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 삼성 썬더스/선수단)] ---- ||
'''{{{#ffffff 김시래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ffffff 김시래의 수상 및 영예}}}'''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KBL 챔피언결정전 우승 반지''' || || '''[[2012-13 KBL 챔피언결정전|{{{#ffffff 2013}}}]]''' || ---- [include(틀:KBL 역대 신인 1순위)] ---- [include(틀:프로-아마 농구 최강전 역대 MVP)] ---- [include(틀:역대 농구대잔치 MVP)] ---- [include(틀:KBL 월간 MVP/2010~2015)] ---- [include(틀:KBL 역대 어시스트상)] ---- [include(틀:KBL 역대 자유투상)] ---- ||
'''{{{#ffffff 김시래의 역임 및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서울 삼성 썬더스/주장)] ---- ||
'''{{{#ffffff 김시래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 '''{{{#fff [[창원 LG 세이커스|{{{#fff 창원 LG 세이커스}}}]] 등번호 5번}}}''' || || [[정창영(1988)|정창영]][br](2011-2013) || {{{+1 →}}} || '''{{{#fcd205 김시래[br](2013~2021.02.03)}}}''' || {{{+1 →}}} || [[이관희]][br](2021.02.04~2021.4) || }}} || }}} ||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74ca1 0%, #074ca1)" {{{+1 {{{#ffffff '''서울 삼성 썬더스 No.5'''}}}}}}}}} || ||<-3> {{{#074ca1 '''SEOUL SAMSUNG THUNDERS'''}}}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시래2023-24.png|width=100%]]}}} || ||<-3> '''{{{+2 {{{#074ca1 김시래}}}}}} [br] {{{#074ca1 金時來 | Kim Si Rae}}}''' || ||<|2><-2> {{{#ffffff ''' 출생 ''' }}} ||[[1989년]] [[3월 22일]] ([age(1989-03-22)]세) || ||[[서울특별시]] || ||<-2> {{{#ffffff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ffffff ''' 신체 ''' }}} ||[[키(신체)|키]] 178cm[* 삼성 썬더스 공식 프로필 기준]|[[체중]] 70kg || ||<-2> {{{#ffffff ''' 포지션 ''' }}} ||[[포인트 가드]] || ||<-2> {{{#ffffff ''' 학력 ''' }}} ||[[서울연가초등학교|연가초등학교]]{{{-2 (졸업)}}}[br] [[명지중학교(서울)|명지중학교]]{{{-2 (졸업)}}} [br][[명지고등학교]] {{{-2 (졸업)}}}[br][[명지대학교]] {{{-2 (학사)}}} || ||<-2> {{{#ffffff ''' 프로입단 ''' }}} ||[[2012 KBL 국내신인선수 드래프트|2012년 드래프트]] {{{-2 (1라운드 1순위,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울산 모비스]])}}} || ||<-2> {{{#ffffff ''' 병역 ''' }}} ||[[상무 농구단|신협 상무]] (2015~2017.01) || ||<-2> {{{#ffffff ''' 소속 '''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울산 모비스 피버스]] (2012~2013) [br] '''[[창원 LG 세이커스]] (2013~2021)''' [br] [[서울 삼성 썬더스]] (2021~) || ||<-2> {{{#ffffff ''' 가족관계 ''' }}} ||배우자 이동주^^(2014년 결혼 ~ 현재)^^ [br] 장녀 김채빈^^(2017년 8월 8일생)^^ [br] 차녀 김다인^^(2019년 12월 10일생)^^ || ||<-2> {{{#ffffff ''' 응원가 ''' }}} ||'''창원 LG 세이커스 시절'''[br][[BIGBANG]] - 붉은 노을 (2013~2021)[* LG 시절 유명했던 응원가. 