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해당 이름을 가진 동명이인, rd1=김영한)] [include(틀:댈러스 퓨얼)] [include(틀:2023 오버워치 월드컵 대한민국 대표팀)] ---- || '''{{{#0071cd 김영한 관련 틀}}}''' || ||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include(틀: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우승 선수)] ---- [include(틀:오버워치 리그/데니스 하벨카 상)] ---- [include(틀:오버워치 리그/롤스타 상/DAMAGE)] ---- [include(틀:2021 오버워치 리그/MVP 후보)] ---- [include(틀:오버워치 리그/우승 선수)]}}}}}}}}}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p9rk1e_2023_dall.png |width=100%]]}}} || ||<-2> '''{{{#fff 오버워치 월드컵 대한민국 국가대표 No.1}}}''' || ||<-2> '''댈러스 퓨얼 No.1[br]{{{+1 Sp9rk1e}}}''' || ||<-2> '''{{{#0b233f 김영한 (Kim Young-han)}}}''' || || '''출생''' ||[[2002년]] [[5월 31일]] ([age(2002-05-31)]세) [[서울특별시]] || || '''학력''' ||대청초등학교 {{{-2 (졸업)}}}[br][[대청중학교(부산)|대청중학교]] {{{-2 (졸업)}}}[br][[기장고등학교]] {{{-2 (중퇴)}}} || || '''ID''' ||'''Sp9rk1e'''[* 스파키가 아니고 스파클이라고 발음한다.] [[김동하(2000)|우리집강아지도하]] || || '''등번호''' ||1[* 모든 것에서 1번. 가장 먼저가 되고 싶어서라고 한다.]|| || '''포지션'''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width=25]] DAMAGE || || '''감도''' ||DPI 800 / SENS 6.75 || || '''주 영웅''' ||[[겐지(오버워치)|[[파일:겐지 초상화.png|width=30]]]] [[둠피스트|[[파일:둠피스트 초상화.png|width=30]]]] [[파라(오버워치)|[[파일:파라 초상화.png|width=30]]]] [[메이(오버워치)|[[파일:메이 초상화.png|width=30]]]] [[정크렛|[[파일:정크랫 초상화.png|width=30]]]] [br] [[에코(오버워치)|[[파일:에코 초상화.png|width=30]]]] [[트레이서|[[파일:트레이서 초상화.png|width=30]]]] [[리퍼(오버워치)|[[파일:리퍼 초상화.png|width=30]]]] [[솔저:76|[[파일:솔저:76 초상화.png|width=30]]]] || || '''소속''' ||'''[[Element Mystic/오버워치|[[파일:pic-20170822-200x200-6850597588.png|height=20]]Element Mystic]]''' '''(2017.08.01 ~ 2019.10.24)''' '''[[파리 이터널|[[파일:파리 이터널 로고 1.svg|width=20]] 파리 이터널]]''' '''(2019.10.24 ~ 2020.10.23)''' '''[[댈러스 퓨얼|[[파일:댈러스 퓨얼 로고 1.svg|height=20]] 댈러스 퓨얼]]'''[br]'''(2020.10.24 ~ )''' || || '''국가대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2023 오버워치 월드컵|2023]]) || ||<-2>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P9RK1E_OW, 