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웹툰 수사9단과 후유증의 등장인물, rd1=J.K, other2=이 인물을 모티브로 한 외모지상주의의 등장인물, rd2=김준구(박태준 유니버스))] ||<-2> '''네이버 웹툰 대표이사[br]{{{+1 김준구}}}[br]Kim Joonko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dimg.donga.com/75089092.1.jpg|width=100%]]}}}|| || '''출생''' ||[[1977년]] [[5월 12일]][* 독립일기 작가인 [[자까]]와 생일이 같다고 한다.]([age(1977-05-12)]세)|| || '''현직''' ||[[네이버 웹툰(기업)|네이버 웹툰]] 대표이사[br][[문피아]] 사내이사 || || '''학력'''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2 (화학생물공학 / 학사)}}} || [목차] [clearfix] == 개요 == [[네이버 웹툰(기업)|네이버 웹툰]]의 대표. [[문피아]]의 사내이사. [youtube(SMNp3NnhANQ)] || [[파일:/image/tenmagazine/2012/05/07/2012050622251864560_1_0_20120507154103.jpg|width=100%]] || [[파일:external/dimg.donga.com/75089092.1.jpg|width=100%]] || || 가운데 남자.[* 나머지 두 사람 역시 네이버 웹툰의 담당자들이었다. 왼쪽은 네이버 웹툰 지각의 양대산맥 [[양영순]]과 [[기안84]]의 담당자였다. 2015년에 장기 휴직했다가 현재는 [[네이버 시리즈]] 소설쪽 담당자(팀장)를 맡고 있다. 여담이지만 저 두 사람도 [[마음의소리]]에 특별 출연한 적이 있다.] || 금발로 염색했다. || [[네이버]] [[임원]]으로 직급은 '''이사'''[* 1977년 생으로 대리 때 웹툰 서비스를 맡아서 30대에 이사까지 승진했다. 최연소 임원은 아니고, 현 네이버 대표이사인 [[최수연(기업인)|최수연]]이 81년생이다.], 직함은 '''[[네이버 웹툰]] 대표'''다.[* 원래는 셀장(네이버 사내에서 부르는 '팀' 개념. 2014년 독립적이고 유연한 사내 분위기를 위해 도입했다.)이었으나 네이버 웹툰과 웹소설의 사내독립기업화로 분리되면서 대표의 직권을 받았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화학생물공학부를 졸업[* 97학번으로 입학 당시는 공업화학·섬유고분자·화학공학과군이라는 학과군(群) 모집 단위였다. 이후 응용화학부를 거쳐 화학생물공학부로 개편 이후에 졸업함.]했으며 무려 8,800권 이상의 만화책을 보유하고 있는 만화광 출신으로[* '''이현세 작가 본인도 갖지 못한''' [[아마게돈(만화)|아마게돈]] 단행본 마지막권을 갖고 있다고 한다. 2013년 11월 인터뷰 기준으로 지금은 이현세 작가가 빌려갔다는데 돌려받았을지... 무려 [[이즈미 코나타|소장용, 읽는용, 대여용으로 만화책을 세권씩 갖고있다]]고 한다. [[http://blog.naver.com/lhbjully/220156637266|참고]]], 처음엔 개발자로 입사했다가 만화를 좋아한다는 이유로 신설된 웹툰부에 차출된 게 이 일을 맡게 된 계기라고 한다. 초기 네이버 웹툰의 스타웹툰이던 조석의 [[마음의 소리]]에서 조석의 마감을 압박하는 담당자로 자주 등장하여 일반 독자들에게도 이름이 많이 알려졌었다. 본래는 웹툰보다는 기존의 출판 만화를 웹으로 보여주는 서비스를 시작했다. 2006년 초에 들어서 [[다음]]이나 [[파란(포털)|파란]] 등에서 스토리형 웹툰으로 트래픽을 높이고 인기를 끌자 이들과는 좀 더 다른 방향으로 웹툰 서비스를 개시했다.[* 서비스 자체는 2004년부터 시작했지만 당시에는 [[출판만화]]를 웹에서 볼 수 있게 한 것에 가까웠다.] 주로 공감물이나 일상물, 개그물 위주의 작가를 끌어들임으로 기존의 웹툰 서비스와는 차별화된 전략을 취했고 [[다음 웹툰]]이 좀 더 스토리나 연출을 중시하는 성인들을 모았다면 이쪽은 어린 학생부터 직장인까지 두루두루 접근할 수 있는 작품을 연재했다. 