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1905년]] ~ [[1992년]] [[5월 31일]] 고종의 시종인 김황진의 조카이며 [[덕혜옹주]]의 전 약혼자 김장한의 형. 본관은 [[신 안동 김씨|장동 김씨]], 호는 동명(東溟). == 생애 == 1905년 [[한성부]](현 [[서울특별시]])에서 [[병자호란]] 때 척화대신 [[김상헌(조선)|김상헌]]의 후손으로 태어났다.[[https://www.kyobobook.co.kr/service/profile/information?chrcCode=1108156801|#]] [[경성부]] [[교동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양정고등학교(서울)|양정고등보통학교]]에 다니다가 2학년 때 [[3.1 운동]]에 참가했으나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검거를 피할 수 있었다. 그 직후 [[일본]]으로 건너가 [[와세다대학]]에 진학하였으나, 1923년 [[관동대지진]]이 일어나자 학업을 포기하고 귀국하였다. 귀국 후 1924년 10월 조선일보사에 입사하여 사회부 기자로 일제하에 있었던 만행들을 파헤치는 데 기여하였으며 [[광주학생항일운동]]·장진강 토지 강탈사건·[[만주사변]] 등에 특파원으로서 보도를 담당하기도 했다. 그러다가, 1930년 9월 [[매일신보]]사로 근무처를 옮기면서 친일 성향을 띠기 시작했다. 그후 그는 1937년까지 사회부 기자로 근무하면서 [[조선총독부]]·철도국 등을 담당하였으며, 그 사이 1933년에는 [[만주]]의 [[장춘|신경]](新京)에서 창간된 만몽일보(滿蒙日報)의 창립위원으로 참여하기도 하였다.[[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0134|#]] 1939년 4월에는 일본 [[도쿄]]에서 조선문화사(朝鮮文化社)를 창설하고 '조선화보'라는 친일 성향의 잡지를 발행하였다. 또 1945년 7월 17일 [[중일전쟁]] 때 중지나방면군 사령관을 역임한 [[마쓰이 이와네]]가 총재로 있던 [[파시즘]]단체 '대일본흥아회' 조선지부가 조직되었을 때 부지부장(副支部長)을 맡기도 했다.[* 당시 [[한상룡]] 등이 이 단체의 고문을 맡았다.][[http://db.history.go.kr/id/pj_003_0200|#]] [[8.15 광복]] 후 [[서울신문]] 특파원으로 일본에 머무르면서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 이은과 교류했고, 잦은 인터뷰를 통해 얻은 이야기들을 70년대에 《인간 이은》이란 제목으로 출판하기도 했다. 정신병원에 입원한 [[덕혜옹주]]가 귀국하는 데 많은 노력을 했다. 그의 말로는 백부와 동생의 일도 있었지만 그의 아내 민덕임이 덕혜옹주의 [[유치원]] 동무였던 것도 이유로 작용했다고 한다. == 기타 == 자녀로 1남 김수동을 두었는데 영화 감독이 되어 <밤나비>, <단발머리> 등의 메가폰을 잡았고 KBS로 옮겨 방송계에 몸담은 뒤 <[[꽃피는 팔도강산]]> 등을 연출했다. 이후 KBS 예능국장을 지내다 은퇴하고 그 뒤로도 외주업체 소속으로 다양한 작품활동을 했다. == 대중매체에서 == 1990년작 KBS1 3.1절 특집드라마 <[[왕조의 세월]]>에선 배우 [[박웅(배우)|박웅]]이 연기했다.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기자]][[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언론인]][[분류:1905년 출생]][[분류:1992년 사망]][[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안동 김씨(후)]][[분류:양정고등학교(서울)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