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대한민국 국무총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24f 0%, #003478 20%, #003478 80%, #00224f)" '''{{{#c39335 김정렬 관련 틀 }}}'''}}} || || {{{#!folding[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대한민국 국무총리 서리 및 직무대행)] ---- [include(틀: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 [include(틀:주 미합중국 특명전권대사)] ---- [include(틀:역대 한국자유총연맹 총재)] ---- [include(틀:민주공화당 총재 및 당의장)] ---- [include(틀:대한민국 역대 국방부장관)] ---- [include(틀:대한민국 공군참모총장)] ---- [include(틀:공군사관학교장)] ---- [include(틀:대한민국 공군 창설 간부 7인)]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24f 0%, #003478 20%, #003478 80%, #00224f)" '''[[국무총리|{{{#c39335 대한민국 제19대 국무총리}}}]][br]{{{#c39335 {{{+1 김정렬}}}[* 창씨개명 당시 썼던 이름은 카가와 사다오. ([ruby(香川貞雄, ruby=かがわさだお)])][br]金貞烈 | Kim Chung-yul}}}'''}}}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정렬_묘소 사진.jpg|width=100%]]}}} || ||<|2> '''출생''' ||[[1917년]] [[9월 29일]]|| ||[[카가와현]] [[젠츠지시]] 이쿠노쵸 || ||<|2> '''사망''' ||[[1992년]] [[9월 7일]] (향년 74세)||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교병원]] || || '''본관''' ||[[경주 김씨]][* 상촌공파 20세손 '렬(烈)'자 항렬] || || '''호''' ||서암(曙巖) || ||<|10> '''재임기간''' ||초대 [[대한민국 공군참모총장|공군참모총장]] || ||[[1949년]] [[10월 31일]] ~ [[1952년]] [[11월 1일]]|| ||제3대 [[대한민국 공군참모총장|공군참모총장]] || ||[[1954년]] [[12월 1일]] ~ [[1956년]] [[12월 1일]]|| ||제7대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국방부 장관]] || ||[[1957년]] [[7월 6일]] ~ [[1960년]] [[5월 2일]]|| ||초대 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 수석부의장|| ||[[1981년]] [[5월 7일]] ~ [[1985년]] [[6월 2일]]|| ||제19대 [[국무총리]][* [[노신영]]의 총리직 사임으로 인해 취임 이전까지 국무총리 서리 수행. (1987년 7월 14일 ~ 1987년 8월 6일)]|| ||[[1987년]] [[8월 7일]] ~ [[1988년]] [[2월 24일]]||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김준원, [[어머니]] 변상희 || || '''형제자매''' ||남동생 [[김영환(군인)|김영환]] || || '''배우자''' ||이희재 || || '''자녀''' ||아들 김덕기, 김정기, 김형기[br]딸 김태자, 김경순 || || '''친인척''' ||큰아버지 김기원 || || '''학력''' ||[[경기고등학교|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 {{{-2 (졸업)}}}[br][[일본육군사관학교]] {{{-2 (예과)}}} || || '''종교''' ||[[불교]] || || '''의원 선수''' ||'''1''' || || '''의원 대수''' ||[[제7대 국회의원|'''7''']] || || '''경력''' ||초대, 제3대 공군참모총장[br]초대 민주공화당 의장[br]제6대 [[주미대사]][br]제7대 국방부 장관[br]반공연맹 이사장[br]제19대 국무총리[br]제7대 국회의원 (전국구/[[민주공화당]])[br][[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 ||<-2> '''군사 