하지만, 첫 시작은 [[조상현]]이었다. 현재는 테마송 없는 선수들의 공통 응원가로 쓰고 있다.][*가사 난 너를 사랑해~ (김시래!) 이 세상은 너 뿐이야~ (김시래!) 소리쳐 부르지만~ 저 대답없는 노을만 붉게 타는데~ (김시래!)]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2011년 [[농구대잔치]]에서 '시래대잔치'라는 말을 들으며 [[명지대학교|명지대]]의 돌풍을 이끌었던 [[포인트 가드]]로,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울산 모비스]]와 [[창원 LG 세이커스]]를 거쳐 현재는 [[서울 삼성 썬더스]] 소속의 선수이다. [[2010년대]] 들어 주목받는 [[포인트 가드]]로 등장한 선수. == [[김시래/선수 경력|선수 경력]]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시래 삼성 5번.jpg|width=10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시래/선수 경력)] == 플레이 스타일 == [[김태술]] 이후 씨가 말랐던 퓨어 가드로서 데뷔 시즌부터 각광받은 선수. 주특기는 빅맨과의 픽 앤 롤 플레이다. 신장이 작고 웨이트가 그리 좋지 않아 직접 마무리하는 스타일은 아니지만, 특유의 뛰어난 패스 능력으로 빅맨을 살려주는 솜씨가 탁월하다. 간간이 보여주는 골밑 마무리도 괜찮은 편이다. 포스트에서 1대1 공격을 펼치는 빅맨보다는 스크린 이후의 움직임이 좋은 빅맨과 어울리는 스타일이다. 슈팅 능력도 꽤 괜찮은 편. 시즌마다 기복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평균 35% 정도의 3점슛 야투를 보여주었기 때문에 수비수 입장에서는 막기가 애매한 선수였었다. 그러나 2019-2020시즌부터는 슛이 급격하게 부정확해져서 야투율 30%대, 3점슛도 20%대를 찍고 있으면서 약점이 되어버렸다. 또한 앞서 서술했듯이 빈약한 웨이트와 작은 신장 때문에 수비에서 항상 약점을 노출한다. 그나마 국내 가드진이 씨가 마른 KBL에서는 수비 구멍이 덜 드러나는 편이지만 국대 경기에서는 수비 때문에라도 쓰기가 참 애매하다. 또한 빈약한 웨이트는 슛 성공률과도 연관이 되는데 웨이트가 약해 바디 컨택이 일어나면 급격하게 슛 성공률이 떨어진다. 그러나 가드로서의 슈팅쪽을 제외한 기본 능력치(패스, 볼 핸들링)가 모두 KBL에서 뛰어난 편이며 김시래를 준다고 하면 마다할 감독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 레전드급 시즌이 없다 뿐이지 은근히 꾸준하게 팀을 이끄는 정상급 가드이다. 상술한 플레이스타일과 약한 수비력 등이 은근 NBA에서 뛰고 있는 [[토니 파커]]를 연상시키면서 플레이 스타일은 [[데미안 릴라드]]와 유사하다. 물론 리그의 갭 차이는 고려해야 한다. 동시대에 뛰고 있는 [[이정현(1987)|이정현]]이 워낙 헐리웃 액션으로 악명이 높아서 가려져 있는 측면도 있지만, 김시래 역시 만만치 않은걸로 농구팬들 사이에서 정평이 나 있다. == 기타 == * 자신의 롤모델은 [[김승현(농구선수)|김승현]]이다. * 디시 [[농구 갤러리]] 한정 별명은 앞에 언급된 바와 같이 [[시래기]](...). 정줄놓은 플레이를 할 때마다 가차없이 불려지며, 본인도 이 [[별명]]을 알고 있다. 2013-14 시즌에는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와의 경기에서 가비지 타임에 공을 소유한 채 시간을 흘려보내다가 '''경기 종료 직전에''' ~~[[페이크다 이 병신들아]]~~ '''버저비터 3점을 작렬시켜서(...)'''