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예산결산특별위원장)]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width=30px]]]] {{{#cfa547 '''[[대한민국|{{{#cfa547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국회의원}}}]] ([[경상남도|{{{#cfa547 경남}}}]] [[진주시 을|{{{#cfa547 진주시 을}}}]])'''}}} || || ''선거구 분리''[br][[하순봉]][* [[진주시]] 선거구의 [[제16대 국회의원]]이다.] || → || '''제17-20대[br]김재경''' || → || 제21대[br][[강민국(정치인)|강민국]] || ||<-2> '''대한민국 제17-20대 국회의원[br]{{{+1 김재경}}}[br]金在庚 | Kim Jae-kyung'''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정치인김재경1.jpg|width=100%]]}}}|| ||<|2> '''출생''' ||[[1961년]] [[10월 10일]] ([age(1961-10-10)]세) || ||경상남도 진양군 명석면 외율리[br](現 [[경상남도]] [[진주시]] 명석면 외율리) || || '''본관''' ||[[구 안동 김씨]] || || '''현직''' ||통합과 공정 포럼 상임대표[br]법무법인 오현 형사전문센터장 변호사|| || '''외부 링크''' ||[[http://blog.naver.com/jk_space21|[[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powerjinju|[[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링크에서 보이듯이 진주에 대한 애정이 상당히 강하다.]||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배우자''' ||문순자 || || '''자녀''' ||슬하 3남 || || '''학력''' ||[[경상국립대학교]] {{{-2 (법학 / 학사)}}}[br][[서울대학교 대학원]] {{{-2 (법학 / 석사)}}} || || '''병역''' ||면제 {{{-2 (우슬관절운동장애)}}} || || '''종교''' ||[[불교]] || || '''소속 정당''' ||[include(틀:국민의힘)] || || '''의원 선수''' ||'''4''' || || '''의원 대수''' ||[[제17대 국회의원|'''17''']], [[제18대 국회의원|'''18''']], [[제19대 국회의원|'''19''']], [[제20대 국회의원|'''20''']] || || '''약력''' ||제29회 [[사법시험]] 합격[br]제19기 [[사법연수원]] 수료[br][[서울중앙지방검찰청]] 검사[br][[부산지방검찰청]] 검사[br]제17-20대 국회의원 {{{-2 (경남 진주 을)}}}[br][[대한민국 국회|국회]] [[윤리특별위원회]] 위원장[br][[대한민국 국회|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br][[바른정당]] [[최고위원]][br][[자유한국당]], [[미래통합당]] 중앙위원장[br]국회 헌법개정 및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br][[jp희망캠프]] 경남 선거대책위원장[br][[국민의힘 선거대책본부]] 경남 선대위 상임고문[br][[윤석열]] 대통령 [[케냐]] 특사단장 {{{-2 ([[윤석열 정부]])}}}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 == 생애 == 1961년 [[경상남도]] [[진주시]]에서 출생하였다. [[진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경상국립대학교]] 법학과에 수석 입학하여 수석 졸업하였다.[* 경상대 출신 인물들 중에서 가장 잘 알려진 인사일 것이다. 경상국립대 총동문회 회장도 역임하였다.] 이후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검사(법조인)|검사]]로 근무하였으며, 1997년 개인 [[변호사]] 사무실을 개업하였다. === 정치 활동 ===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경상남도 진주시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한나라당 제1정책조정위원장, [[대한민국 국회]]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대책특별위원회 위원, 대한민국 국회 민족화해와 번영을 위한 남북평화통일 특별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2007년 [[제17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치러진 한나라당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 후보 선출 [[전당대회]]에서 [[친이]]계에 속하여 [[이명박]] 후보를 지지하였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대한민국 국회 [[2012 여수 엑스포]] 유치 특별위원회 간사, 한나라당 윤리심사위원회 위원, [[대한민국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간사 등을 역임하였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4년부터 