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카스온라인/메이플스토리 스트리머 캡틴김수호, rd1=캡틴김수호, other2='역대급 영지 설계사'의 주인공, rd2=김수호(역대급 영지 설계사), other3='소설 속 엑스트라'의 등장인물, rd3=김수호(소설 속 엑스트라))] [[파일:attachment/김수호/e238795170e6735d4115b8e4d2ba244d.jpg]] [목차] == 프로필 == || 종족 || [[저그]] || || 소속 || [[kt 롤스터]]→[[ZeNEX]]→[[StarTale]] || || ID || Line→SuHoSin || || 생년월일 || [[1988년]] [[7월 9일]] || [[대한민국]]의 前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이머. 스타2 공식전에 출전한 것은 2010년부터로, [[우경철]]을 상대로 데뷔전 승리를 거두었다. 원래는 KTF 매직엔스(現 [[kt 롤스터]]) 프로였고, 현재 같이 스타2 프로게이머로 활동 중인 [[이원표]]도 동시기 같은 팀에 프로로 있었다. 심지어 드래프트 된 시기도 [[드래프트/스타크래프트 시리즈#s-2.6|2007년 하반기 드래프트]]로 동일했는데, 이원표 외에 당시 드래프트 된 동기로는 [[황병영]], [[우정호]] 선수가 있었다.[* [[온게임넷]]에서 방영했던 [[리얼스토리 프로게이머]]에서 연습생 선발전 당시 황병영과 함께 나왔던 적이 있다. [[https://youtu.be/5sjMbLoJq5E?t=912|#]]] == 경력 == * 2010년 * [[Sony Ericsson GSL 오픈 시즌 2]] 32강 * [[Sony Ericsson GSL 오픈 시즌 3]] 64강 * 2011년 * [[Sony Ericsson GSL Jan.]] [[코드 A]] 32강 * [[LG 시네마 3D GSL May.]] [[코드 A]] 32강 * [[LG 시네마 3D 슈퍼 토너먼트]] 8강 * [[WCG]] 2011 한국대표 선발전 8강 * [[펩시 GSL Aug.]] 코드 A 32강 * 2012년 * [[2012 HOT6 GSL Season 1]] [[코드 A]] 48강 * [[2012 HOT6 GSL Season 2]] [[코드 A]] 32강 * [[2012 무슈제이 GSL Season 3]] 승강전/[[코드 S]] 32강/코드 A 24강 * [[2012 HOT6 GSL Season 4]] 승강전/[[코드 S]] 32강/코드 A 48강 * 팀리그 * [[2011 GSTL 시즌 1]] ZeNEX Venus 리그 5위 * [[2012 GSTL Season 1]] ZeNEX 10강 * [[2012 HOT6 GSTL Season 2]] [[ZeNEX]] 12강 * [[2012 HOT6 GSTL Season 3]] [[StarTale]] 8강 == 2010년 == [[Sony Ericsson GSL 오픈 시즌 2]] 64강에서는 [[우경철]]을 2:0으로 털었지만, 32강에서 [[이동녕(프로게이머)|이동녕]]에게 2:0으로 털리면서 시즌을 마감했다. [[Sony Ericsson GSL 오픈 시즌 3]]에서는 [[이정훈(프로게이머)|이정훈]]과 64강을 치러야 했지만, 건강상의 이유로 기권했다. == 2011년 == === [[LG 시네마 3D 슈퍼 토너먼트|슈퍼 토너먼트]] 이전의 김수호 === 3회의 오픈 시즌 간 32강 1회 진출, 64강 1회 진출을 기록한 그는 2011 GSL 투어 첫 시즌인 [[Sony Ericsson GSL Jan.]]의 [[코드 A]] 자격을 무난히 획득했다. 하지만, 코드 A 최종 진출전을 뚫고 온 [[김승철]]에게 2:0으로 지면서 맥없이 [[코드 B]]로 떨어졌다. 한 시즌 쉬고 돌아온 [[LG 시네마 3D GSL May.]] [[코드 A]]에서는 [[김유종]]에게 2:0으로 지면서 또 다시 [[코드 B]] 행. 지금까지 거둔 총 성적은 '''2승 6패'''. '''하지만...''' === [[LG 시네마 3D 슈퍼 토너먼트]] === [[LG 시네마 3D GSL May.]]