웹툰 초기에는 직함이 대리였던 것으로 보인다.[* [[마음의소리]] 초창기에 조석은 프로작가라 공모전에 참여할 수 없다고 하자 조석이 그에게 '김대리 이러기야...'라고 말하는 컷이 있다.] 그와 함께 네이버 웹툰 초기 개척에 참여했던 [[김규삼]]은 [[입시명문 사립 정글고등학교]] 마지막 회에서 그에 대한 얘기를 하기도 했다.[* 당시 잡지에서 연재하던 몬스터즈도 잘리고 만화의 꿈을 접을 기로에 서 있던 김규삼 작가가 네이버에서 서비스되던 몬스터즈의 댓글 단 두 개 중 '사무실에서 미친듯이 웃었다'는 한 회사원의 댓글에 위로를 얻었다고 하는데, 이후 당시 서비스 초창기이던 네이버 웹툰에서 연재 제의가 와서 몇 번이고 퇴짜를 맞은 끝에 정글고 연재를 시작했다고 한다. 그런데 그 댓글 단 사람이 바로 김준구 대표였다는 걸 뒤늦게 알았다고.] == 웹툰에서의 등장 == ||[[파일:attachment/junkoo.png|width=100%]]||[[파일:놓정동화김준구.jpg|width=100%]]|| || [[마음의소리]]에서의 모습 || [[놓정동화]]에서의 모습 || ||[[파일:코트걸치는준구.jpg|width=100%]] || [[파일:이말년씨리즈김준구.jpg|width=100%]] || || [[외모지상주의(웹툰)|외모지상주의]]에서의 모습 || [[이말년씨리즈]]에서의 모습 || [[네이버 웹툰]]의 수많은 등장인물 가운데 안경을 쓰고 노란 머리에 '준구'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이 있다면 십중팔구 이 항목에서 서술하는 [[실제 인물이 모티브가 된 캐릭터|실존인물을 모델로 작성된 캐릭터]]이다. 이곳저곳에 등장하니 찾아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마음의소리]] 작가 [[조석(만화가)|조석]] 역시 그를 자신의 만화에 출연시켰었다. 조석이 '''다음 웹툰 팬클럽의 차기 카페장'''(...)이라는 게 밝혀지고 머리채~~를 가장한 두개골 자체~~를 잡는 남자로 나오는 것을 시작으로[* 마음의 소리 400화 참고.] 아예 준 네임드 캐릭터 수준까지 출연. 대개 갑과 을의 관계에서 갑으로 나와 조석을 갈구는 역할. 허나 나올때마다 매우 높은 확률로 '''[[치질]]같이 생긴 [[코]]'''같은 코에 대한 농담을 포함해 외모비하, 인성비하등의 음해를 당한다. 아무래도 이 둘이 14년동안 동거동락하며 허접했던 네이버 웹툰을 발전시켜온 걸 감안하면 이래도 괜찮을만큼 둘이 친한 것으로 보인다. 비상시에 올리는 만화를 소개하는 편에선 형님이라고 언급하기도 하는등 사적인 친분이 있는 것은 확실하다. 승진이 반영되어 초창기엔 김 대리 였다가 지금은 김 이사로 나온다. 마음의소리 완결 기념 배너에도 작가인 조석 대신 이쪽의 얼굴을 넣었다. 마음의소리 완결 후 조석이 인스타에 후속작을 연재하자 댓글에 네이버 웹툰 공식계정으로 대표님이 찾으신다고 언급된다. 이부분을 [[마음의소리2]]에서 조석에 네이버 블로그나 인스타에 연재하는 걸 야생이라고 묘사하는데, 야생아니고 우리집 마당이라며 그냥 안으로 들어 올라고 말하며 등장한다. 그뒤에도 마음의 소리 때처럼 농락 당하는 모습으로 나온다.[* 독자들의 반응은 조석이니깐 가능하다는 평가다.] 그리고 지금까지 공개된 바로는 "형은 노랑머리여야 해.", "빨리, 형은 노랑머리일 때 예뻐" 라는 식의 대사처럼 '''조석이 금발로 염색하라고 집착 수준으로 어필하고 있다.'''[* 한 화는 아예 왜 검은 머리냐는 내용이 절반이었고, 다른 한 화는 금발로 돌아가도 이상하지 않다는 이유를 슬쩍 끼워넣었다.] [[수사9단]], [[후유증]]에서는 이 사람과 같은 이름의 연쇄 살인마(...)가 등장한다. 머리색도 노란색이다. 해당 캐릭터에 대해선 [[J.K]] 참조. 웹툰 [[외모지상주의]]에는 적지 않은 비중을 가진 인물로 나온다. [[종건]]과 더불어 [[김준구(박태준 유니버스)|작중 세계관 최강자 급의 싸움 실력을 가진 인물로 등장.]][* 여담이지만 그와 세트로 다니는 [[박종건]] 역시 직원 이름을 채용한 것이다.] [[내일은 웹툰]] 2부 24화에서는 쿠우 팀장의 모델이 김준구로 나온다. 