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고려의 인물]][[분류:몰년 미상]][[분류:전주 김씨]][[분류:국구]][[분류:독살형된 인물]] [include(틀:고려사)] ---- 金若先(생몰년 미상) [목차] == 개요 == 김태서의 장남으로 [[최우]]의 사위이자 고려 [[원종(고려)|원종]]의 장인인 동시에 그의 아들 [[충렬왕]]의 외조부인 인물이다. 최우의 최측근 가운데 1명으로서 교정도감의 수장인 교정별감에 앉아 잠깐이나마 [[후계자]] 자리에 있었기도 하다. [[귀주성 전투]]의 영웅이자 [[백제부흥운동]]인 [[이연년 형제의 난]]을 진압한 [[김경손]]의 친형이다. == 생애 == 최우에게는 적실에게서 낳은 아들이 없고 딸만 있었으며 서련방이라는 기생 출신의 여인에게서 낳은 아들들만 있었기에[* 이 가운데 1명이 후에 아버지 최우의 뒤를 이어 최씨 무신 정권의 3번째 권력자가 되는 [[최항]]이다.] 집권 이후에 천출에게 대를 물려주기 곤란했던 최우의 후계자로 임명되었다. 조선시대와 달리 고려시대에는 아들이 없으면 형제나 사위가 대를 잇는게 자연스러웠기 때문. 1235년 딸([[순경태후|정순왕후 김씨]])을 고려 [[고종(고려)|고종]]의 태자인 [[원종(고려)|왕식]]의 태자비로 삼았다. 이후에 여러 번 자리를 옮겨 추밀원부사가 되었다. 김약선이 최우의 부중에 있는 여자들을 망월루(望月樓) 모란방(牧丹房)에 모아놓고 음란한 관계를 가져 물의를 빚은 적이 있었다. 이를 시기했던 부인 최씨가 "저는 집을 버리고 비구니가 되겠습니다."하자 분노한 최우는 김약선과 관계한 여자들을 섬에 유배시키고 망월루와 모란방을 허물었다. 한편 부인 최씨도 일찍이 집안의 남자 종과 간통했는데 김약선이 그 사실을 알아채자 다른 사건을 가지고 최우에게 참소하였고 결국 최우는 김약선에게 독주를 내려 그를 독살했다. 한참이 지나 최우는 무고인 것을 알자 그 종을 죽이고 자기 딸도 멀리하여 죽을 때까지 보지 않았다. 후에 김약선에게 "장익공"(壯翼公)이라는 시호를 내리고 복권시켜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