까지의 합산한 2011 GSL 포인트 랭킹 68위[* 원래라면 1~64위까지 출전 기회가 부여되지만, [[Idra]] 등의 일부 해외 선수가 기권하는 바람에 68위인 본인은 물론이요, 공동 73위인 [[장현우]]와 [[황도형]]까지 출전자격을 얻었다.] 자격으로 슈퍼 토너먼트에 진출하였다. 64강 상대는 GSL 내 당대 최강~~이었지만 살짝 슬럼프가 왔던~~ 외국인 선수 [[Jinro]](당시 랭킹 10위). 거의 모든 사람이 [[Jinro]]의 2:0 낙승을 예상했지만, 결과는 '''김수호 2:0 승.''' 32강 상대는 잘나가는 같은 팀 동료 [[한준(프로게이머)|한준]](당시 공동 19위). 동족전 팀킬매치긴 해도 랭킹이 높은 한준의 낙승을 예상했으나, 결과는 또 '''2:0 김수호 승.''' 그런데... 16강 상대는 [[Jinro]]와 한준보다 난적이었던 천재 '''[[이윤열]](당시 7위)'''이었다! 김수호가 64강, 32강에서 연전연승했지만 그래도 이윤열이 이기겠거니...'''했지만, 결과는 김수호 2:1승.''' 3연속 열세 예측을 무너뜨린 이변을 만들어냈다. 8강에서는 당대 최강 저그 [[임재덕]]을 꺾고 올라온 [[김정훈(테란)|김정훈]]과 대결했다. 16강에서 유이한 다른 저그 [[임재덕]]이 탈락하고, 앞선 8강 세 경기에서 모두 테란이 진출함에 따라, "최후의 저그 vs 4강 4테란 달성"의 대결 구도가 만들어졌다. 경기 결과는 '''2:3 [[김정훈(테란)|김정훈]] 승.''' 이로써 '''[[문성원|비]][[이정훈(프로게이머)|상]][[최성훈(프로게이머)|4]][[김정훈(테란)|테]]'''가 발생했고, 이후 이 대회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김수호는 이 대회를 통해 자신의 잠재력을 마음껏 분출했지만, 남은 4개 대회에서 [[코드 B]]에 머무르는 바람에 2011년 하반기엔 GSL에서 그의 모습을 볼 수 없었다. === [[WCG]] 2011 한국대표 선발전 === 2011년 하반기 GSL에선 볼 수 없었지만, 3개월 정도의 공백을 깨고 [[WCG]] 2011 한국대표 선발전 예선을 통과했다. 32강 듀얼에서는 [[김상준(프로게이머)|김상준]]과 [[김동원(프로게이머)|김동원]]을 연파하며 조 1위로 16강에 진출했다. 16강 풀리그에서는 [[문학선]]에게 패했지만, [[송현덕]]과 ~~일전에 자신을 꺾고 [[LG 시네마 3D 슈퍼 토너먼트|슈퍼 토너먼트]] [[문성원|비]][[이정훈(프로게이머)|상]][[최성훈(프로게이머)|4]][[김정훈(테란)|테]]를 만들어낸~~ [[김정훈(테란)|김정훈]]을 잡으며 조 2위[* 자신을 꺾은 [[문학선]]도 2승 1패라, 승자승 원칙 적용.]로 8강에 진출했다. 8강에서는 [[안호진]]이 김수호를 2:0로 이기면서 김수호는 시즌 아웃되었지만... 8강 결과는 또 '''[[안호진|비]][[이정훈(프로게이머)|상]][[김영진(프로게이머)|4]][[정종현|테]] 발생.''' ~~이젠 김수호가 8강을 갈 때마다 테란들이 쌍수를 들겠군...~~ == 2012년 == === 2012 [[GSL]] 적응기 === 5시즌만에 올라온 [[2012 HOT6 GSL Season 1]]. [[코드 A]] 1라운드 상대는 곰막 기질이 보이던 [[송현덕]]. 지난 WCG에서 이겨본 상대라 할만하다 생각했는데, '''2:0 완패'''. 바로 다음 시즌인 [[2012 HOT6 GSL Season 2]] 예선을 뚫었지만, 상대는 지난 시즌 [[코드 S]] [[임요환]]. 하지만 임요환의 손목 부상때문에 기권승을 가져갔다. 이후 2라운드 상대는 절친 [[문성원]]에게 2:0 압살을 당했다. 그래도 경기 끝나고 나서 문성원이 김수호 부스 안에 들어가 김수호를 위로해주는 훈훈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 경기 끝나고 김수호가 [[PlayXP]]에 글을 남겼다.] ] === 행운의 승격강등전, 비운의 [[코드 S]] === [[2012 무슈제이 GSL Season 3]] 승격강등전 C조에 출전한 그는 9경기까지 2승 2패를 기록했다. 하지만, 10경기에서 최성훈이 [[김동원(프로게이머)|김동원]]을 잡으면 동반 [[코드 S]] 진출이었고 최성훈이 승기를 잡고 있었지만, 50여 분의 사투를 통해 김동원이 역전승을 거두어서 김수호/최성훈/[[이상헌]] 3자 재경기 발생. 