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ffffff '''김종건의 역임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울산 HD FC/역대 주장)]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1 {{{#000000,#e5e5e5 ''' 대한민국의 축구감독 '''}}}}}}}}} || ||<-3> [[파일:Hong-ik Univ HC Kim Jong-kun.jpg|width=100%]] || ||<-2> {{{#000000,#e5e5e5 ''' 이름 ''' }}} || {{{+1 '''김종건'''}}}[br]'''金鐘建 / Kim Jong-Kun''' || ||<-2> {{{#000000,#e5e5e5 ''' 출생 ''' }}} ||[[1969년]] [[5월 10일]] ([age(1969-05-10)]세) || ||<-2> {{{#000000,#e5e5e5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000000,#e5e5e5 ''' 직업 ''' }}} ||[[축구선수]] ([[공격수]], [[미드필더]] / ^^은퇴^^)[br][[축구 감독]] || ||<-2> {{{#000000,#e5e5e5 ''' 신체 ''' }}} ||183cm, 73kg || ||<-2> {{{#000000,#e5e5e5 ''' 학력 ''' }}} ||안양초 - [[안양중학교|안양중]] - [[안양공업고등학교|안양공고]] - [[한양대학교]] || ||<|3> {{{#000000,#e5e5e5 ''' 소속 ''' }}} || {{{#000000,#e5e5e5 ''' 선수 ''' }}} ||'''{{{-1 [[울산 현대|현대 호랑이/울산 현대 호랑이]] (1992~2000)}}}''' || || {{{#000000,#e5e5e5 ''' 코치 ''' }}} ||[[울산대학교]] (2002~2009) [br] [[홍익대학교]] (2011~2012) [br] [[경희대학교]] (2019~2023)[br] [[충남 아산 FC]] (2024~ / 수석 코치)|| || {{{#000000,#e5e5e5 ''' 감독 ''' }}} ||[[울산대학교]] (2004) / ^^감독대행^^ [br] [[홍익대학교]] (2013~2016) || ||<-2> {{{#000000,#e5e5e5 ''' 국가대표 '''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20]]]] 1경기 0골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 1994)^^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前 축구선수. 선수 시절 [[K리그]] [[울산 현대]]의 공격수, 미드필더이자 원클럽맨이었다. == 선수 경력 == === 프로 데뷔 이전 === 김종건은 안양공고 시절 2학년 까지 미드필더로 뛰면서 추계 KBS배 축구대회 때 우승시 최다 득점(3골)을 기록해 두각을 드러냈으며 3학년 때인 1987년, 포지션을 공격수로 바꾸고나서 대통령금배쟁탈전국고교축구대회 2라운드 동아고와의 경기에서 해트트릭을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7042000329208001&editNo=3&printCount=1&publishDate=1987-04-20&officeId=00032&pageNo=8&printNo=12787&publishType=00020|기록]]하면서 당대 유명 공격수인 [[최순호]]를 연상케 한다는 평을 들었고, 이날 경기장을 찾은 대학교 감독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1988년 한양대에 진학해서는 1학년 때 부터 88봄철전국대학축구대회에 출전했고 2학년 때는 89봄철전국대학축구대회 동국대와의 준결승 연장전에서 1득점을 하는 활약을 선보였고, 8월 전국대학축구대회 관동대 전에서는 2득점, 4강전 경희대 전에서 1득점, 고려대와의 준결승전에서는 전반 10분 중거리 슛으로 1득점을 하는 등 4골을 넣어 최다득점선수에 선정되었다. 3학년 때인 1990년에는 90대학축구연맹전에서 4골을 기록하면서 팀이 우승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단단히 했다. 4학년 때는 전국대학선수권 대회에서는 고려대를 꺾고 우승하면서 득점왕을 차지하는 등 골게터로써 확실히 이름을 남겼다. === [[울산 현대|현대 호랑이]]/[[울산 현대|울산 현대 호랑이]] === 대학 시절 활약으로 1992 K리그 드래프트에서 1순위로 현대 호랑이에 입단한 김종건은 1992년 5월 9일 일화와의 경기에서 후반 23분 교체 출전을 한 것으로 프로에서의 경기를 시작한다. 이후 5월 21일 LG와의 홈경기에서 전반 22분 페널티에어리어 오른쪽에서 [[김현석(축구)|김현석]]이 준 볼을 받아 프로 통산 첫 득점을 올린다. 이듬해 9월 29일 LG와의 경기에서는 [[강재순]]의 해트트릭을 돕는 등 1골 3도움의 활약을 했다. 1994년에는 9골을 기록했고 1995년에는 팀의 아디다스컵 우승에 기여하면서 [[김현석(축구)|김현석]], [[송주석]]과의 트로이카 체제를 구축했고 1996년에는 울산 현대 호랑이의 첫 우승을 만끽했다. 1997년 4월 16일 유공과의 원정 경기에서 전반 37분, 하프라인을 살짝 넘어 날린 슛이 그대로 골네트를 갈라 득점하면서 K리그 사상 첫 50m 장거리 득점으로 기록되는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7041700289118014&editNo=6&printCount=1&publishDate=1997-04-17&officeId=00028&pageNo=18&printNo=2855&publishType=00010|진기록]]을 세운다.