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일본군/장성급 장교)] 金應善 1881년 ~ 1932년 [목차] == 개요 == 구한말과 일제시대의 군인. 최종계급은 [[일본군]] [[소장(계급)|소장]]이었다. 본관은 [[김(성씨)|김화]](金化).[[http://people.aks.ac.kr/front/dirSer/ppl/pplView.aks?pplId=PPL_7HIL_A1881_1_0027034&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 == 생애 == 1881년 [[평안남도]] [[안주군]] 동면에서 태어났다. 1896년 [[청일전쟁]] 당시에 [[우쓰노미야 다로]][* 1861년생으로 나중에 조선주차군 사령관을 지냈다. 3.1 운동 당시 사령관이 그였다.]가 그를 발탁해 그해 5월 일본에 유학을 가서 [[도쿄]] [[아카사카]]구 나카노 정(仲之町) 소학교와 세이조(成城)학교를 졸업하고 1902년 [[일본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하였다. 병과는 보병.[* 이 때 같은 15기로 입학한 조선인들은 이갑, [[유동열]], 김기원, 남기창, 박영철, 박두영, 전영헌으로 김응선 본인까지 합하여 총 8명이었고, 이들은 흔히 8형제배(8兄弟輩)라고 불렸다.] 1903년 [[일본육군사관학교]] 15기로 졸업해 [[견습사관]]으로 근무했다. [[러일전쟁]]이 발발하자 일본군 소속으로 참전했다. 그후에 [[대한제국군]]으로 소속을 옮겨 [[육군무관학교]] [[생도대|학도대]]의 [[육군유년학교]][* 당시의 사관학교들은 예과와 본과 과정을 따로 둔 곳이 많았는데 사관학교가 본과, 유년학교가 예과에 해당했다.] 교장을 지냈다. 일본 정부는 [[대한제국]]의 [[군부]]에 일본 유학파 출신의 친일 군인을 주로 배치했고 그도 그 중 하나였다. 1907년 군대 해산 당시 계급은 보병참령([[소령]])이었다. 군 해산 후에 황태자궁의 배종무관으로 임명됐다. 1910년에 그나마 잔존하던 조선군 병력이 완전히 [[일본군]] 소속으로 바뀌면서 그는 [[조선군(일본제국)|조선군주차사령부]]로 근무지를 옮겼다. 그 후에 [[이은]]의 왕세자궁 무관으로 근무했고 1923년에 [[대령|대좌]]로 진급했다.[* 1920년 후에는 잔존하던 조선군의 계급명칭도 일본군과 합쳤다.] 1931년에는 육군소장으로 진급했고 같은 해에 28년의 군생활을 마치고 퇴역했다. 1932년에 사망했다. [[분류:대한제국의 군인]][[분류:일본군/조선인]][[분류:1881년 출생]][[분류:1932년 사망]][[분류:안주시 출신 인물]][[분류:김화 김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