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age.chosun.com/2016020402046_0.jpg|width=100%]]}}} || || '''이름''' ||김수연[br]Kim Suyeon||김형태[br]Kim Hyungtae|| ||<|2> '''출생''' ||[[2001년]] [[4월 24일]] ([age(2001-04-24)]세)||[[1997년]] [[9월 1일]] ([age(1997-09-01)]세)|| ||[[경기도]] [[과천시]]||[[경기도]] [[과천시]]|| || '''신체''' ||153cm||176cm|| || '''학력''' ||[[과천중학교]] {{{-2 (졸업)}}}[br][[인천논현고등학교]] {{{-2 (졸업)}}}||[[과천중학교]] {{{-2 (졸업)}}}[br][[과천고등학교]] {{{-2 (졸업)}}}[br][[명지대학교]] {{{-2 (학사)}}}|| || '''국적''' ||<-2>[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종목''' ||<-2>[[피겨 스케이팅]]|| || '''코치''' ||<-2>마리우스 슈덱, 정보경|| || '''은퇴''' ||<-2>[[2017년]] [[12월 1일]]|| [목차] [clearfix] == 개요 == [[남매]]로 이루어진 [[대한민국]]의 전직 페어 스케이팅 조다. == 선수 경력 == === [[2015년]] 이전 === 두 선수 모두 싱글 스케이터 출신이다. 김수연이 먼저 [[피겨 스케이팅]]을 시작하여 2010년 경 선수 반에 들어갔으며, 김형태도 곧 같은 해 8월에 피겨를 시작하였다. 그렇게 각자 싱글 선수로 피겨를 시작한 남매는 [[선쉐 / 자오훙보]]의 경기를 보고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2014년도부터 페어를 준비한 남매는 2015년 랭킹전을 통해 [[http://blog.naver.com/jooin2001/220902913472|페어 스케이팅]]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 2015-16 시즌 === 회장배 랭킹대회 주니어 부문에 출전하여 총점 77.97점으로 우승했다. [[2016 피겨 스케이팅 종합선수권 대회|2016 종합선수권]] 주니어 부문에 출전하여 총점 98.63점으로 우승했다. 랭킹전과 비교하였을 때 점수 상승폭이 있었다. 경기 전체에 대한 감점이 없었고, 기술 요소에 가산점을 조금씩 챙기는 등 발전한 모습을 보였다. 동계체전에서도 총점 105.96점으로 우승했다. 대회마다 기술적인 면에서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였다. [[2016 릴레함메르 청소년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2016 릴레함메르 청소년 동계올림픽]]에서는 총점 108.53점으로 8위를 기록하였다. 단체전에도 출전하여 개인 7위, 팀 7위를 기록했다. === 2016-17 시즌 === 주니어 그랑프리 선발전에 출전하여 총점 117.74점을 받아 우승했다. 주니어 그랑프리에 2차와 4차 대회에 출전할 수 있게 되었다. [[2016 JGP 체코]]에서 13위, [[2016 JGP 러시아]]에서 8위를 기록했다. 챌린저 시리즈 온드레이 네펠라 트로피에 출전해 118.00점으로 7위를 기록했다. 이 대회에서 김 남매는 [[2017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17 세계선수권]] 출전에 필요한 프리 최소 기술점인 43점을 넘었으며 [[2017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2017 사대륙선수권]] 출전에 필요한 최소 기술점 역시 획득하였다. 회장배 랭킹대회에 출전하여 116.92점으로 3위를 기록하며, 사대륙선수권 출전권을 따냈다. ||
[[파일:17종합 페어.png|width=100%]] || || [[2017 피겨 스케이팅 종합선수권 대회|2017 종합선수권]] || [[2017 피겨 스케이팅 종합선수권 대회|2017 종합선수권]]에 시니어로 첫 참가하여 137.62점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 대회를 통해 주니어 세계선수권 출전권까지 따냈다. 이어서 멘토르 토룬 컵에 시니어로 출전하여 총점 146.26점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7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2017 사대륙선수권]]에서는 총점 140.68점으로 12위를 기록하였다. 김 남매는 함께 출전한 한국 페어 팀 3팀 중 가장 어린 팀으로 가장 좋은 성적을 올리는 기염을 토했다. [[2017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에 출전하여 총점 149.40점으로 4위를 기록했랐다. 비공인 대회이긴 하지만 목표로 했던 프리 100점을 넘었다. [[2017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17 주니어 세계선수권]]에 출전하여 총점 135.29점으로 8위를 기록했다. 무엇보다도 [[2016 JGP 체코]] 대회에서 받은 107.16점보다 무려 28.13점이나 경신하면서 눈부신 성장세를 보여 주었다. === 2017-18 시즌 === 아시안 오픈 트로피에서 우승하면서 시즌을 시작했다. 올림픽 출전권을 따기 위해 챌린저 시리즈 [[2017 CS 네벨혼 트로피|네벨혼 트로피]]에 출전하였으나, 15위를 하여 출전권 획득에는 실패했다. 또한 이 대회를 끝으로 팀은 해체되었다. == ISU 공인 최고점수 == ||<-2>
