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조선의 부원군(국구))]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후기의 [[문신]]. == 생애 == 김조근(金祖根, 1793년 ~ 184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외척으로 자는 백술(伯述) 호는 자오(紫塢) 시호는 효간(孝簡)이며 본관은 신 안동 김씨이다. 영의정 [[김수항]]의 6대손이며, 증조부는 남원부사 김탄행(金坦行), 조부는 좌의정 익헌공 김이소(金履素), 아버지는 충주목사 김지순(金芝淳)이다. 철종의 장인 영은부원군 김문근과는 8촌이며, 순조의 장인 영안부원군 [[김조순]]과는 7촌간이다. [[효현왕후]]의 부친이자 헌종의 장인으로 순조 헌종 철종 때까지 이어진 안동김씨 세도의 중심 인물이었다. 1816년(순조 16) 생원이 되고, 음보(蔭補)로 의령·광주(廣州) 등지의 판관을 지냈다. 1837년(헌종 3) 승지에 이르고, 같은해 딸이 헌종비에 책봉되자 영흥부원군(永興府院君)에 봉해지고 영돈녕부사가 되었다. 이어 호위대장·어영대장·주사대장(舟師大將) 등 무반의 중요직을 지냈다. 순조 때에 정권을 독점하여온 안동 김씨 세력은 헌종의 즉위와 함께 새로 대두한 풍양조씨의 세도세력에게 잠시 세력을 빼앗겼다. 그러나 순조비 [[순원왕후]] 김씨가 김조근의 딸을 헌종비로 맞아들임으로써 안동 김씨의 세도는 순조·헌종에 이어 철종대까지 계속되었다. 사후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묘소는 경기도 가평군 상면 행현리에 있다. [[분류:1793년 출생]][[분류:1844년 사망]][[분류:안동 김씨(후)]][[분류:조선의 국구]][[분류:조선의 문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