경력''' || || '''임관''' ||[[일본육군항공사관학교]] {{{-2 (54기)}}}[br][[육군사관학교|조선국방경비사관학교]] {{{-2 (특3기)}}} || ||<|6> '''복무''' ||[[일본제국 육군]] || ||1941년 ~ 1945년 || ||대한민국 육군 || ||1946년 ~ 1949년 || ||[[대한민국 공군]] || ||1949년 ~ 1952년 || || '''최종 계급''' ||대위 {{{-2 (일본제국 육군)}}}[br]대령 {{{-2 (대한민국 육군)}}}[br]중장 {{{-2 (대한민국 공군)}}} || || '''참전''' ||[[제2차 세계 대전]] {{{-2 ([[태평양 전쟁]])}}}[br][[6.25 전쟁]]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제19대 [[국무총리]]이자 제7대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국방부 장관]]. [[8.15 광복|광복]] 이후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국방부 장관]] 및 [[국무총리]]를 지내기도 했다. [[대한민국 공군]] 1호 [[군번]]인 50001번을 받았으며, 동생인 [[김영환(군인)|김영환]]과 함께 공군 창설 7인에 들어간다.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선정되었다. 이 명단에는 큰아버지 김기원과 아버지 김준원도 포함되어 있다. 왜냐하면 김기원은 [[일본육군사관학교]] 15기로 [[일본군]] [[공병]] 중좌를 지냈고, 김준원은 일본육사 26기로 일본군 [[보병]] [[대위]]를 지냈기 때문. 이들은 8~90년대에 [[임종국(1929)|임종국]]이 주도하던 한국의 친일파 관련 서적에서도 언급된 바 있다.[* 동생 [[김영환(군인)|김영환]]은 대학 재학 중 징집된 케이스여서 수록되지 않았다.] 한국 현대사에서 한 명도 아닌 '''두 명의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을(이승만, 최규하) [[하야]]'''시킨 특이한 이력이 있다. == 일생 == === [[일제강점기]] 및 광복 직후 === 1917년 9월 29일 [[일제 강점기]] [[카가와현]] 젠쓰지(善通寺) 이쿠노쵸(生野町)에서 태어났다. 1937년 [[서울고등학교|경성공립중학교]]를 졸업하였고, 1937년 12월 [[일본육군사관학교]] 예과에 입교, 1938년 11월에 졸업했다. 부대 실습을 거친 후 1939년 3월 일본 육사 본과에 진학해 1940년 9월 제54기로 졸업했다. 1941년 5월 [[일본육군항공사관학교]]의 전투기과를 졸업하고 육군 항공 소위로 임관했다. 1942년 3월 첫 부임지를 일본 항공전대 가운데 가장 유명하고 선망의 대상이었던 큐수 제4전대에 배치받았다. 1941년 9월 제4전대에서 훈련 중 [[중위]]로 진급했다. 1941년 11월부터 제4전대원으로 시모노세키 오즈키 비행장에 주둔하다가 홋카이도 [[아사히카와]]로 이동했다. 1941년 11월 말 [[오키나와]]의 나하비 비행장을 거쳐 11월 28일 [[대만]]으로 이동했다. 1주일 후 대만 옆의 [[펑후]] 열도를 떠나 남방으로 향하는 선단을 공중 엄호하는 작전을 수행했다. 1941년 12월 8일 오전 5시 [[필리핀]] 공격작전에 참가해 [[미국 공군]]력을 거의 궤멸시켰다. [[말레이시아]] 작전에 참가한 [[최명하]]와 노태순을 포함해 [[태평양 전쟁]] 개전 당일 참전한 세 명의 조선인 장교의 한 사람이 되었다. 1942년 2월 일본 본토의 오즈키 기지로 돌아와 4전대의 본래 임무인 일본 본토 방위를 담당하였다. 같은 해 5월 경 미군 폭격기들이 기습적으로 [[도쿄]]를 공습하자 [[규슈]] 야하다 제철소를 엄호하기 위해 비상 대기하였다. 그 후 제4전대 2중대 [[중대장]] 대리로 2중대를 골간으로 규슈 아시아에서 248전대를 신설할 때 부대 창설 책임자가 되어 1942년 9월 부대 편성을 완료했다. 248전대는 97식 전투기를 하야부사(송골매)라는 기종으로 개량한 최신 전투기로 구성되었다. 부대 편성 직후 아키노(明野) 비행학교 [[갑종]] 학생으로 선발되었다. 갑종 학생교육은 중대장, [[전대장]]을 만들기 위한 특별 교육과정으로 고급 항공 전술과 전투기, 전폭기 연합작전과 해군과의 협력 등 고급 비행훈련을 이수해야 했다. 일본 육사 54기생은 단 네 명이 선발되었다고 한다. 1943년 3월 갑종 학생 과정을 이수했다. || [[파일:3식 전투기 히엔의 앞에 서 있는 김정렬.jpg|width=100%]] || || 3식 전투기 히엔(飛燕)의 앞에 서 있는 김정렬. || 1943년 7월 동기생 중 최초로 전투기 중대장에 발탁되어 248전대 제1중대를 이끌고 [[인도네시아]] [[반둥]]으로 이동했다. 