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피겨 김유성.jpg|width=100%]]}}} || || '''이름''' ||김유성(Kim Yuseong)|| ||<|2> '''출생''' ||[[2009년]] [[6월 12일]] ([age(2009-06-12)]세)|| ||[[서울특별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신체''' ||148cm|| || '''학력''' ||반송초등학교 {{{-2 (전학)}}}[br][[평촌초등학교]] {{{-2 (졸업)}}}[br][[평촌중학교]] {{{-2 (재학)}}}|| || '''종목''' ||[[피겨 스케이팅]]|| || '''코치''' ||[[지현정(피겨 스케이팅)|지현정]], [[김진서(피겨 스케이팅)|김진서]]|| || '''가족''' ||부[[https://instagram.com/twins_figureskater|모]]님, 언니^^(2007년생)^^,[br]쌍둥이 언니 [[김유재]][*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며, 쌍둥이 자매 모두 트리플 악셀 연습으로 화제가 되었다.]|| || '''링크''' ||[[https://instagram.com/yuseong_kim0612|[[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다. == 선수 경력 == === 2022-23 시즌 === 주니어 데뷔 가능 연령이 되었지만, 선발전 전까지 승급을 완료하지 못해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에 출전할 수 없었다. 첫 국제대회로 데니스 텐 메모리얼 챌린지 주니어 부문에 출전하여 2위를 차지했다. 이 대회에서 트리플 악셀을 시도하였지만 착지에 실패하였다. 회장배 랭킹대회와 [[2023 피겨 스케이팅 종합선수권 대회|2023 종합선수권]] 주니어 부문에서 모두 우승하고, 동계체전 여중부 B조에서도 우승했다. === 2023-24 시즌 === '''점프 구성''' ||
쇼트 ||2A, 3F+3T / 3Lz[* 올시즌 주니어 단독 점프 과제이다.]|| || 프리 ||3A, 3F+3T, 3Lz, 3Lo / 3Lo+2A+SEQ, 3F+2T+2Lo, 3S || 주니어 그랑프리 선발전에 참가하여, 쇼트에서 트리플 러츠에 어텐션 판정을 받고 비점프 요소의 레벨을 다 채우지 못하며 62.45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실전에서 처음으로 트리플 악셀을 성공했으며, 트리플 러츠에 어텐션 판정을 받고 후반 트리플 룹에서 넘어져 REP 처리가 되어 122.40점을 받았다. 총점 184.85점으로 선발전에서 4위를 기록하면서 출전권 2장을 획득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 JGP 태국 여자 싱글 포디움.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 JGP 헝가리 여자 싱글 포디움.jpg|width=100%]]}}} || || [[2023 JGP 태국]] || [[2023 JGP 헝가리]] || [[2023 JGP 태국]]에 출전하며 주니어 그랑프리 데뷔를 했다. 쇼트 프로그램에서는 트리플 러츠에 어텐션 판정을 받고 스텝 시퀀스에서 레벨 3을 받아 기술점수(TES) 35.93점, 구성점수(PCS) 27.11점[* 여담으로 쌍둥이 언니 [[김유재]]의 주니어 그랑프리 데뷔전 쇼트 구성점과 소숫점까지 일치한다.]을 합한 63.04점을 받아 2위에 올랐다. 프리 스케이팅에서는 '''트리플 악셀을 성공하였고''', 연결 트리플 토룹에 쿼터, 트리플 러츠에 롱엣지 판정을 받았지만 모든 비점프 요소에 레벨4를 받으며 기술점수(TES) 69.03점, 구성점수(PCS) 57.85점을 합한 126.88점을 받았다. 이는 역대 [[대한민국|한국]] 여자 싱글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주니어 그랑프리]] 데뷔 경기 프리 최고점이다.[* 종전 기록인 [[권민솔]]의 126.64점을 경신했다.] 프리는 1위를 차지하였고, 총점 189.92점으로 [[나카이 아미]]에 이은 최종 '''은메달'''을 획득했다.