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김윤수)] [목차] == 개요 == [[삼성 라이온즈]] 소속 우완 투수 [[김윤수]]의 선수 경력을 모아 놓은 문서. == 아마추어 시절 == 학창시절 181cm[* KBSA 프로필 기준. 대개 아마 시절에는 프로 지명을 위해서 키를 늘리고 프로 입단 후 KBO 공식 프로필상 키는 그보다 줄어드는 게 기본이나, 프로 입단 후 KBO 공식 프로필에는 고교 시절보다 큰 183cm로 기록됐다. 즉, 고교 시절보다 더 키가 컸다는 것. 이것도 지금은 본인피셜로 185cm라고 했으므로 프로 와서 최소 5cm 이상 큰 것이다. 그리고 2022년엔 키가 좀 더 큰 느낌이 든다.]으로 크지 않은 신장과 특출나지 않은 구속과 많은 볼넷을 기록하면서 좋은 평가를 받지는 못했지만, 고교 2학년 때까지는 최고구속이 130km/h 중반에 머물다가 3학년 때 들어서는 최고 145km/h를 찍는 등 구속 상승폭이 컸고 형이 좌완 파이어볼러로 유명한 [[김범수(야구선수)|김범수]]였던 점도 참작되어 결국 6라운드에서 삼성에 지명을 받았다. == [[삼성 라이온즈]] == === 2018 시즌 === 7월 말부터 2군 경기에 등판했다. 2군 성적은 11경기 16이닝 1승 2패 ERA 7.31. 선발투수 부족으로 시즌 후반에는 선발로 등판하면서 털리다 보니 평균자책점이 7점대까지 상승했는데, 중간계투로 등판했을 때는 3점대로 준수했다. 프로 1년차에 방송경기서 최고 147km/h, 평균 140km/h 중반대까지 구속이 오른 모습을 보여주었다. === 2019 시즌 === 6월 19일 LG 2군과의 경기에서 구장 스피드건으로 152km/h를 찍으면서 전년도보다 최고구속이 상승했다. 7월 9일 정식선수로 전환되었고, 바로 1군에 콜업되었다. 콜업되자마자 7월 9일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KIA 타이거즈]]전 5번째 투수로 나와 9회 [[한승택]]에게 볼넷을 주었지만 3타자 아웃카운트 잡아내면서 무실점. 그런데 팀이 9회말 [[이학주]]의 끝내기 안타로 역전하였고 1이닝 20투구수 (S:9, B:11) 1사사구, 1K를 기록하면서 데뷔전에 첫 승을 거두었다. 첫 승 전통으로 다음날 경기가 우천취소되었을 때 선수단에게 피자를 돌렸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dz806v1TdE)]}}}|| 7월 12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잠실 야구장]] [[LG 트윈스]]전 선발투수 [[원태인]]이 흔들리는 모습을 보이자, 4회 두 번째 투수로 나와 2타자 2아웃을 잡아냈는데 [[정주현]]에게 볼넷을 주고 제구가 안 되는 모습을 보이며 한 이닝을 못 채우고 [[임현준]]으로 교체되었다. ⅔이닝 13투구수 (S:6, B:7) 4사구1를 기록하였다. 7월 16일 [[고척 스카이돔|고척]] [[키움 히어로즈]]전 6회 2번째 투수로 나와 [[덱 맥과이어]]가 강판되고 2아웃을 잡아내면서 무실점, 7회 [[제리 샌즈]]에게 볼넷, 2타자 아웃카운트 잡아내면서 무실점, 1⅔이닝 20투구수 (S:11, B:9) 4사구 1를 기록하였다. [[저스틴 헤일리]]가 퇴출되고 [[최채흥]]도 부상으로 1군에서 제외되면서 7월 31일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롯데 자이언츠]]전의 대체 선발로 낙점받았다. 다만 2군에서 선발 등판 시 최다 이닝 및 투구수가 4이닝 65구로 선발로 긴 이닝을 소화하지는 못했다. [[김한수]] 감독은 "좋은 기운을 가진 선수"라고 표현했다. 정식 선수로 전환되자마자 1군 승격 기회를 얻었고 첫 등판에서 승리까지 챙겼으니 그럴 만도 했다.[[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109&aid=0004058623|#]] 7월 31일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롯데 자이언츠]]전 1회 [[민병헌]]에게 볼넷, [[손아섭]]과 [[전준우]]에게 땅볼출루 허용했지만 무실점. 2회 [[제이콥 윌슨]]에게 솔로 홈런 허용하여 1실점. 3회 [[강로한]]에게 2구 3루타 허용, [[손아섭]]에게 5구 볼넷, 4회 [[제이콥 윌슨]]에게 또 2구 솔로 피홈런 허용하여 1실점. 5회 [[민병헌]]에게 볼넷, [[전준우]]에게 6구 2루타로 1실점. [[이대호]]에게 5구 볼넷, [[채태인]]에게 2구 안타 허용하여 1실점으로 마운드를 [[김대우(1988)|김대우]]에게 넘겨주었다. 4⅔이닝 83투구수(S:50, B:33) 5피안타 2피홈런 4사구4, 4삼진 4실점 4자첵으로 시즌 1패를 기록하였다. [[벤 라이블리]]의 첫 등판과 [[구자욱]]의 복귀를 앞둔 8월 12일에 [[공민규]]와 함께 1군에서 제외됐다. 부상이라도 있는지 2군 등판 없이 재활군에서 시즌을 마쳤다. 전해진 바로는 부상은 아니다, 다만 제구난조 등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에 투수로서의 기본기 훈련에 더 집중했다고 한다. 2군 트레이닝 코치인 [[권오원]]코치의 인스타그램 계정에 기술 훈련 등 훈련하는 모습이 담긴 동영상이 올라왔다. === [[김윤수/선수 경력/2020년|2020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김윤수.jpg|width=100%]]}}}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윤수/선수 경력/2020년)] || === [[김윤수/선수 경력/2021년|2021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윤수/선수 경력/2021년)] === [[김윤수/선수 경력/2022년|2022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윤수/선수 경력/2022년)] === 군 복무 === 2022 시즌이 끝난 후 [[상무 피닉스 야구단]]에 [[박승규(야구선수)|박승규]], [[이재희(2001)|이재희]], [[박주혁]], [[이해승]]과 지원을 했는데, 5명 전부 최종 합격했다. 2023년 1월 6일에 입대 예정이다. 등번호는 48번인데, 형 김범수[* 47번]의 바로 뒷 번호이다. 2023년 삼성 투수진의 평균 구속이 10개 구단 중 꼴찌를 하면서 제구는 엉망이라도 구속은 빨랐던 김윤수를 그리워하는 여론이 많아졌다. 정규시즌 들어 등판이 없었는데, 4월 24일자 [[https://www.youtube.com/watch?v=T16Io4s286I|삼튜브 영상]]에서 [[박승규(야구선수)|박승규]]가 김윤수의 몸 상태가 좋지 않음을 언급했다. 5월 31일 강남 모 병원에서 팔꿈치 뼛조각 제거 수술을 받은 사실이 해당 병원 SNS를 통해 알려졌다. [각주] [[분류:야구선수/커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