여기서 117교육비행대대에 편성되어 제3중대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남방으로 배속된 제3중대를 제외한 나머지 248전대 2개 중대는 [[뉴기니]]로 이동 중 미군의 공격으로 넉 달 만에 부대 자체가 완전히 없어졌다. 1944년 4월 육군 항공 대위로 진급해 자바의 솔로로 전출해 그곳에서 전대장 대리로 제35교육비행대를 창설했다. 이 부대는 [[독일]]의 메서슈미트 전투기를 모델로 해 만든 신형 전투기 Ki-61[* 별칭은 히엔(飛燕)이었다.]로 구성되어 '비연전대'라고 불리었다. 본인의 회고로는 1944년에 [[육군대학교]]에 응시했다고 하는데, 합격 여부를 확인받지 못한 상태로 전쟁이 끝났다고 한다. 1945년 2월 비연전대를 끌고 전 남방지역 유류 공급기지인 [[수마트라]] [[팔렘방]]으로 이동해 수마트라 서해안 지역을 담당했다. [[연합국]] 비행기가 팔렘방으로 가는 것을 막기 위해 [[인도양]] [[코코스 제도]]에 기지를 둔 [[영국]] 비행기와 거의 매일 공중전을 치렀다. 1945년 8월 10일 아키노 비행학교 갑종 학생의 교관으로 발령받아 출발하는 당일 8월 15일 일본 [[천황]]의 무조건 항복 발표를 청취했다. 곧바로 전출 이임식을 갖고 일본으로 가기 위해 팔렘방을 떠나 [[프놈펜]]으로 갔다. 그러나 종전 직후 연합군이 모든 [[일본군]]의 항공로를 완전히 폐쇄시켜 다시 [[사이공]]에 가서 지내다 그곳에 모인 한국인 1,110명을 인솔해 일본 구축함을 타고 [[부산항]]으로 귀환해 1946년 5월 15일 서울에 도착했다. 광복한 조국에서 그는 [[대한민국 공군]] 창설의 주역들인 [[김영환(군인)|김영환]], [[박범집]], [[이근석]], [[장덕창]], [[최용덕]], 이영무와 함께 [[대한민국 육군|육군]] 내의 항공 부대를 창설하는데 기여했다. 1948년 5월 14일 그는 육군항공사관 후보 1기생으로 입교하여 교육 수료 후 육군 [[소위]]로 임관하였다. [[김계원]]의 회고에 따르면 일본 육군 항공대 출신들은 [[군사영어학교]]에서 [[일진]]처럼 몰려다녔고 그중에서 [[김영환(군인)|김정렬의 동생]]도 있었는데 입이 험했다고 한다. 그래서 김계원은 그 패거리한테 맞을까 봐 피해 다녔다고 한다. 그럴 만도 한 게 김계원은 [[학병]] 출신이라 강제로 끌려갔다가 견습사관만 하다가 나온 터라 군맥(軍脈)이라 할 만한 게 미약했기 때문. ===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 || [[파일:김정렬_프로필.jpg|width=100%]] || || 공군참모총장 시절 || 1948년 9월 13일 그는 조선경비대 항공기지 사령부 비행부대 부대장으로 임명되었고 [[여수·순천 10.19 사건]]이 발생하자 진압작전에 참가하여 공중 지원을 실시했다. 1949년 2월에는 [[중령]]으로 진급, 육군항공사관학교 초대 교장으로 취임했다. 이후 '[[제주 4.3 사건]] 진압 및 옹진지구전투 지원'이라는 임무를 맡아 출격했다. 이후 [[국군조직법]]에 의해 [[대한민국 공군]]이 [[대한민국 육군|육군]]으로부터 독립한 1949년 10월 1일에 초대 [[대한민국 공군참모총장|공군참모총장]]에 임명되었고[* 최용덕 장군이 초대 국방차관으로 영전하여 있었던 까닭도 있다.] 이듬해 5월에 공군 [[준장]]으로 진급하였다. 이때 그는 공군 육성에 전심전력을 경주하여 오늘날의 공군을 만드는데 기초를 쌓았다. [[6.25 전쟁]]이 발발하자 그는 공군참모총장으로서 [[이승만]] 전 대통령에게 전투기의 필요성을 건의하였다.[* 이때 건의한 것이 회고록 이름인 항공의 경종이다. 지금은 절판되었기 때문에 중고나라 및 헌책방에서 구할 수 밖에 없다. 또한 15000원이지만 헌 책방에서 기본적으로 3만원~4만원 정도 된다. 아무튼 책을 사서 보면 아쉬울 수도있는데 [[김정렬(1917)|서암]]이 쓰다가 중간 지병으로 사망했기 때문에 미완성 회고록으로 남았다. 그러나 공군 창설에 대해서는 충분히 잘나와있기 때문에 만족할만하다. 참고로 제목에 있는 항공의 경종은 부록에 수록되었다.] 열악하게도 당시의 공군의 비행전력은 연습기와 연락기뿐이었기 때문이다. 그가 건의를 한 이후 1950년 7월 2일 미 극동 공군으로부터 [[P-51|P-51]][* 1940년대 말에 미군의 항공기 명명 체계가 바뀌면서 전투기도 Pursuit에서 Fighter가 되었다.] 전폭기 10대를 지원받았다. 그는 자신의 전투기에 탑승, 진두에서 지휘했다. 그렇지만 당시 만 33세에 불과했으니 그리 이상한 일은 아니다. 