질 수 있으며, 군 복무 도중 팀이 바뀌었기 때문에 앞으로 한화에서 입을 [[유니폼]]을 마련할 시간도 필요하고, 전역 선수 등록 및 보호 선수 명단 작성에도 애로사항이 꽃피는 등 여러 이유들 때문에 2018년에 전역한 뒤에도 잔여 경기에 나설 일은 없을 것으로 보이며, 이 때문에 한화에서의 데뷔 경기는 2019년에야 갖게 될 확률이 높다. 구단도 [[김성근]] 전임 감독 시절 군 전역 선수 등록 문제로 큰 홍역을 겪어본지라[* 2015년 후반기에 전역한 [[김용주(야구선수)|김용주]]와 [[하주석]]을 등록하기 위해서 멀쩡히 입대를 준비하고 있던 [[채기영]]과 [[조정원]]을 [[웨이버 공시]]도 아니고 '''[[임의탈퇴]]''' 처리시켰던 적이 있다. [[http://osen.mt.co.kr/article/G1110256425|#]] 다행히 채기영과 조정원도 어떻게든 복무를 마치고 2018년 한화로 복귀하긴 했지만, 시즌이 끝난 뒤에는 2명 다 방출되었다.] 무리해서 등록시킬 일은 아마도 없을 듯. 그리고 팀의 주전~준주전 외야수들이 대체로 김지수와 같은 좌타자[* [[좌투좌타]]로는 [[이용규]]와 [[이시원(야구선수)|이동훈]]이, [[우투좌타]]로는 [[양성우(야구선수)|양성우]], [[이성열(1984)|이성열]], [[제라드 호잉]]이 주로 나서고 있다.]라는 점을 감안하면 당장 잔여 경기에 투입될 일은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 2018 시즌 페넌트레이스 종료 후 발표된 [[미야자키 교육리그]] 명단에 포함되면서 본격적으로 한화에서의 선수 생활을 시작하게 되었다. 일단 육성선수로 2019 시즌을 출발하게 됐으나 무슨 이유에서인지 퓨처스리그 출전 기록이 전혀 없다. ==== 2020 시즌 ==== 2군에서 시즌을 시작했다가 7월 8일, 정식선수로 전환됨과 동시에 당일 이용규가 허벅지 부상으로 말소되면서 한화 이적 후 처음으로 1군에 등록됐고, 당일 경기에도 출장했으나 3타수 무안타를 기록하면서 1군에서의 첫 안타는 기록하지 못했다. 7월 9일, 8회말 [[최진행]]의 대주자로 투입된 뒤 좌익수로 들어갔는데 1사 3루에서 뜬공을 잡고 투포환 송구를 하면서 팬들을 당황하게 만들었다. 7월 13일, 8회말 지명타자 최진행의 대주자로 들어가 1득점을 기록했다. 7월 14일, 8회초 [[손동현]]을 상대로 자신의 데뷔 첫 안타를 홈런으로 기록했다. 10월 18일 현재까지는 2군에서 최근 5경기 모두 출루를 기록하고 타격 성적도 좋은 걸 보면 곧 1군 콜업이 유력해 보였고, 예상대로 콜업되어 시즌 막판 5경기 동안 5타수 1안타를 기록한 뒤에 시즌을 마무리했다. 시즌 기록은 1군 14경기 26타석 0.160 - 0.192 - 0.280, 2군 49경기 137타석 0.358 - 0.409 - 0.496 홈런 3개 3루타 2개 2루타 6개. 2군 성적은 클래스업을 하는데 성공하면서 한자리를 차지하는데 성공했으나 한화 2군 유망주들의 공통된 특징인 안 좋은 볼삼비와 그로인한 타출갭은 고치지 못했다. 플루크가 아니라면 슬슬 타격 메커니즘의 정립과 프로적응이 끝나 1군에서 기회를 받으며 1군에 통용될 재능인지 아닌 지를 가늠해봐야 할 시기가 왔다고 봐도 될 듯 하며, 21시즌은 인생에서 대단히 중요한 한 해가 될 듯. 20시즌은 기회를 받을때도 그다지 좋은 모습을 못 보여줬던 만큼 21시즌에는 마음의 준비를 철저히 해서 꾸준히 1군에서 뛰어야 할 것이다. ==== 2021 시즌 ==== 1군 스프림캠프 명단에 올랐다. 6월 17일 [[정인욱]]과 [[장운호]]가 말소된 자리에 시즌 처음으로 1군에 등록되었다. 6월 17일 대전 롯데전에서 7회 [[정은원]]의 대타로 출전했고, 두 타석을 소화했지만, 모두 삼진으로 물러났다. 특히 9회 두 번째 타석에서는 1사 만루의 추격의 기회에서 헛스윙 삼진으로 물러나서 팬들의 마음을 더욱 아쉽게 만들었다. 6월 18일 대전 SSG전에서 9번 우익수로 선발 출장했다. 첫번째 타석에서는 삼진을 당했지만, 두 번째 타석에서 [[윌머 폰트]]의 공을 때려내며 시즌 첫 안타를 때려냈고, 세 번째 타석에서는 [[김상수(투수)|김상수]]의 공을 받아쳐 2루타를 만들면서 데뷔 첫 멀티히트를 기록했다. 6월 26일 트레이드로 이적한 [[이성곤]]이 등록되면서 1군에서 말소되었다. 10월 14일 [[정인욱]], [[김민하]] 등 12명의 선수와 함께 웨이버 공시되었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8> {{{#fff 역대 기록}}} || || 연도 || 팀 || 경기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볼넷 || 삼진 || 출루율 || 장타율 || wRC+ || sWAR || || 2015 ||<|3> [[롯데 자이언츠|롯데]] ||<-16> 1군 기록 없음 || || 2016 || 6 || 7 || .000 || 0 || 0 || 0 || 0 || 0 || 1 || 0 || 0 || 4 || .000 || .000 || -133.8 || -0.16 || || 2017 ||<-16> 군 복무([[현역병|현역]]) || || 연도 || 팀 || 경기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볼넷 || 삼진 || 출루율 || 장타율 || wRC+ || sWAR || || 2018 ||<|4> [[한화 이글스|한화]] ||<-16> 군 복무([[현역병|현역]]) || || 2019 ||<-16> 1군 기록 없음 || || 2020 || 14 || 25 || .160 || 4 || 0 || 0 || 1 || 4 || 2 || 0 || 1 || 7 || .192 || .280 || 14.6 || -0.17 || || 2021 || 11 || 24 || .083 || 2 || 1 || 0 || 0 || 0 || 0 || 0 || 1 || 14 || .120 || .125 || -45.5 || -0.38 || ||<-2> '''[[KBO 리그|KBO]] 통산'''[br](3시즌) || 31 || 56 || .107 || 6 || 1 || 0 || 1 || 4 || 3 || 0 || 2 || 25 || .138 || .179 || -29.2 || -0.71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96년 출생]][[분류:2016년 데뷔]][[분류:2021년 은퇴]][[분류:시흥시 출신 인물]][[분류:평촌중학교 출신]][[분류:유신고등학교 출신]][[분류:외야수]][[분류:좌투좌타]][[분류:롯데 자이언츠/은퇴, 이적]][[분류:빙그레-한화 이글스/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