[* 보통 승패가 결정된 상태에서 경기 종료 직전에는 이기는 팀이 공격을 하지 않는게 불문율.] 갤러리 지분을 독차지하며 까이기도 했다.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i2.media.daumcdn.net/20130127163504710.jpg|width=100%]]}}}|| || [[영고라인|영원히 고통받는]] 김시래(...). ~~럽라를 안다면 [[닛타 에미|익숙할 지도]] 모른다.~~ || * 프로 1년차인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울산 모비스]] 시절, 올스타전에서 '''[[여장]]'''을 했던 슬픈 과거[* 당연히 본인은 [[흑역사]]로 생각. 인생의 오점이라며 다시는 하지 않을 것이라고 [[라디오]]에서 언급한 바 있다.]가 있다. 게다가 [[오렌지캬라멜]]의 '[[오렌지캬라멜/음반 목록#s-1.5|립스틱]]'에 맞춰 춤까지 췄다! 이름하여, '오렌지 시래멜'. 김시래 여장이라고 '''연관 자동검색어로 뜨는 바람에''' 모를래도 모를 수가 없다. 이건 일명 슈퍼스타 김시래였다. * 2014년 5월 25일에 결혼하였으며, 2017년 8월 8일에 득녀하였다. * 자신을 스카웃했던 스승인 [[강을준]] 감독에게 기억나는 어록이 없냐는 당돌한(?) 질문을 하기도 했다. 그리고, 강을준의 후임인 박상관은 명지대의 김승현이라며 물건이 될꺼라 예언을 했다. * 1999년 이상민이 현역 시절 KBL 앨범 프로젝트에 참여했을 때 뮤직비디오에 나온 이상민의 아역이 바로 김시래이다. 이 둘은 22년뒤에 같은팀에서 감독과 선수로 만나게 되었다.[[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127805|#]] * LG 세이커스 전현 포인트 가드로 [[이재도]]와 라이벌리가 있다. 이재도의 경우 kt MIP(기량발전상) 출신이다. 리딩은 부족해도 탄탄한 수비와 슈팅에 강점이 있다. 사실 KBL 데뷔부터 비주류 대학인 명지대와 한양대의 간판 포인트 가드라는 점만으로도 라이벌인데 LG 시절에는 kt-KGC 시절로 이어진다. 플레이스타일만 보면 서로 상극과 같다. LG 팬들은 비교분석까지 할 정도다. * 창원 출신 여자농구선수인 [[허예은(농구선수)|허예은]]은 고향 프로팀이었던 창원 LG 세이커스 시절의 플레이를 보고 팬이 되면서 롤모델이라는 말 했다. * 김시래가 [[원주 DB]] 소속인줄 알았다는 잘못 알고있는 사람들이 흔한 편이다. * 귀엽고 잘생긴 외모로 여자 팬들이 많은 편이다. 특히나 실물이 훨씬 잘생겼다. == 역대 프로필 사진 == ||<-3> '''{{{#fff 서울 삼성 썬더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시래삼성2020-21.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시래2021-22.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시래2022-23.png|width=100%]]}}} || || '''{{{#074ca1 2020-21 시즌}}}''' || '''{{{#074ca1 2021-22 시즌}}}''' || '''{{{#074ca1 2022-23 시즌}}}''' || == 관련 문서 == * [[농구 관련 인물(한국)]]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선수단]] * [[창원 LG 세이커스/선수단]] * [[서울 삼성 썬더스/선수단]] * ~~[[시래기]]~~ [[분류:대한민국의 농구 선수]][[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1989년 출생]][[분류:2012년 데뷔]][[분류:포인트 가드]][[분류:명지고등학교 출신]][[분류:명지대학교 출신]][[분류:강릉 김씨]][[분류: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은퇴, 이적]][[분류:창원 LG 세이커스/은퇴, 이적]][[분류:서울 삼성 썬더스/현역]][[분류:상무 농구단/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