2015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윤리특별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15년 대한민국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장에 선출되었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5월 3일 원내대표 후보 [[나경원]]과 [[러닝메이트]]로 정책위원회 의장 선출에 출마하였으나 [[정진석(정치인)|정진석]]-[[김광림(정치인)|김광림]] 조에 밀려 낙선하였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정국 당시, 하야나 퇴진이 아닌 탄핵을 해야한다며 헌법적 절차를 강조했으며, 12월 27일 새누리당을 탈당하고 [[바른정당]]에 합류했다. 2017년 5월 2일 다른 비유승민계 의원들[* [[장제원]], [[홍문표]], [[박성중]], [[여상규]], [[박순자]], [[이진복]], [[이군현]], [[김성태]], [[김재경(정치인)|김재경]], [[김학용]], [[권성동]], [[홍일표]], [[황영철]]]과 함께 [[홍준표]] 후보 지지를 선언하며, [[바른정당]] 탈당계를 제출하고 [[자유한국당]]에 입당원서를 제출했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5/02/0200000000AKR20170502050700001.HTML?from=search|#]] 5월 6일 [[홍준표]] 대통령 후보가 당무우선권을 근거로 복당을 지시한 것을 두고 당내 작은 내홍을 겪다가 [[정우택]] 당대표 권한대행이 최종적으로 이를 승인하였다. 5월 12일 마침내 동반 탈당한 11명의 [[바른정당]] 탈당파 의원들과 함께 복당 절차가 완료되었다. 진주의료원 폐업 등을 겪는 과정에서 진주시 국회의원으로 있으며 경남도지사 시절의 [[홍준표]]와 사이가 안 좋았던 것으로 알려져, 의외였다는 반응.[* 진주의료원이 자신의 지역구인 진주 을구에 속해있는 초전동에 위치해있다. 현재는 경남도청 서부청사가 건물에 들어서있다.] [[2019년 국회 무제한토론|2019년 공수처법 필리버스터]]의 첫 주자로 나서 대한민국 형사사법체계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검경 수사권 조정]], [[검찰개혁]] 등에 대해 조곤조곤 설명했다. 이때 연동형 비례대표제 통과와 관련해 "[[https://www.youtube.com/watch?v=k6Sxf_A-SIg|제가 말한 게 틀리면 제 손에 장을 지진다는 것을 전제로 말씀드리겠다]]"며 "민주당이 비례민주당을 만들 것"이라고 예언했다. 그런데 2020년 3월에 민주당이 [[더불어시민당|비례정당]]을 만들면서 김 의원의 예언이 정확히 맞아떨어지게 되었다. [[https://youtu.be/ALiucgJjPSY?t=354|#]] 2020년 3월 5일, [[https://news.v.daum.net/v/20200305184306328|홍준표 전 대표, 김태호 전 경남지사를 비롯하여 5선의 이주영 국회부의장과 재선의 김한표 의원과 함께 컷오프 명단에 올려졌으며,]] 이후 3월 25일, 무소속 출마 선언을 할 예정이었으나 방향을 바꿔 불출마 선언을 하였다. [[친이]]계 중진답게, 2022년 1월 24일에는 [[이명박]] 전 대통령 석방을 촉구하기 위한 전직 국회의원들의 성명서에 이름을 올렸다. [[https://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2/01/24/2022012400084.html|#]]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경상남도지사]]나 [[진주시|진주시장]] 출마설이 나오고 있다. [[http://www.newskr.kr/news/articleView.html?idxno=53845|#]] 그러나 2022년 3월 16일 [[창원시장]] 출마로 선회하였다. 이후 컷오프 되었다. 같은 친이계-바른정당 출신인 [[정병국]]과 함께 [[윤석열]] 대통령 특사로 9월 13일 윌리엄 루토 [[케냐]] 대통령 취임식에 파견된다. [[http://m.kyeongin.com/view.php?key=20220907010001209|#]] == 활동 == === 광복회 존속을 위한 법률 개정안 발의ㆍ통과 === 8월 15일 해방 후 설립된 [[광복회]]는 독립운동 애국지사와 후손들을 주축으로 하는 단체이다. 그러나 그 자격은 국가 유공자로부터 2대까지로 한정되어 당시에는 손자녀 이후 세대는 광복회의 회원이 될 수 없었다. 이로 인해 광복회 회원의 충원이 이뤄지지 못하고 광복회 회원의 평균 연령이 75세에 이르게 되어 회원들의 고령화로 인한 단체 자체의 존폐 여부까지 불투명한 실정이었다. 실제로 300만 명에 이르는 [[독립운동가]] 수에 비해 광복회 회원은 1만 명에도 이르지 못하게 된 것이다. 김 의원은 지난 2011년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003&aid=0003926673|광복회 존속을 위한 법개정안을 발의하여 ‘국가유공자 등 단체 설립에 관한 개정법률안’이 통과]]되었다. 따라서 광복회의 경우, 고령화된 광복회 회원이 돌아가실 경우에도 [[직계비속]] 중 가장 나이가 많은 1인에게 유족과 합의하여 회원자격을 부여할 수 있게 되었다. === 뿌리산업 지원 법률 제정안 대표발의ㆍ전원 찬성 통과 === 2011년 5월, 김재경 의원은 모든 제조업의 근간이 되는 [[뿌리산업]]에 대한 지원 근거를 명문화 하는 ‘[[https://www.law.go.kr/법령/뿌리산업진흥과첨단화에관한법률/(18272,20210615)|뿌리산업 경쟁력 강화 지원에 관한 법률]]’을 발의한 바 있다. 