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김연경/국가대표 경력)] ||<-5> [[김연경|[[파일:김연경 로고.png|height=60]]]] [br] [[김연경/국가대표 경력|{{{#000,#e5e5e5 '''김연경 국가대표 경력'''}}}]] || || [[김연경/국가대표 경력/2010년|{{{#000,#e5e5e5 2010년}}}]] || {{{+1 ←}}} || '''{{{#fff 2011년}}}''' || {{{+1 →}}} || [[김연경/국가대표 경력/2012년|{{{#000,#e5e5e5 2012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1년 그랑프리.jpg|height=35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1년 월드컵 김연경 남지연.jpg|height=350]]}}}|| || 2011년 월드그랑프리 || 2011년 월드컵 || == 2011 FIVB 월드 그랑프리 == ||
[[파일:20110805-1.jpg|width=100%]]|| || 2011 월드 그랑프리 한국 포스터를 장식한 셰일라, 김연경, 코주흐, [[기무라 사오리|기무라]] || 2010-11 시즌 [[JT 마블러스]]의 파이널 우승을 이끈 김연경은 [[터키 여자 배구 리그|터키 아로마 리그]]의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페네르바흐체 SK]]와 계약에 성공하면서, 오랜 꿈이였던 유럽 무대 진출이라는 꿈을 이뤄냈다.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페네르바흐체]]와의 계약 체결 후 8월에 열린 월드그랑프리에 참가했다. 특히 8월 19일 대 러시아전에서 거둔 31득점은 김연경이 월드 클래스임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그러나 경기당 평균 22.5점을 올리는 걸 보면 대표팀 다른 선수들의 분발이 필요했다. 8월 20일 일본전에서 50.00%의 공격성공률로 홀로 20득점을 올렸지만 셧아웃패를 당하였다. 그 뒤로 올라온 김연경의 싸이월드 글. [[파일:2011-08-20 싸이월드.jpg]] 월드그랑프리 조별예선에서 194점을 뽑아내며 [[러시아]]의 배구여제 [[예카테리나 가모바]]의 162점을 가볍게 뛰어넘고 득점부문 1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결국 대표팀은 최종 8강 라운드에는 오르지 못하면서 김연경의 기록은 소멸되고 말았다. ~~[[지못미]].~~ == 2011 아시아 선수권 대회 == 한 달 후 아시아선수권대회에 출전하여 팀을 3위에 올려놓았고 본인은 공격상, 득점상을 수상했다. == 2011 FIVB 월드컵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j7HE6ib72A, width=560, height=315)]}}}|| || {{{#fff '''▲ 11월 12일 한일전 하이라이트'''}}} || 2011년 국대 시즌 동안 거의 1000타를 가까이 때리면서 지친 김연경은 평소보다 저조한 공격성공률을 보였다. 승보다는 패가 많았던 대회였지만, 11월 8일 브라질과 풀세트 접전 끝에 아쉽게 진 것은 나름의 선방이라 볼 수 있었다. 이 날 브라질전에서 김연경은 40%의 공성으로 29득점을 기록했다. 월드컵이 끝난 후 곧바로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페네르바흐체]]에 합류했고, 2011-12 시즌 동안 [[CEV 챔피언스 리그|엄청난]] [[우승|활약]]을 선보였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김연경의 선수 경력)]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연경/국가대표 경력, version=241, paragraph=3.1)] [[분류:김연경/국가대표 경력]][[분류:2011년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