[* 우승자인 [[나카이 아미]]와의 점수차는 단 0.73점이었다.] 이어서 [[2023 JGP 헝가리]]에 출전하였다. 쇼트에서는 플라잉 싯 스핀에서 레벨 3을 받았으며, 트리플 러츠에 롱엣지 판정을 받아 60.03점으로 6위를 기록했다. 프리에서는 첫 점프인 트리플 악셀에서 쿼터 판정을 받고 넘어졌다. 이후 쇼트와 마찬가지로 트리플 러츠에서 롱엣지 판정을 받았으며, 플라잉 체인지 풋 컴비네이션 스핀에서 레벨 3을 받아 116.95점으로 프리 3위, 총점 176.98점으로 2위[* 여담으로 3위인 [[일본]]의 시바야마 아유미와의 점수차는 단 0.39점 차였다. 아유미 선수가 지난 대회와 달리 전체적으로 좋은 수행을 보여줬는데, 마지막 엔딩 포즈를 취하기 직전 넘어지는 실수가 나와 감점 1점을 받았고 그것이 메달 색을 갈랐다. ]를 기록하며 최종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로써 합산 포인트 26점으로 '''[[2023-24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행을 확정지었다.'''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 선발전에 출전하였으며, 프리 프로그램에서 다시 한번 '''트리플 악셀'''을 성공시키며 종합 2위를 하여 '''출전권을 획득'''했다. 파이널에 앞서, 국내대회인 회장배 랭킹대회에 시니어 부문으로 출전하여 쇼트 62.42점, 프리 129.24점, 총점 191.66점을 받아 최종 4위에 올랐다. 처음으로 출전한 [[2023-24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JGP 파이널]]에서 쇼트 62.71점, 프리 127.77점 총점 190.48점으로 최종 4위를 기록했다. 이 대회 프리에서도 트리플 악셀을 성공시켰다. == 평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유성트악2.gif|width=100%]]}}} || || [[2023 JGP 태국]]에서 수행한 [[악셀 점프|3A]][* 당시 수행점수(GOE) 1.26점][* 당시 기술점(TES) 9.26점] || 쌍둥이 언니 [[김유재]]와 마찬가지로 주무기인 [[악셀 점프|트리플 악셀]] 점프를 구사하며,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주니어 그랑프리]] 데뷔전인 [[2023 JGP 태국]]에서 바로 성공시키는 기염을 토했다. 그러나 트리플 악셀 도입 시 엣지가 C자 곡선으로 빠지는 경향이 있으며, 도입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러츠 점프]]를 깊은 인 엣지로 도약하는 플러쳐로, 대부분의 경기에서 롱엣지나 어텐션 판정을 받고 있다. 비점프 요소에서도 강점을 보이며, 특히 가볍고 빠른 회전력을 이용한 스핀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고난도 점프를 구사한다는 점과 준수한 비점프 수행 능력을 보유한 덕에 [[대한민국]] 피겨의 미래를 이끌 유망주로 평가되고 있다. == 기록 == * [[유영(피겨 스케이팅)|유영]], [[김유재]]에 이어 '''트리플 악셀 점프를 성공한 세번째 [[대한민국|한국]] 여자 선수''' * 트리플 악셀 점프를 성공한 25번째 여자 선수[* [[이토 미도리]] - [[토냐 하딩]] - [[류드밀라 넬리디나]] / [[나카노 유카리]] - [[아사다 마오]] - [[옐리자베타 툭타미셰바]] - [[키히라 리카]] - [[미라이 나가수]] - [[알리사 리우]] - [[알료나 코스토르나야]] - [[유영(피겨 스케이팅)|유영]] - [[아나스타샤 샤보토바]] - [[소피야 아카티예바]] - 바바라 키셀 - [[소피야 사모델키나]] - [[카밀라 발리예바]] - [[히구치 와카바]] - [[카와베 마나]] - [[요시다 하나]] - [[나카이 아미]] - [[시마다 마오]] - [[와타나베 린카]] - 잉가 구르게니제 - [[김유재]] - 본인 순.] * 트리플 악셀 점프를 성공한 14번째 주니어 여자 선수[* [[아사다 마오]] - [[키히라 리카]] - [[알리사 리우]] - [[유영(피겨 스케이팅)|유영]] - [[아나스타샤 샤보토바]] - [[소피야 