[* 2023년 현재, 이 골은 K리그 역대 장거리 골 중 10위에 랭크.] 1998년에는 컵대회인 필립모리스컵에서 7골로 득점왕을 차지하는 등 시즌 12골과 2도움을 올렸고 FA컵 역시 5골로 득점 1위에 오르는 등 맹활약을 한다. || [[파일:99 ulsan home6.jpg|width=100%]] || || 개인 통산 최고의 시즌이었던 1999년 당시의 김종건 || 1999년에도 대한화재컵에서 6골로 득점왕에 올랐고, 7월 21일 전남 드래곤즈와의 [[K리그]] 홈경기에서 전반 31분, 전남의 박종문 골키퍼가 골문에서 멀리 벗어난 것을 보고 슈팅을 때려 52m 장거리 득점을 세워 1997년 자신이 세운 50m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9072200329130001&edi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9-07-22&officeId=00032&pageNo=30&printNo=16806&publishType=00010|장거리 골을 경신]]했다.[* 1999년 당시 45m라고 알려졌지만 나중에 52m로 정정되었고 이 골 역시 2023년 현재 K리그 역대 장거리 골 7위에 랭크되어 있다.] 이후 시즌 중 은퇴한 [[박정배(축구)|박정배]]의 뒤를 이어 잔여 시즌 주장을 맡는 등, 이 시즌에서 35경기 출전에 이 골을 포함해 15골 5도움의 기록을 세워 자신의 선수 커리어 중 최고의 시즌을 보냈다. || [[파일:2000 ulsan.jpg|width=100%]] || || 2000년 K리그 경기에서[* 왼쪽부터 제영진 - [[장철민(축구인)|장철민]] - 김종건] || 하지만 2000년, 그동안 트로이카를 구성했던 [[송주석]]은 1999년 먼저 은퇴했고 김현석은 J리그 베르디 가와사키로 진출하는 등 선수단 구성이 바뀌면서 자연스레 출전이 적어졌고 팀 성적 또한 바닥을 기면서 [[고재욱]] 감독이 시즌 중 물러나고, 이후 [[정종수]] 감독대행에서 [[김정남(축구인)|김정남]] 감독으로 바뀌어 팀을 리빌딩하는 과정에서 시즌 후 31세의 나이에 갑자기 은퇴하면서 선수로서의 생활을 마감한다. 그가 쌓은 프로 통산 기록은 193경기 출전, 52골 15도움. 훗날 그는 한 언론사와의 인터뷰에서 그의 빠른 은퇴가 구단의 일방적인 퇴출 종용 때문이었음을 암시하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하지만 김종건은 팀에서 선수 생활을 하면서 약방의 감초처럼 팀이 고비일때마다 재치있는 플레이로 팀 승리를 이끄는 견인차 역할을 맡아 활약했다. == 국가대표 경력 == 한양대 4학년 시절에 영국에서 열린 91하계유니버시아드 대회 대표팀에 선발되어 예선 알제리전에서 1득점 등 3골을 넣어 하계유니버시아드 대회 첫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으며, 성인 대표 기록으로는 1994년 5월 3일 2:1로 이긴 카메룬과의 친선경기에서 출전한 기록이 있다. == 지도자 경력 == 2000년 울산 현대 호랑이에서 은퇴한 김종건은 2002년 [[울산대학교]]에서 코치를 한 것을 시작으로 지도자로서의 생활을 시작한다. 2004년에는 당시 이상철 감독이 2004 아테네 올림픽 대표팀 수석코치로 팀을 떠나자 감독대행을 맡아 전국 대회 3관왕을 차지하는 등 지도자로서도 두각을 드러냈다. 이후 2005년 문기남 前 북한 대표팀 감독이 울산대 감독으로 부임하자 다시 코치로 내려갔다. 2009년까지 코치로 재직하면서 [[정경호(축구)|정경호]], [[이승기(1988)|이승기]], [[김태환(1989)|김태환]] 등의 선수를 지도했다. 2011년 [[홍익대학교]] 코치로 이적한 김종건은 [[김종필(1955)|김종필]] 감독을 보좌하면서 [[김기희]], [[심동운]], [[박주원(축구선수)|박주원]], [[이명재(축구선수)|이명재]] 등의 선수를 지도했고 [[U리그]] 왕중왕전에서 우승해 우수지도자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이후 2013년부터 감독에 올라 2014년 [[U리그]] 5권역 1등을 이끌었고, 2015년 KBSN 제11회 1,2학년 대학축구대회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68&aid=0000019632|우승]]을 차지했다. [[https://www.sportsseoul.com/news/read/258656|#]] 2016년 감독에서 물러난 이후 [[경희대학교]]에서 다시 코치로 김광진 감독을 보좌해 선수들을 지도하고 있다. == 여담 == * K리그 등록명이 '''김종건2'''였는데 이유가 1964년생으로 마찬가지로 현대 호랑이에서 선수 생활을 하고 일화에서 은퇴한 '''[[김종건(축구)|김종건1]]'''이란 동명이인 축구 선수가 있었기 때문이다. 한문명도 '''金鍾建'''으로 둘다 같았지만 김종건1은 1991년 현대 호랑이에서 일화로 이적했고 김종건2는 1992년 현대 호랑이에 입단해 같은팀에서 선수 생활을 하지 않았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서, title=김종건(축구), version=6, paragraph=)] [[분류:1969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축구선수]][[분류:공격수]][[분류:미드필더]][[분류:대한민국의 축구감독]][[분류:안양공업고등학교 출신]][[분류:한양대학교 출신]][[분류:울산 HD FC/은퇴, 이적]][[분류:울산 HD FC/역대 주장]][[분류:원클럽맨/축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