뿌리산업 지원법안은 총 6장 26개 조문 및 부칙으로 구성되어 뿌리산업 진흥 기본계획을 골격으로 뿌리산업발전위원회, 뿌리산업 인력양성, 핵심뿌리기술의 지정 및 개발지원, 뿌리산업을 위한 특화단지 및 진흥센터 등을 지정해 집중 지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 해 6월 이 법률안은 대표발의 2개월 만에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으며, 곧바로 진주시와 한국생산기술연구원과 [[MOU]]를 체결하는 등 일사불란하게 사업을 추진하였다. 이는 항공우주산업 등 경남 지역산업과 관련한 금형ㆍ소성가공 등 뿌리산업 육성 및 국제 경쟁력 확보를 위한 실용화 지원 및 연구기반을 구축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여기엔 평소 치밀한 준비성이 있는 김 의원의 성격이 반영되었다는 후문이다. 중소 뿌리기업의 [[R&D]]역량 강화를 위해 개소한 [[https://map.naver.com/v5/entry/place/20786179?c=14260893.9160558,4180093.7703769,13,0,0,0,dh&placePath=%2Fhome%3Fentry=plt|진주뿌리기술지원센터]] 주변에는 현재 배후단지로서 진주(뿌리) 금형일반산업단지 외에 산업부로부터 지정받은 ‘[[https://www.segye.com/newsView/20210128510465?OutUrl=naver|뿌리산업 특화단지]]’ 조성이 추진되고 있어, 진주시 정촌면 일대는 앞으로 서부경남이 동남권 뿌리산업의 생산거점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으며, 뿌리센터는 뿌리산업의 첨단화를 촉진하는 컨트롤 타워로서의 역할을 하게될 전망이다. === 네이버 뉴스 순위 편집 및 온라인 골목상권 장악 질타 === 2017년 10월, [[네이버]]는 외부 청탁을 받고 특정 뉴스를 보이지 않게 편집한 사실이 드러나며 [[http://www.newsway.co.kr/news/view?tp=1&ud=2017103020285215090|뉴스 공정성 시비]]에 휘말렸다. 포털 이용자의 뉴스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실시간 검색어도 외압이나 이해관계에 따라 조작된다는 의혹도 제기되었으며, 한 사람이 복수 계정과 불법 프로그램으로 기사 내에서 많은 댓글을 달거나 공감 버튼을 누르는, 소위 ‘댓글 조작’으로 논란이 되어왔다. 이에 [[김재경]] 의원은 대선 시기 검색 순위 조작 의혹, [[한국프로축구연맹]]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171021/86864145/2|청탁에 따른 기사 배열 조작]], POP 뉴스 등 중소 언론사 갑질 의혹 등을 구체적으로 제기하고, 같은 달 30일에 열린 [[국정감사]]에서 [[이해진]] 창업자를 질타했다. 또한 네이버가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0/27/2017102700416.html|골목상권 업종을 무리하게 장악하여 독ㆍ과점하고 검색 광고비 경쟁을 부추겨 중소상공인을 압박]]한다고 지적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이 창업자의 반박에 ‘네이버가 글로벌 시장에서 [[포털]]로서의 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긴 어렵다’고 비판했다. === KBS '오늘밤 김제동'의 편파방송 및 공영방송으로서 과도한 보수 지불 지적 === 2018년 12월 4일, [[KBS]] 프로그램인 ‘[[오늘밤 김제동]]’에서 ‘[[위인맞이 환영단]]’ 김수근 단장이 [[북한]] [[김정은]] 위원장을 일방적으로 찬양하고 미화하는 모습을 인터뷰 하였고, [[방통위]]에서는 이를 문제가 없다 판단하여 논란이 일었다. 김 단장은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2/06/2018120602294.html|이 날 방송]]에서 본인이 [[김정은]] 위원장을 열렬한 팬임을 밝히며, ‘([[김정은]] 위원장은) 겸손하고 지도자의 능력과 실력이 있고, 지금 [[북한]]의 경제발전의 모습을 보먄 정말 팬이 되고 싶다’고 발언하였다. 또한 북한 세습과 인권문제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선출 대통령인 [[박정희]], [[박근혜]] 전 대통령을 예로 들며 반박했다. 그는 일전에도 [[광화문 광장|광화문]] 앞에서 ‘나는 [[https://www.wikitree.co.kr/articles/387496|공산당이 좋아요]]. 여러분들도 곧 좋아하게 될 겁니다.’와 같은 [[종북]] 발언으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바 있다. 김 의원은 그 달 7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당시 [[통일부]]의 [[조명균]] 장관과 [[KBS]] 방송사, [[김제동]] 그리고 김수근 단장을 거세게 질타했다. 김수근 단장의 발언들이 국민과의 공감대가 전혀 없으며, 오히려 이는 대한민국 정부가 나아가고자 하는 통일정책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통일부에서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는 김 의원의 질책에 아무런 답변도 하지 못하는 [[조명균]] 장관의 모습이 지금까지 회자되고 있다. 