아카티예바]] - 바바라 키셀 - [[소피야 사모델키나]] - [[요시다 하나]] - [[나카이 아미]] - [[시마다 마오]] - 잉가 구르게니제 - [[김유재]] - 본인 순.] *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한 일곱번째 [[대한민국|한국]] 여자 선수[* [[김연아]] - [[김예림]] - [[이해인(피겨 스케이팅)|이해인]] - [[신지아]] / [[김채연(피겨 스케이팅)|김채연]] / [[권민솔]] - 본인 순. ] *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주니어 그랑프리]] 2개 대회 연속 메달을 획득한 일곱번째 [[한국]] 여자 선수[* [[김연아]] - [[최다빈]] - [[김예림]] - [[이해인(피겨 스케이팅)|이해인]] - [[신지아]] / [[권민솔]] - 본인 순.] *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주니어 그랑프리]] 데뷔 경기에서 메달을 획득한 여섯번째 [[대한민국|한국]] 여자 선수[* [[김연아]] - [[박연정]] - [[김채연(피겨 스케이팅)|김채연]] - [[김유재]] - [[권민솔]] - 본인 순.] *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주니어 그랑프리]] 데뷔 경기에서 총점 180점을 돌파한 여섯번째 [[대한민국|한국]] 여자 선수[* [[박연정]] - [[김채연(피겨 스케이팅)|김채연]] - [[김민채(피겨 스케이팅)|김민채]] - [[김유재]] - [[권민솔]] - 본인 순.] * [[대한민국|한국]] 여자 싱글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주니어 그랑프리]] 데뷔 경기 프리 최고 점수 보유자('''126.88점''') == ISU 공인 최고점수 == ||<-2>
'''ISU 공인 최고점수''' || || '''쇼트''' ||63.04([[2023 JGP 태국]])|| || '''프리''' ||127.77([[2023-24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2023-24 JGP 파이널]])|| || '''총점''' ||190.48([[2023-24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2023-24 JGP 파이널]])|| == 프로그램 == ||
'''시즌''' || '''쇼트(SP)''' || '''프리(FS)''' || || '''2023-2024''' ||<|2>Fly Me To The Moon[br]by [[Sia]]||<|2>종달새의 비상[br]by Ralph Vaughan Williams|| || '''2022-2023''' || == 커리어 == ||<-3>
'''{{{#white 국제대회:주니어}}}''' || || '''대회''' || '''22–23''' || '''23–24''' || ||청소년 올림픽|| || || ||JGP 파이널|| || 4th || ||JGP 헝가리|| || 2nd || ||JGP 태국|| || 2nd || ||데니스 텐 메모리얼|| 2nd J || || ||<-3> '''{{{#white 국내대회}}}''' || ||종합선수권|| 1st J || || ||회장배 랭킹대회|| 1st J || 4th || ||동계체전|| 1st J || || ||종별선수권|| 1st J || || ||JGP 선발전|| || 4th || ||<-3> JGP=주니어 그랑프리, J=주니어 || == 기타 == * 쌍둥이 언니 [[김유재]]와는 6분 차이이다. * 쌍둥이 언니 [[김유재]]와의 인터뷰가 실렸다. [[https://mfocus.kr/sports/skating/6605/|#]] [[https://n.news.naver.com/sports/general/article/020/0003452355|#]]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피겨 스케이팅 선수]][[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2009년 출생]][[분류:쌍둥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