크기=18)] [[https://twitch.tv/sp9rk1e|[[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18]]]] [[https://youtube.com/channel/UCqS9XBZgzXiolPU-s-WX2c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파클1.jpg|width=100%]]}}} || || ''' {{{#0071cd Kim "Sp9rk1e" Young-han}}}''' || 대한민국의 오버워치 프로게이머. 現 [[댈러스 퓨얼]] 소속 DPS == 주요 경력 == ||<-5> '''{{{#fff 우승 경력}}}''' || ||<-5> '''[[2017 오버워치 APEX Challengers 시즌 4]] 정규시즌 우승''' || || [[LW RED]] || → || '''[[Element Mystic]]''' || → || ''대회 폐지'' || ||<-5>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 우승''' || || [[러너웨이/오버워치|RunAway]] || → || '''Element Mystic''' || → || [[러너웨이/오버워치|RunAway]] || ||<-5>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퍼시픽 쇼다운]] 우승''' || || ''대회 출범'' || → || '''Element Mystic''' || → || ''미정'' || ||<-5>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건틀릿]] 우승''' || || ''대회 출범'' || → || '''Element Mystic''' || → || ''미정'' || ||<-5> '''[[2020 오버워치 리그/썸머 쇼다운|2020 오버워치 리그 썸머 쇼다운]] 우승''' || || [[샌프란시스코 쇼크]] || → || '''파리 이터널''' || → || [[샌프란시스코 쇼크]] || ||<-5> '''[[2021 오버워치 리그/5월 토너먼트|2021 오버워치 리그 5월 토너먼트]] 우승''' || || ''대회 출범'' || → || '''댈러스 퓨얼''' || → || [[상하이 드래곤즈]] || ||<-5> '''[[2022 오버워치 리그/서머 쇼다운|2022 오버워치 리그 서머 쇼다운 - 서부]] 우승''' || || [[LA 글래디에이터즈]] || → || '''댈러스 퓨얼''' || → || ''미정'' || ||<-5> '''[[2022 오버워치 리그]] 정규시즌 우승''' || || [[상하이 드래곤즈]] || → || '''댈러스 퓨얼''' || → || 미정 || ||<-5> '''[[2022 오버워치 리그/그랜드 파이널|2022 오버워치 리그 그랜드 파이널]] 우승''' || || [[상하이 드래곤즈]] || → || '''댈러스 퓨얼''' || → || 미정 || ||<-5> '''{{{#fff 준우승 경력}}}''' || ||<-5> '''[[2018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3]] 준우승''' || || [[KONGDOO PANTHERA]] || → || '''Element Mystic''' || → || [[O2 Blast]] || ||<-5>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2]] 준우승''' || || [[O2 Blast]] || → || '''Element Mystic''' || → || [[러너웨이/오버워치|RunAway]] || ||<-5> '''[[2021 오버워치 리그/6월 토너먼트|2021 오버워치 리그 6월 토너먼트]] 준우승''' || || [[상하이 드래곤즈]] || → || '''댈러스 퓨얼''' || → || [[청두 