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前 모델, rd1=김정임(모델))] [목차] == 개요 == 북한의 정치인, 역사학자. == 생애 == 1935년 출생으로 알려져 있다. 1985년 4월, 당력사연구소 부소장에 임명되었다. 1987년 3월 9일, 김일성의 인민무력부 혁명사적관 현지지도 때 김정일 사적관을 김일성에게 해설하는 등 김정일 우상숭배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1992년 4월, 김일성 팔순기념 [[김일성훈장]]을 받았다. 2005년 10월, [[연형묵]] 장의위원을 지냈으며 2009년 12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 선출되었다. 2009년 12월, [[김기남(1929)|김기남]]의 뒤를 이어 당력사연구소 소장에 임명되었다. 2010년 4월, [[김중린]] 장의위원을 지냈다. 2010년 9월, 3차 당대표자회에서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2010년 11월, [[조명록]] 장의위원, 2011년 1월, [[박정순]] 장의위원, 2011년 12월, [[김정일]] 장의위원을 지냈으며 2012년 2월, [[김정일훈장]]을 받았다. 2013년 12월, [[김국태]] 장의위원, 2014년 7월, [[전병호(1926)|전병호]] 장의위원, 2015년 11월, [[리을설]] 장의위원, 2015년 12월, [[김양건]] 장의위원을 지냈다. 2014년 3월, 13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 재선되었다. 2016년 5월, 7차 당대회에서 중앙위원회에 재선, 다시 당력사연구소장에 임명되었다. 2016년 5월,[[강석주(1939)|강석주]] 장의위원을 지냈다. 하지만 고령이 문제였는지 2017년 8월까진 당력사연구소장으로 재임했으나 이후 [[량원호]]에게 역사연구소장 자리를 물려주고 퇴임했다. 2017년 10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2차 전원회의]]에서 량원호가 중앙위원회 위원이 됐으니 그때 교체된 것으로 보인다. 2019년 3월, 14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서도 탈락했다. 2021년 9월, 정권수립 73주년 안전무력열병식에 초대받았다. [[김영남]], [[박봉주]], [[김기남(1929)|김기남]], [[최태복]], [[김경옥]] 같은 주요 원로들과 같이 불린거로 봐선, 원로로 대접 받는게 확실해졌다. == 참고문헌 == * 통일부 정세분석국 정치군사분석과, 『2021 북한 주요인사 인물정보』(서울: 통일부, 2021). [[분류:조선로동당 당력사연구소장]][[분류:12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분류:13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분류:조선로동당 6기 중앙위원회 위원]] [[분류:조선로동당 7기 중앙위원회 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