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조선로동당 재정경리부장]] [[분류:조선로동당 재정경리부 제1부부장]] [[분류:조선로동당 7기 중앙위원회 위원]] [[분류:14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분류:조선로동당 7기 중앙위원회 후보위원]] [[분류:조선로동당 8기 중앙위원회 위원]] [include(틀: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C001B, #BC0021 20%, #BC0021 80%, #9C001B)" {{{#ffffff '''조선로동당 재정경리부장[br]{{{+1 김용수}}}[br]Kim Yong Su | 金勇帥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재정경리부장 김용수.jpg|width=100%]]}}} || || {{{#ffffff '''출생'''}}} ||미상 || || {{{#ffffff '''국적'''}}} ||[[북한|[[파일:북한 국기.svg|width=28]] 북한]] || || {{{#ffffff '''정당'''}}} ||[include(틀:조선로동당)] || || {{{#ffffff '''지역구'''}}} ||평안남도 평성시 오리선거구(제85호) || [목차] == 개요 == 북한의 정치인. == 생애 == [[김정은]] 집권 후에 두각을 드러낸 인물 중 하나다. 2015년 11월, [[리을설]] 장의위원, 2015년 12월, [[김양건]] 장의위원을 지냈는데 서열상 재정경리부 제1부부장 정도를 했던 것으로 보인다. 2016년 5월, 7차 당대회에서 중앙위원회 위원에 선출, 재정경리부장에 임명되었다. 2016년 5월, [[강석주(1939)|강석주]] 장의위원을 지냈다. 이후 2017년 12월까지 김정은의 현지지도를 부지런하게 수행하면서 김정은의 측근임을 과시했으나, 2018년부터 돌연 활동을 중단했으며, 2018년 5월에야 재정경리부 부부장 자격으로 김정은의 고암-답촌 철길 현지지도에 동행하면서 다시 모습을 드러냈다. 2019년 3월, 14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 선출되었으며, 2019년 4월, 7기 4중전회에서 중앙위원회 후보위원에 보선됨으로 중앙위원회에서도 방출되었음이 드러났다. 7기 4중전회에서 재정경리부 제1부부장에도 임명되었다. 2020년 8월 13일, [[조선로동당 제7기 제16차 정치국회의]]에서 다시 당 부장에 임명되었는데 이때 재정경리부장에 복귀한 것이 아닐까 추정된다. 2020년 10월 10일, 박태성, 전현철, 리히용 등 당간부들과 함께 조선로동당 창건 75주년 열병식에 참석했는데 군복을 입고 조선인민군 중장 계급장을 차고 있었다. 2021년 1월, 8차 당대회 집행부로 선출, 중앙위원회 위원에 재선되었다. 또한 재정경리부장에 유임되었다. 2021년 2월, 8기 2중전회, 2021년 6월, 8기 3중전회에 참석했으며 2021년 9월, 김정은의 금수산 태양궁전 참배에 동행했다. 하지만 엄청난 현지지도 수행 이력을 보인 2018-2020년과 대조적으로 김정은을 수행하는 빈도가 눈에 띠게 줄더니 2022년 4월, 김정은의 경루동 보통강 주택구 현지지도를 동행한 것을 마지막으로 실종, 통일부에서도 [[리창성]]에게 재정경리부장을 물려주고 해임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2022년 5월, [[현철해]] 장의위원에서도 탈락했으므로 그 이전에 해임된 것으로 보이며 이후 8기 6중전회에서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복귀했으니 중앙위원회에서 방출되는 수준의 처벌을 받은 것은 확실하였다. 8기 5중전회 시점에서 중앙위원회 위원에서 소환된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2022년 12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6차 전원회의 확대회의]]에서 다시 당중앙위원회 위원에 보선, 재정경리부장에 임명되면서 중앙당 지도부에 복귀하였다. 6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8차 전원회의 확대회의]]에 참석했다. 10월 10일, 만수대 언덕의 김일성, 김정일 동상에 화환을 진정했으며 다른 당부장들과 함께 당창건사적지를 참관했다. == 참고문헌 == * 통일부 정세분석국 정치군사분석과, 2022 북한 주요 인물정보(서울: 통일부,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