헌터즈]] || ||<-5> '''[[2022 오버워치 리그/킥오프 클래시|2022 오버워치 리그 킥오프 클래시 -서부]] 준우승''' || || ''대회 출범'' || → || '''댈러스 퓨얼''' || → || [[샌프란시스코 쇼크]] || ||<-5> '''{{{#fff 수상 경력}}}''' || ||<-5> '''[[2020 오버워치 리그]] 롤스타 상 DAMAGE 부문''' || || [[코리 니그라]] [[양진혁]] [[김효종(2000)|김효종]] [[제이 원]] || → || '''[[김영한(프로게이머)]]''' [[김병선(프로게이머)|김병선]] [[이재혁(1998)|이재혁]] [[이선창]] [[이재원(2001)|이재원]] ||→ || [[김영한(프로게이머)]][br][[황신(프로게이머)|LEAVE]][br][[이재원(2001)|LIP]][br][[케빈 페르손|kevster]] || ||<-5> '''[[2021 오버워치 리그]] 롤스타상 DAMAGE 부분''' || || '''[[김영한(프로게이머)]]''' [[김병선(프로게이머)|김병선]] [[이재혁(1998)|이재혁]] [[이선창]] [[이재원(2001)|이재원]] || → || [[김영한(프로게이머)]][br][[황신(프로게이머)|LEAVE]][br][[이재원(2001)|LIP]][br][[케빈 페르손|kevster]] || → || 미정 || === 커리어 === * 2018년 * [[2018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 8강 * [[2018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2]] 4강 * [[2018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3]] '''준우승''' * 2019년 *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 '''우승''' *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퍼시픽 쇼다운]] '''우승''' *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2]] '''준우승''' *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건틀릿]] '''우승''' * 2020년 * 2020 오버워치 리그 썸머 쇼다운 북미 '''우승''' * 2021년 * 2021 오버워치 리그 5월 토너먼트 '''우승''' * 2021 오버워치 리그 6월 토너먼트 '''준우승''' * 2022년 * 2022 오버워치 리그 킥오프 클래시 서부 '''준우승''' * 2022 오버워치 리그 서머 쇼다운 서부 '''우승''' * 2022 오버워치 리그 정규시즌 '''우승''' * 2022 오버워치 리그 그랜드 파이널 '''우승''' == 선수 경력 == 17년도 옵드컵 국가대표와의 평가전에서 예상을 뒤집고 엘리먼트 미스틱의 3:0 승리를 이끈 주역으로 주목받았다. 왕의길 파라나 네팔 겐지로 국대팀의 [[황연오|Fl0w3R]] 선수에게도 밀리지 않는 피지컬을 보여주었고, 특히 네팔에서는 3검 4검을 난무하는 통에 네팔 국대팀의 진형이 완전히 박살날 정도였다. 엘리먼트 미스틱에서 겐지를 맡고 있는데 굉장히 빠른 용검과 각을 잘본다. 검을 들면 거의 3~4킬 기본은 물론이요 용검이 없을때에도 굉장히 킬각을 잘보는 선수중 하나이다. 오버워치 컨텐더스 시즌 3에서 자리야와 둠피스트도 엄청나게 잘 다루고 있다. 33조합인 주인 현메타에서 그 영웅의 진 면모를 보이고 있다. 대회 사용버전이 타노스라 불리던 그 시절이라, 이후 대회에서는 사용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5주차 2경기 부산전에서 둠피스트 하나들고 그날 경기 터뜨렸다. 