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5 {{{#fff 김응수}}}}}}[br]Kim Eung-su / 金應洙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im Eung-su(1966).jpg|width=100%]]}}} || || '''이름''' ||김응수|| || '''국적'''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 '''출생''' ||[[1966년]] [[1월 1일]]([age(1966-01-01)]세), [[대한민국]] [[충청북도]] [[충주]]|| || '''데뷔''' ||[[1996년]] 극영화 〈시간은 오래 지속된다〉|| || '''학력''' ||[[서울대학교]] {{{-2 (심리학 / 학사)}}} || || '''링크''' ||[[https://kimeungsu.blogspot.com/|홈페이지]] [[https://www.facebook.com/kimeungsufilm/|페이스북(김응수필름)]]||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의 [[영화 감독]]. 극영화로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으나 현재에 이르러서는 [[다큐멘터리]], [[포스트시네마]]적인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 생애 및 감독 활동 == >1990년 대학을 졸업하고 갑자기 나의 본성이 요구하는 일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의 내부에 예술적 재능이 있었는지 없었는지 모르겠지만 욕구는 있었던 것 같다. 어떤 특별한 계기나 사건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 그래서 홀연히 서울예전에 입학했으나 곧 그만두고 91년 러시아로 떠나 5년간 머물렀다. 김응수는 1966년 [[충주]]에서 태어났고, [[서울대학교]]에서 [[심리학]]을 공부하였다. 이후, 한국 대학의 영화과와 외국 대학의 영화과를 다녔지만 다 중도 포기하고, 영화는 오직 개인적인 탐구와 습작으로 공부하였다. 1996년 극영화 〈시간은 오래 지속된다〉로 데뷔하고 몇 편의 극영화를 만들었지만, 2006년 〈천상고원〉 이후 극영화와 다큐멘터리가 혼재된 작품을 하였으며, 2012년 〈아버지 없는 삶〉 이래에는 주로 다큐멘터리를 만들었지만, 현재는 장르가 없다고 하는 편이 옳을 것이다. 물론 궤적 안에는 에세이 필름과 [[비디오 아트]]도 있다. 이 변화는 다양한 장르에 대한 사적 호기심을 표현하기도 하지만, 영화란 무엇인가에 대한 답을 찾아나가는 과정이라고도 할 수 있다.[* 작품 〈사각형을 위한 씻김굿〉 감독소개 발췌 ] == 필모그래피 == || '''{{{#white 연도}}}''' || '''{{{#white 제목}}}''' || '''{{{#white 비고}}}''' || || 1991 || 안단테 칸타빌레[br]''Andante Cantabile'' || 단편[* 러시아 유학 시절 만든 단편] || || 1996 || 시간은 오래 지속된다[br]''Time lasts'' || 극영화 || || 2002 || 욕망[br]''Desire'' || 극영화 || || 2005 || 달려라 장미[br]''Way to Go, Rose'' || 극영화 || || 2007 || 과거는 낯선 나라다[br]''The Past is a Strange Country'' || 다큐멘터리 || || 2007 || 천상고원[br]''Heavenly Path'' || 극영화 || || 2009 || 물의 기원[br]''The Origin of Water'' || 극영화 || || 2012 || 아버지 없는 삶[br]''Without Father'' || 다큐멘터리 || || 2014 || 물속의 도시[br]''The City in the Water'' || 다큐멘터리 || || 2016 || 옥주기행[br]''The Journey To OKJU'' || 다큐멘터리 || || 2017 || 오, 사랑[br]''Oh, Love'' || 다큐멘터리 || || 2017 || 초현실[br]''The Real'' || 다큐멘터리 || || 2017 || 우경[br]''Wookyeong'' || 극영화 || || 2018 || 산나리[br]''Mountain Rily'' || 다큐멘터리 || || 2019 || 나르시스의 죽음[br]''Death of Narcissus'' || 장르구분없음 || || 2019 || 스크린 너머로[br]''Beyond the Screen'' || 장르구분없음 || || 2020 || 마지막 풍경[br]''Last Scenery'' || 장르구분없음 || || 2020 || 모호한 욕망의 대상[br]''That Obscure Object of Desire'' || 장르구분없음 || || 2020 || 흔들리는 카메라[br]''Wandering Camera'' || 장르구분없음 || || 2021 || 사각형을 위한 씻김굿[br]''Ssitgimgut for rectangle'' || 장르구분없음 || || 2021 || 시간의 고고학[br]''Archeology of time'' || 장르구분없음 || == 수상 경력 == || '''{{{#white 연도}}}''' || '''{{{#white 시상식}}}''' || '''{{{#white 부문}}}''' || '''{{{#white 작품}}}''' || || 2012 || 제 13회 [[전주국제영화제]] || 관객평론가상 || 아버지 없는 삶 || || 2013 || 제 13회 [[인디다큐페스티벌]] || 개막작 || 아버지 없는 삶 || || 2018 || 제 6회 [[무주산골영화제]] || 전북영화비평포럼상 || 초현실 || == 외부 링크 == * [[https://indiespace.kr/3703| [인디즈] 보지 못하고 알지 못한다는 것 ‘인디포럼 월례비행’ 〈우경〉 대담 기록]] * [[http://m.cine21.com/news/view/?mag_id=95410&fbclid=IwAR1J1QS1a7bUQ0i-csjqucrMeh_GOlZuiTrhabdyApJrcbzfldzoefILNko#_enliple| '모호한 욕망의 대상'과 '흔들리는 카메라' 김응수 감독, "노무현에서 조국까지, 역사는 반복되며 정리된다"]] *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95195| [영화 평]김응수 감독 〈시간은 오래 지속된다〉]] * [[http://reversemedia.co.kr/article/193?fbclid=IwAR0zgiWqJtd2AK9ozd3prwV8jMvucf7zSl6nrOHkDg2rsj4vnW8AmZ9no_o| 불안과 환상, 존재의 근원 〈산나리〉 〈나르시스의 죽음〉 김응수]] * [[https://www.mmca.go.kr/exhibitions/exhibitionsDetail.do?exhId=201906130001156| 디어 시네마: 오래된 이미지, 다른 언어]] * [[https://www.mmca.go.kr/exhibitions/exhibitionsDetail.do?exhId=201410290000172| 섬광 혹은 소멸_아티스트필름&비디오]] [[분류:1966년 출생]][[분류:한국 영화 감독]][[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1996년 데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