그리고 그의 지휘를 따라 공군은 육군의 근접지원 및 후방 차단 작전을 감행, 국군의 지상작전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게 된다. 특히 그는 1951년 8월 17일부터 9월 18일까지 지리산지구 전투경찰사령부 요청을 받고 P-51 전폭기들을 이용, [[지리산]] [[공비]] 토벌작전에 투입시켜 지상작전을 도왔다. 휴전 후인 1954년 12월에는 다시 공군참모총장에 취임하였다. 1957년 7월 6일 공군 [[중장]]으로 예편한 후, 같은 달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국방부 장관]]으로 발탁되었다. 그 후 [[박정희]]가 소장진급심사 대상자가 되어 소장 진급이 확정된 상황에서 [[곽영주]]의 훼방으로 인해 소장 진급이 취소되자 이 소식을 듣고 급하게 달려가서 심사위원들을 잘 달래고 박정희를 변호해줘서 박정희가 무사히 소장에 진급하게 도와줬다. 이 은혜를 잊지 않고 있었던 박정희는 훗날 김정렬을 [[민주공화당]] 의장, 제7대 [[전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 등에 임명하였다. [[5.18 민주화운동]]의 유혈 진압 이후, [[대한민국 제5공화국|제5공화국]]을 출범시키려던 [[전두환]]의 부탁으로, 친구였던 [[최규하]]를 설득, 8월 16일에 하야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대한민국 제6공화국|제6공화국]] 초기인 1987년 [[국무총리]]에 임명되었다.[* [[국무총리실]]에서 근무한 적이 있는 [[정두언]]의 증언에 의하면, 김정렬은 총리 재임시에 매일 저녁 식사 후 [[코냑]]을 한 잔씩 마셨다고 한다. 그래서 총리실에서 부처 예산으로 코냑잔 여러 개를 구입했었다고 한다. 김 총리 부인이 퇴임 전 이삿짐을 쌀 때 이 코냑잔 중 일부를 같이 부쳤는데, 여느 날과 같이 저녁 식사 후 코냑을 마시던 김 총리가 잔이 없어진 걸 발견하고 "평생을 부끄러움 없이 살아왔는데 하루 아침에 명예에 먹칠하려고 그러느냐"고 당장 공관에 다시 코냑잔을 갖다 놓으라고 불같이 화를 냈다고 한다.] 재밌는 건 [[4.19 혁명]] 당시에도 이승만에게 [[하야]]를 건의했다는 점.[* 드라마 [[제5공화국(드라마)|제5공화국]]에서도 이 부분이 언급된다. "세상 참 묘하구만. 이승만 대통령에게 하야하라고 설득한 지가 엊그제인데 오늘 똑같은 부탁을 받으니 말이야."][* 드라마 [[제2공화국(드라마)|제2공화국]]에서는 [[4.19 혁명]] 당시 [[홍진기]]와 함께 [[이기붕]]을 찾아가 “이렇게 국민들의 민심을 잃은 상태에서 계엄령으로 무력 진압하게 되면 유혈사태가 뻔해지는데 이 상황에서 [[김일성]]이 남조선 동포들을 구하겠다며 내려온다면 어떻게 막나?”면서 부통령 당선 사퇴를 건의하는 장면이 나온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제1공화국의 국무위원)] == 관련 도서 == * 《항공의 경종》(회고록) == 김정렬을 연기한 배우 == * [[제2공화국(드라마)|제2공화국]](MBC) : [[박영지]] * [[제3공화국(드라마)|제3공화국]](MBC) : 이승호 * [[코리아게이트(드라마)|코리아게이트]](SBS) : [[오승룡]] * [[제5공화국(드라마)|제5공화국]](MBC) : [[박규채]] == 관련 문서 == * [[김영환(군인)|김영환]] [include(틀:제7대 국회의원/전국구)]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대한민국 국무총리]][[분류: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분류:일본군/조선인]][[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6.25 전쟁/군인]][[분류:대한민국 공군참모총장]][[분류:민주공화당 총재 및 당의장]][[분류:주미대사]][[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종로구 출신 인물]][[분류:경주 김씨 상촌공파]][[분류:1917년 출생]][[분류:1992년 사망]][[분류:경기고등학교 출신]][[분류:육군사관학교 출신/전신 학교]][[분류:이승만 정부/인사]][[분류: 무정부/인사]][[분류:국방부 장관]][[분류:제7대 국회의원]][[분류:국무총리 서리·직무대행]] [include(틀:포크됨2, title=김정렬(1917), d=2022-07-04 18:2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