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6px -11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174DF 20%, #0174DF)" {{{+3 {{{#FFFFFF '''김우탁'''}}}[br]}}}}}}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우탁.png|width=50%]]}}} || || '''출생''' ||<(> 19??년 ??월 ??일 || || '''직업''' ||<(> 강사, 공인노무사 || || '''학력''' ||<(> 서강대학교 경영학과 || || '''소속''' ||<(>[[한림법학원]] [[노무법인]] 원|| || '''과목''' ||<(> 노동경제학 || [목차] [clearfix] == 개요 == 제12회 공인[[노무사]]시험을 합격한 현직 노무사이자 노동경제학 강의의 시조새이자 1타강사이다. 본 전공은 경영학과이나 자신의 수험시절 때 제대로 된 노동경제학 강의, 교재가 없었다는 아쉬움에 합격 이후 노동경제학 강의를 하기로 마음먹었다고 하며 강사 데뷔 이후 조금씩 자료들을 모아서 교재도 내고 했다고 한다. 그의 기본서 김우탁 노동경제학은 10판까지 출판되었다. [[노무법인]] 원의 대표이다. 현재는 노무사 강의는 은퇴한 상태이나 노무사 실무강의로는 굉장히 활발하게 활동 중이다. == 강의 스타일 == 노무사 2차 선택과목 중 노동경제학을 거의 선택을 안 하던 시절부터 강의를 하였으며, 노무사 노동경제학의 아버지라고 불릴정도로 이쪽 강의 분야에서는 1타 강사였다. 그는 본인만의 독자적인 노동경제학 수험서를 탄생시켰고 점점 버전업이되면서 중요한 목차 부각, 컴팩트한 분량, 적절한 키워드 및 수식을 적시하는 강의 방식을 구사하며, 양을 늘리는 것 보다, 기존 기출문제를 분석하며 암기보다는 이해위주와 적절한 분량을 중요 시 하는 것이 그의 강의 스타일이다. [[프라임법학원]]의 [[장선구]] 박사의 경우 기본이 경제학 박사다보니 경제학 기본원리를 토대로 심도있게 풀어내는 방향으로 강의를 하며 암기보다는 원리와 이해위주로 풀어내는 스타일이며, [[합격의 법학원]]의 [[송명진]] 강사의 경우 처음에 노동경제학을 접근할 때 접근이 용이하도록 쉽게 설명을 해준다는 장점이 있으나, 암기에 치우친 방식을 취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프라임 장선구, 합격 송명진의 경우 노동경제학 수험 범위 자체를 늘리는 경향이 있다[* 이 부분은 불의타가 나올 시 수험생들의 비난이 있으므로 한 편으로 이해는 가는 편이기는 하다] 이에 반해 김우탁 노무사의 경우 양을 크게 늘리지않고 기존 기출 분석이나 이전 기출을 살짝 변형하거나, 중요한 이슈를 반영한다는 특징이 있다. == 여담 == * [[분류:서강대학교 출신]][[분류:인터넷 강사/윌비스]][[분류:공인노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