'''ISU 공인 최고점수''' || || '''쇼트''' ||49.88([[2017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2017 사대륙선수권]])|| || '''프리''' ||90.80([[2017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2017 사대륙선수권]])|| || '''총점''' ||140.68([[2017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2017 사대륙선수권]])|| == 프로그램 == ||
'''{{{#white 시즌}}}''' || '''{{{#white 쇼트(SP)}}}''' || '''{{{#white 프리(FS)}}}''' || '''{{{#white 갈라(EX)}}}''' || ||<|2> '''{{{#white 2017-2018}}}''' ||<|2>[[Queen(음반)|Queen]] 메들리||<|2>[[비틀즈]] 메들리||Faded[br]by Alan Walker[br](Feat. Iselin Solheim)|| ||[[왕좌의 게임]] OST|| ||<|2> '''{{{#white 2016-2017}}}''' ||<|2>[[왕좌의 게임]] OST||<|2>Tree of Life[br](Expo Milan 2015)||[[쿵푸 팬더]] OST|| ||[[왕좌의 게임]] OST|| || '''{{{#white 2015-2016}}}''' ||아티스트 OST||Tree of Life (Expo Milan 2015)|| - || == 커리어 == ||<-4>
'''{{{#white 국제대회:시니어}}}''' || || 대회 || '''15–16''' || '''16–17''' || '''17–18''' || ||사대륙선수권|| || 12th || || ||CS 네벨혼 트로피|| || || 15th || ||CS 네펠라 트로피|| || 7th || || ||아시안 오픈 트로피|| || || 1st || ||아시안 게임|| || 4th || || ||멘토르 토룬 컵|| || 2nd || || ||<-4> '''{{{#white 국제대회:주니어}}}''' || ||청소년 올림픽|| 8th || || || ||주니어 세계선수권|| || 8th || || ||JGP 러시아|| || 8th || || ||JGP 체코|| || 13th || || ||<-4> '''{{{#white 국내대회}}}''' || ||종합선수권|| 1st J || 2nd || || ||회장배 랭킹대회|| 1st J || 3rd || || ||동계체전|| 1st J || 1st || || ||JGP 선발전|| || 1st || || ||<-4> '''{{{#white 단체전}}}''' || ||청소년 올림픽|| 7th T[br]7th P || || || ||<-4> CS=챌린저 시리즈, JGP=주니어 그랑프리,[br]T=팀 결과, P=개인 결과, J=주니어 || == 기타 == * 팬들 사이에선 '김남매 조'라는 애칭으로 불렸다. * 원래 인라인 스케이팅을 했던 김형태는 왼손잡이라 인라인을 지속하기엔 불리함을 느끼고는 여동생을 따라 피겨를 시작했다. * 코치 없이 독학으로 3STh(쓰로우 트리플 살코) 점프를 연습하였으며, 기술 완성은 하네스를 달고 했다. * 김수연은 [[메건 두하멜 / 에릭 래드포드|메건 두하멜]] 및 [[알리오나 사브첸코 / 브루노 마소|알리오나 사브첸코]]를 롤 모델로 꼽았다.[* 머리를 단발로 자른 것도 두하멜을 동경해서라는 소문이 있다.] 김형태는 [[선쉐 / 자오훙보]] 조, [[알리오나 사브첸코 / 브루노 마소]] 조를 롤 모델로 꼽았다. * 멘토르 토룬 컵 프리 경기 당시 김형태의 컨디션이 최악이었다. 경기가 끝나자마자 김수연에게 쓰러지듯 안겼고, 키스 앤 크라이 존에서도 기댔다. * [[2017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세계선수권 대회|2017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 프리 경기를 실수 없이 마친 뒤, 김수연과 코치는 눈물을 흘렸다. 지난 1년간 평창 동계올림픽을 목표로 달려온 시간이 힘들었음을 보여주는 장면이다.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분류:2016 릴레함메르 청소년 동계올림픽 참가 선수]][[분류:2017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 참가 선수]][[분류:과천시 출신 인물]][[분류:1997년 출생]][[분류:2001년 출생]][[분류:과천중학교 출신]][[분류:과천고등학교 출신]][[분류:명지대학교 출신]][[분류:2015년 데뷔]][[분류:2017년 은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