명함에 적힌 이름이 "준쿠우"(...).[[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546750&no=77&weekday=thu|#]] [[소녀더와일즈]]에서 [[소녀더와일즈/등장인물#s-2|김준구]]라는 인물이 있는데, 여성인 것만 빼면 딱봐도 김준구 이사를 모티브로 한거다. [[헬퍼(웹툰)|헬퍼]] 106화에서 [[구사회#s-3.15|구사회충청본부 행동대장]]으로 등장한다. 강하긴 강한데, 엄살을 엄청 떤다. [[하루 3컷]] 180409(월) - 뇌 보정에서 마지막에 나온다. [[독립일기]] 96화 생일편에 나온다. [[독립일기]]의 작가와 그 담당자 그리고 김준구 대표 셋의 생일이 같다고 한다. [[이두나!]] 108화 요정국의 지지않는 태양으로 등장한다. [[어글리후드]] 183화 [[어글리후드/등장인물#s-5.5|알파시의 여자 야성단]]으로 등장한다. [[역전! 야매요리]]에서는 김펠리펠리라는 펠리컨으로 등장한다. 유부남이란 것도 여기서 알려졌으며, 마지막화에서 김준구 대표인 게 밝혀진다. [[기기괴괴]] 111화 지구용사 기괴트론에서 박사로 등장한다. [[1초]] 112화 최강소방관대회에서 2등을 했다고 나온다. [[소름일기]] 38화에 등장한다. [[선천적 얼간이들]] 72화에 "준쿠 노래타운" 간판에 네온사인으로 등장한다. --아무튼 네이버 웹툰에 가장 많이 나오는 인물-- == 기타 == * 2014년에 [[포브스]]에서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차세대 리더 12인 중 한 명으로 올랐다고 한다.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21673|네이버 김준구 셀장, 포브스 선정 차세대 혁신가 12인 선정 - ddaily]] * [[이말년]] 작가의 말로는 [[기안84]]의 천적이라고 한다.[[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03759&no=139&weekday=|#]] 또한 탈권위를 좋아해서 직원들이 자신을 직함 없이 '준구'라고 부르게 한다고.[* 아마 외모지상주의 준구의 비밀친구도 여기서 모티브를 삼은게 추측된다.] * 인터뷰에 따르면 웹툰 편집장이지만 일반 만화 편집장과 다를 바 없는 삶을 사는 듯하다. 작가가 지각해서 '''직접 찾아간 경우'''도 있다고 한다. 밑에 인터뷰 링크 기사를 보면 알겠지만 어떤 작가가 게임에 빠졌을 때 그 게임 서버에 직접 들어가서 찾은 적도 있다고...--이정도면 사랑이다-- * [[마음의소리]] 913화에 따르면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20853&no=917&weekday=tue|노란색으로 염색을 하신 듯.]] * [[삼국전투기]] 후기에서 김준구 '''대표'''라는 호칭으로 불렸다. * [[공감.jpg]]의 논란에 대해 네이버 측의 의견을 표명하여 문제가 되었으며 자세한 것은 [[공감.jpg/비판 및 논란#s-2.1.1|여기]] 참고. * 네이버 웹툰 대표 시절에 가장 좋았던 점은 [[덴마]] 원고를 그 누구보다 1등으로 볼 수 있다는 점이었다고 한다. [[https://youtu.be/SMNp3NnhANQ?t=508|#]] * 마음의 소리 완결당시 네이버에 전용 배너가 올라왔는데, 뜬금없이 본인이 올라와있었다(...). 때문에 말이 많았는지 얼마안가 작가이자 주인공인 조석으로 바뀌었지만 조석은 소소한 복수심인지 김준구가 그려져있던 배너를 소재거리로 자주 써먹는다. == 외부 링크 == * 네이버 웹툰 담당자 인터뷰 (2012년)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312&aid=0000013724|링크]]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편집자]][[분류:네이버 웹툰(기업)]][[분류:1977년 출생]][[분류:서울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