이후 김수호가 광속 2승을 거두어 2012시즌 [[ZeNEX]]의 최초이자 최후의 [[코드 S]]리거가 되었다. '''하지만..''' [[정종현|LG-IM 출신의 직전 시즌 우승자]]가 그를 지명했고, 32강 D조에서 [[정종현|우승자]]와 [[안호진]]에게 각각 2:1, 2:0 패를 당하면서 [[코드 A]]행. 이후의 [[코드 A]]에서 [[최재원(프로게이머)|최재원]]과 [[서성민]]을 잡았으나, ~~2년 전에 못 만났던~~ [[이정훈(프로게이머)|이정훈]]에게 털리며 [[코드 S]] 직행 대신 승강전 진출을 확정짓고 시즌을 마감한다. 2달 후에 치러진 [[2012 HOT6 GSL Season 4]] 승격강등전 C조에 출전한 그는 9경기까지 2승 2패를 기록했다. 하지만 10경기에서 [[한이석]]이 [[최경민]]을 잡으면 [[한이석]]만 [[코드 S]] 확정이었고[* 7경기에서 이미 승격이 확정된 [[송현덕]]은 논외.] 한이석이 승기를 잡고 있었지만, 이미 강등이 확정된[* 이 경기를 이긴다고 해도 최경민 대신 김수호가 승격되기 때문.] 최경민의 피도 눈물도 없는 맹독충 해일을 통해 승리를 거두었다. 이로써 김수호는 또 [[코드 S]] 진출. '''근데...''' [[안상원(스타크래프트2)|LG-IM 출신의 직전 시즌 우승자]]가 자신을 '''또''' 지명했고, 32강 A조에서 [[안상원(스타크래프트2)|우승자]]와 이동녕에게 각각 2:1, 2:0 패배를 당하며 [[코드 A]]행.[* 여담으로, 김수호의 승격이 확정된 직후 그 [[안상원(스타크래프트2)|우승자]]가 [[채정원]] 해설에게 [[이제동]] 대신 김수호를 지명하겠다는 전화를 했다. 출처는 맹독충 16회] ~~위의 문단과 아래 문단이 거의 똑같네... 데자뷰??~~ 그리고 3주 후 치른 코드 A 1R에서 [[하재상]]에게 2:0으로 털리면서 시즌 오프. ~~[[이제동]], [[임재덕]] : [[SAB라인]]에 어서 오게, 저그 동지여.~~ == 2013년 이후 == 2013년 이후 이렇다할 소식이 없어 사실상 은퇴로 추정되는 상황. 그러다 2015년 1월 6일, [[PlayXP]]를 통해 [[http://www.playxp.com/sc2/bbs/view.php?article_id=5155119&search=3&search_pos=&q=|근황]]을 알리면서 [[아프리카TV]]에서 방송을 시작하게 되었음이 밝혀졌다. [[http://afreeca.com/dhkdeoen|방송국 주소]].( 술먹방하다 정지)[* 도박으로 인한 영구정지가 된 상태이다.(...)]게임을 그만둔 지 1년 된 터라 다이아 티어인 현 상황에서 방송을 겸하며 실력 복구를 할 예정이라고. 여력이 되면 [[트위치]] 방송을 개설할 생각도 있다고. 프로게이머와 부사관을 겸하던 시절 에피소드 또한 공유할 예정이라고 한다. 여담으로 현 시점에서는 전역해서 [[백수]](...)인 상태. == 기타 == 김수호는 직장 생활과 프로게이머를 병행하고 있었는데, 그럼에도 [[코드 S]]에 진출해 있다는 것은 그의 기본기가 탄탄하단 것을 증명해 주고 있다. 그런데 사실 프로게이머와 병행하고 있는 직업은 다름아닌 '''[[부사관]](!)''' 프로게이머로서는 생활하기엔 수입이 불안정했기에 이러한 결정을 한 것으로 보인다. 원칙상으로는 군인도 일종의 공무원이기에 겸직이 불가능하지만 현재 복무 중인 사단의 [[사단장]]이 허락해서 겸직을 할 수 있게 됐다고 한다. 물론 현 시점에서 전역+프로게이머로도 은퇴하면서 의미는 없어졌지만. 여담이지만 스타1 시절에 [[이영한]]에게 태풍저그 스타일을 전수해 준 스승이 바로 김수호이다. [[홍진호]]의 [[포풍|포..포풍]]을 뛰어넘으란 뜻으로 전수해 주었다고. 또 여담이지만 [[쇼 리플레이 황당무적]]에 전직 프로게이머라고 밝히며 리플레이를 보낸 적이 있다. 51화에 등장. 2010년에 데뷔했지만, 엔하위키 항목 등재 시기는 2012년이다. [[분류: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스타크래프트]][[분류:1988년 출생]][[분류:2007년 데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