너프가 적용된 2019 시즌 1에서도 어김없이 둠피스트로 한타를 터트리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전 시즌 둠피스트의 활약이 성능빨이 아님을 보여줬다. 고츠가 판을 치는 메타 속에서도, 도하 스파클 딜러진은 당당히 솜둠을 사용해, 다른 컨텐 딜러들과 격이 다른 딜러 캐리력을 보여줬다. 고츠조합에서 힐러진은 루젠브인데, 젠야타의 부조화가 달린 상태에서 브리기테의 방밀이면 순식간에 둠피스트는 녹을 수 밖에 없다. 루시우는 워낙 생존력이 좋아 둠피스트한테 잘 안죽고, 나머지는 피통이 큰 탱커들이다. 상성상 둠피스트가 고츠를 상대하기 어려울 수 밖에 없는데도, 둠피스트로 고츠를 때려 잡아 다른 딜러들과 수준이 다르단걸 보여줬다. 딜러 중에서는 이견이 없는 컨텐 최강이라는 평을 받았고,[* 당시 엘미와 양강 체제였던 러너웨이는 매그-이재곤-강남진의 힐탱 캐리 팀이라면 엘미는 도하-스파클의 딜러 캐리팀이었다.] 팬들이 입을 모아서 탈 컨텐더스급 딜러라 평할 정도로 컨텐더스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나이제한 때문에 컨텐에서 썩히는게 아까울 정도. 19년 커리어 역시 컨텐 우승, 준우승, 국제 대회에서는 쇼다운 우승, 건틀릿 우승등 화려하디 화려한 커리어를 쌓았다. 나이 제한이 걸려 언제 리그를 가냐가 문제였지, 리그가는 것이 가정 사실로 받아 들여진 선수였다. 2019년 10월 24일, [[파리 이터널]]로 입단이 확정되었다. 연령제한에서 풀려난 뒤 [[https://youtube.com/watch?v=EwqFzGSaSco|6월 14일자 파리 이터널 vs 보스턴 업라이징 경기]]에서 첫 출전을 했다. 용검을 뽑을 때 마다 상대를 압도하였고, 그 기여도를 인정받아, 데뷔전에서 POTM에 선정되었다. 샌프란시스코 쇼크의 슈퍼가 스파클을 비하하는 발언을 해 각 커뮤니티에서 비판을 받고 있다. 이에 스파클은 파리 이터널 갤러리에 직접 글을 남겨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paris_ow&no=159&page=1|'경기로 복수하겠다']]는 식으로 쿨하게 응수했다. 정규시즌에서는 복수에 실패했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썸머 쇼다운 준결승전에서 화려하게 복수에 성공하면서 쇼크의 연승 행진을 저지[* 다만 정규시즌 패배가 아니기 때문에 정규시즌 연승은 끊기지 않았다.], 파리의 첫 결승 진출에 기여했다. 카운트다운컵 4강 퓨전전에서는 꽤나 부진했다. 용검을 쓸때마다 상대의 견제를 뚫어내지 못하면서 허구한날 수면을 당하거나 큰 효과를 거의 보지 못했고, 특유의 무리하는 성향때문에 아예 퍼블을 당하기도 했다. 겐지가 전혀 먹히지않자 둠피스트와 그외 영웅들을 꺼내기도 했으나 별다른 모습을 전혀 보여주지는 못하고 패배했다. 카운트다운컵 겐지스탯은 중위권을 기록했다. 플레이오프에서는 솜브라로 출전했지만 상당히 좋지못한 기량이었고, 애틀랜타에게 패배하고 연이어 워싱턴에게 1인emp를 박고 퍼블로 따이는 등, 뇌절플레이를 보여주며 패배하고 2020 시즌을 마감하였다. 데뷔초기만 해도 최고의 겐지기량을 보여주었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솜브라에 발목을 잡혀 계속해서 부진하였다. 그나마 겐지의 기량은 좋았다는게 위안점. 2020 올스타전에서 겐지 1대1에 출전해 학살과 프로핏을 잡고 우승하였다. 2020 시즌 딜러부분 롤스타를 수상했다.[* 프랑스팀 밀어주기냐 스파클을 위해 5명을 준거냐는 논란이 있었지만 그런게 아니었고 4등에서 동점자가 발생하여 5명이 받게 됐다.] 10월 24일 댈러스 퓨얼로 이적했다. 갑자스런 이적이기는 하지만, 댈러스 퓨얼이 전 엘미 팀을 싸그리 모아 리빌딩은 진행중이었고, 엘미 에이스 딜러였던 스파클도 가게 된 것이다. 2021 넥스트컵에서 부족한 메이, 트레이서 경기력을 보이며 팀의 패배에 일조했다. 