또한 김 의원은 국민들의 수신료로 운영되는 공영방송인 [[KBS]]에서 [[김제동]] 측에 일주일 당 1,400만원의 과도한 출연료를 지불하며 이와 같은 편파적인 내용을 방송하는 것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였다. == 논란 == === [[셧다운제|강제적 셧다운제]] 발의 === 17대 국회의원을 지내고 있던 2005년 7월 18일에 [[셧다운제|강제적 셧다운제]]를 규정하는 [[http://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031265&ageFrom=19&ageTo=19|청소년보호법 개정안]]을 발의했으나, 이 개정안은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지 못해 17대 국회의 임기가 끝나면서 자동으로 폐기되었다. 그러나 재선에 성공해 18대 국회의원을 지내고 있던 2008년 7월 10일에 [[셧다운제|강제적 셧다운제]]를 규정하는 [[http://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M0V8J0D7H1C0G1C5G5Y4T3W5G1D4R6&ageFrom=20&ageTo=20|청소년보호법 개정안]]을 다시 발의했고, 이 개정안은 2010년 4월 21일에 국회 소관상임위원회에서 대안반영 폐기되어 2011년 4월 29일에 [[민주당(2008년)|민주당]] [[최영희(1950)|최영희]] 의원의 [[http://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Z1A0F0R4L1O9N2P0M2J5D2T2T7U8U4|대안 법률안]][[셧다운제|으로 통과되었다.]] 이 대안 법률안은 5월 19일에 공포되어, 11월 20일에 발효되었다. 같은 당의 [[신의진]], [[손인춘]] 의원과 함께 게임을 악마화하는 행보로 인한 2011년의 셧다운제 발의 및 통과 등으로 인하여, 10년 뒤인 2021년 [[마인크래프트 미성년자 이용 불가 사태]]라는 대형사고가 터졌다. 강제적 셧다운제 법안 발의 이후 10년이 지난 2021년 8월 8일, 김재경 전 의원은 "해당 법안의 최초 발의자[* 셧다운제는 '''한나라당 김재경 의원 안(2005년)''', [[한나라당]] [[김희정(정치인)|김희정]] 의원 안(2006년), '''한나라당 김재경 의원 안(2008년)''', [[민주당(2008년)|민주당]] [[최영희(1950)|최영희]] 의원 안(2009년) 의원입법시도를 거쳐 2010년 문화체육관광부와 여성가족부의 의견을 반영한 뒤 여성가족위원회에서 법안을 병합하여 시행되었다.]인 저는 당초 취지와 다르게 운용되고 무력화된 현상에 책임을 통감하면서, 전향적인 셧다운제 폐지의 입장"을 밝혔다. [[https://www.youtube.com/watch?v=mbbI93n4jII|김재경TV]] 이 영상 속에 담긴 김재경 전 의원의 "(셧다운제 법이) 당초 도입을 막을 수 있었던 법안임에도 불구하고 게임업계의 비협조가 좌초한 법안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라는 발언과 "'셧다운제가 우리나라 게임발전을 해쳤다'는 주장에 대한 쓴소리"에 대해서 게임 소비자와 언론은 [[https://www.thisisgame.com/webzine/news/nboard/4/?n=130572|셧다운제 처음 발의한 김재경 전 의원, 이제는 셧다운제 없애자?]]라며 강하게 비판하는 의견을 보였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4> 경남 [[진주시 을|진주 을]] ||<|2> [include(틀:한나라당)] || '''37,851(48.64%)''' ||<|4> '''당선 (1위)''' || '''초선''' ||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35,406(58.70%)''' || '''재선'''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2>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38,765(54.20%)''' || '''3선'''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42,647(59.61%)''' || '''4선'''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17대 국회의원/경상남도)] [include(틀:제18대 국회의원/경상남도)] [include(틀:제19대 국회의원/경상남도)]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경상남도)] [include(틀:제19대 국회의원/새누리당)]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미래통합당)] [include(틀:국민의힘의 계파 분류)]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재경, version=367)]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제17대 국회의원]][[분류:제18대 국회의원]][[분류:제19대 국회의원]][[분류:한나라당 국회의원]][[분류:새누리당 국회의원]][[분류:바른정당 국회의원]][[분류:자유한국당 국회의원]][[분류:미래통합당 국회의원]][[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진주시 출신 인물]][[분류:1961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안동 김씨(선)]][[분류:법조인 출신 정치인]][[분류:진주고등학교 출신]][[분류:경상국립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