캐리력을 보여줄 수 있는 영웅폭이 좁다는 문제가 드러났다는 평이다. 2021 리그 개막전에서 이탈한 엑지를 대신하여 트레이서를 맡았다. 넥스트컵보다 발전된 트레이서 경기력을 보여주었다. 그 다음경기 LAG전에서는 트레이서로 피어리스와 좋은 합을 보여주며 팀을 승리로 이끌었다. WAS전에서는 굉장히 발전한 트레이서 폼을 보여주었다. 그 디케이를 상대로도 밀리지 않는 좋은 경기력으로 피어리스와 팀을 끌고갔지만 [[김동하(2000)|같은 팀 솜브라]] 때문에 패배하였다. 쇼크,휴스턴 전에서도 좋은 리퍼,트레이서 경기력으로 이전부터 이어지던 겐,둠 스페셜리스트란 평가를 뒤집어냈다. --스파클의 트레이서는 D티어라고 평가한 [[스콧 케네디|모 전 프로게이머]]만 무안하게 됐다-- 5월 토너먼트 결승전 때 히트스캔의 딜러의 부재란 약점을 스파클이 깜짝픽으로 [[솔저:76]]을 기용하며 보완하고 필더의 증폭 매트릭스, 한빈의 자폭, 도하의 EMP 등 다른 팀원들의 궁극기와 함께 합을 맞춰 전술 조준경을 쓰며 궁극기간의 연계를 이끌어내 잘 사용하였다. 2021 시즌에도 다시한번 롤스타에 선정되고 데니스 하벨카 상을 수상하며 플레이오프는 아쉬웠지만 유종의 미를 거두었다. 팀에서 유일했던 히트스캔 딜러인 엑지의 부재를 그 자신 특유의 넒은 서브딜러 영웅폭과 중요할 때 게임을 한순간에 터뜨려주는 경기력으로 보완해줌으로써 21시즌 댈러스 상승세의 주역 중 하나가 되었다. 2022 플레이오프 서울과의 경기에서 서울을 도륙내버리는 리퍼플레이를 보여주고 potm을 받았다. 그랜드 파이널에서 피어리스와 함께 진입하는 서브탱커 위치에서 데미지를 받아내 필더의 여우길을 채워주고, 중요한 순간에 죽음의 꽃으로 변수를 만들어내며 팀의 우승을 견인했다. 2023년 오버워치 월드컵에서 킬로그를 독식하며 매우 강력한 우승후보로 주목받던 대한민국을 4위에 안착시키는 활약을 펼쳤다. 그랜드 파이널 우승팀인 댈러스 퓨얼을 거의 그대로 대려왔지만 재작년이긴 한데다가 이번년도 초 부터 성적이 부진하였고 2023 플레이 오프에서도 아쉬운 모습을 많이 보여준 점도 있긴 하였지만 중국전에서는 1세트 부산과 4세트 이스페란사를 제외하면 국가대표라는 점이 이상할 정도로 많이 퍼블로 시작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핀란드와 3,4위 전에선 마지막 한타 준비를 위해 숨어있던 스파클이 바로 핀란드 본대에게 걸려 먼저 터지는 모습을 보여주어 매우 아쉬운 모습을 보여주었다.[* 스파클 본인도 본인의 예상치 못한 부진으로 인해 많이 긴장하였고 그 점이 큰 스노우볼을 굴린것 같다.][* 스크림에서는 같은 팀의 소년가장급인 립의 스탯과 월등히 차이나는 스탯을 보여주어 스크림에서는 폭팔적이던 스탯이 실전에서 정 반대의 모습을 보여주었기에 더 아쉬운 점이였다.] == 장비 == |||||||||||| '''마우스 설정'''[br]'''(Mouse Settings)''' || || '''마우스''' || '''eDPI''' || '''DPI''' || '''감도''' || '''조준감도''' || '''그립법''' || || '''Logitech G PRO X SUPERLIGHT[* 이전에는 G Pro 유선 , G903 LightSpeed , G304 LightSpeed 모델들을 사용한 적이 있다.] ''' || '''4000''' || 800 || 6.75 [* 트레이서 4.9 / 캐서디 5.5 / 파라 , 정크렛은 8.7 을 사용한다.] || 38 || Claw Grip || |||||||||||| {{{-1 최종 업데이트 2023년 08월 22일}}} [*수정일 [dday(2023-08-22)]일 지남.] || |||||| '''장비'''[br]'''(Hardware)''' || |||| '''마우스''' || '''마우스패드''' || |||| ''' Logitech G PRO X SUPERLIGHT[*8 ] ''' || '''Razer Gigantus V2 L [* 이전에는 Logitech G640을 주로 사용하였다.]''' || || '''모니터''' || '''주사율''' || '''본체 사양''' || || '''omen x25f''' || 240hz || i9 9900, VGA RTX 2080, RAM 16GB || |||| '''키보드''' || '''헤드셋''' || |||| '''Logitech G Pro''' || '''David Clark Model H-PC [* 리그 공식 헤드셋이지만 댈러스 퓨얼에서는 해마다 이 헤드셋을 주로 선수들에게 제공하여주고 있다.][* 집에서 사용하는 헤드셋은 G Pro 유선]''' || |||||| {{{-1 최종 업데이트 2023년 08월 22일}}} [*수정일 [dday(2023-08-22)]일 지남.] || |||||| '''인게임 설정'''[br]'''(Ingame Settings)''' || |||| '''그래픽''' || '''그래픽 품질''' || |||| ''' 해상도 1920 * 1080[* FHD 240hz]''' || || '''Nvidia Reflex''' || '''초정밀 마우스''' || '''조준선''' || || '''비활성화''' || 비활성화 || 초록색 점 / 5 / 100 / 100 || |||||| {{{-1 최종 업데이트 2023년 08월 22일}}} [*수정일 [dday(2023-08-22)]일 지남.] || == 논란 및 사건 사고 == [[2018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2]]에서는 팀 내 징계로 로스터 제외 및 팀 대외활동 금지처분을 받았다. 사유는 과거 본인명의 계정 판매 및 일베 논란. 계정판매의 경우 대법원 판례 상 불법 행위는 아니나 게임 서비스 제공 약관 위배에 해당되는 사유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일베 논란의 경우 일베발 유머를 보고 다른 커뮤니티에서 닉네임을 보고 만든 것이라고 하였고 현재는 커뮤니티 활동을 하지 않았고 일베 역시 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 역시 사회적 물의로 볼 수 있어서 반성 차원에서 같이 묶어 징계를 내렸다고 한다. 다행히 팀의 발빠른 대처를 통해 종식되었고, 사건 이후 "왜 그런 행동을 해서..." 등의 반응만 있었을 정도로 인지도에 심각한 악영향을 끼치지는 않았다. 하지만 대리와 다를게 없다 라는것이 현 시점 파리 이터널 입단 후 얼마 안됐을 무렵, 애쉬원챔 유튜버 빠루에게 스파클이 자신이 애쉬를 픽하자마자 욕을 했다면서 박제를 당했다. 빠루에게도 논란이 많았어서 그렇지 스파클도 입에 욕을 달고 사는 기질이있어 그것은 줄일 필요가 있어보인다. == 기타 == * [[2021 오버워치 리그]]의 최다 POTM 공동 수상자이다. (8회. [[황신(프로게이머)|Leave]]와 공동 1위) * 출생지는 서울이나 자란 곳은 부산광역시라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아나모의 경우처럼 성장한 연고지의 말투가 배어 있다. * 닉네임의 어원은 "너의 이름은"의 OST중 하나인 [[スパークル|스파클]] * 미국에서 한식 해먹기가 취미이다.--엑지 피셜 나이 때문에 출전을 못해 할짓이 없어서 한다고 카드라-- * 유독 필라델피아 퓨전과의 경기에서 부진하는 모습을 보인다. 겐지로 부진했던 두경기 모두 퓨전과의 경기다. [* 물론 퓨전이 다른 팀에 비해 스파클 특유의 무리하는 공격적인 성향의 겐지를 아주 잘 대처했기 때문이다. 썸머 쇼다운 결승전에서도 스파클의 용검이 잘 안통하는 것을 볼 수 있다.] * 2020년, 리그에 입성은 하였지만, 나이 제한에 걸려 대회에 못 나가는 대신에, 트위치 스트리밍, 유투브 채널 개설 등, 인터넷 방송을 활발하게 하고 있다. 방송을 보면 입으로 딜을 넣고 있는게 아닌가 의심스러울 정도로 오디오가 쉬지 않으며~~쉬지 않는 수준이 아니라 음질이 찢어질 정도로 오디오가 터진다~~, 리액션도 전문 스트리머 저리가라의 텐션을 보여준다. 초창기 [[펠릭스 렝겔|XQC]]방송 텐션보다 더 시끄럽다는 평도 있을만큼 이게 방송인인지 프로게이머인지 분간하기 힘들다.--xqc도 프로게이머긴 하다-- [[원이삭|이 때문에 외국인 시청자들도 꽤 늘은편이다.]] 본인 말로는 [[백찬형|어렸을 때 꿈이 개그맨]]이었다. 다만 덕분에 기가 많이 빨리는 건지 방송시간이 짧은 편이다. * 2021년에 들면서 댈러스 팀 내에서도 최고의 유쾌한 선수로 불리고 있다. 2021 오버워치 리그 5월 토너먼트의 우승 후 인터뷰에서 [[무야호]]를 외친다던지 (...) ~~세계로 뻗어나가는 무야호~~, 7월 10일 있었던 홈스탠드 경기에서 입장 퍼포먼스랑 [[휴스턴 아웃로즈]]를 이긴 후 POTM을 따낸 인터뷰 자리에서 팬들 앞에서 [[제로투 댄스]]를 추었다 (...) . 스파클 특유의 관종끼 넘치는 행동이 리그 시청자들이랑 관계자들에게 좋게 작용했고, 이로 인해서 오버워치 리그에서 가장 긍정적인 영향력을 끼친 선수에게 주어지는 특별 공로상인 [[데니스 하벨카]] 상을 2021 시즌에 수상하게 되었다. * 별명으로는 스파키(SPARKIE)가 있다. 닉네임의 L을 숫자 1로 표기해놓은 탓인데[* 적은 닉네임은 'Sp9rk1e' 이지만 채팅을 제외한 모든 곳에서 문자가 대문자로 표시되는 오버워치의 특성 상, L 대신 표기한 숫자 1은 대문자 I 처럼 보여 SP9RKIE로 읽은 것이다.]~~[[스파키|이게]] 아니었구나~~, 다만 그렇게 부르면 스파클이라고 소리를 지르는 모습을 볼 수 있다.~~왜!! 왜 자꾸 스파키라고 부르는데!!!~~ 그리고 이 스파키를 먼저 말한 유저가 "Oh Sparkie so good~"[[https://youtu.be/TqXZqPvhzjE?t=448|#]]라면서 느끼하게 말한것이 유행어가 되어 개인 방송이나 리그에서 스파클이 활약하면 "오 스파키 쏘 굳" 이라고 도배되기도 한다. * 민트초코를 싫어하는 걸로 보인다. 방송 중 "치약은 [[민트초코|먹는게]] 아니라 양치할때 쓰는 거다" 라고 발언하였다. * 둠피스트에 자신 있는 모습을 보인다. 인벤 인터뷰에서 리그에 입성하기전부터 리그에 있는 모든 둠피스트들이 저보다 아래라고 생각했기에 둠피스트로 시원하게 모두 꺾어보고 싶습니다. 라고 말했다. 투방벽이후 둠피 메타가 온적이 없어서 자주 사용은 못하고 간간히 조커픽으로 사용되는 수준. 그래도 나올 때는 확실한 모습을 보여준다. * 현 댈러스 퓨얼의 윤희원 감독 밑에서 17년 8월부터 있어 왔다. == 역대 프로필 사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P9RK1E.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ternal_SP9RK1E.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uel_Sparkle2021.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AL_SPARKLE_22.png|width=100%]]}}} || ||<#281b2d> [[엘미| {{{#ffc53d Element Mystic (2017 ~ 2019) }}}]] ||<#313d57> [[파리 이터널| {{{#ffaa1d Paris Eternal (2019 ~ 2020) }}}]] ||<#0b233f> [[댈러스 퓨얼| {{{#0071cd Dallas Fuel (2021)}}}]] ||<#0b233f> [[댈러스 퓨얼| {{{#0071cd Dallas Fuel (2022)}}}]] || [[분류:2002년 출생]][[분류:프로게이머/오버워치]][[분류:기장고등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