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소개 == 한국의 수필가, [[번역가]]. 본명은 김교중, 호는 삼오당, 소운이다. 1907년 1월 5일 [[부산]]에서 태어나 1981년 11월 2일, 향년 7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생애 == 1919년 [[보통학교]]를 중퇴하고 다음 해 일본으로 건너갔다. 1923년, 시대신조에 시 <신조>를 발표했고, 29년, [[매일신보]] 학예부원이 된 뒤, 아동 교육과 한국 문학 번역에 힘썼다. 1950년대부터는 일본 생활을 바탕으로 여러 [[수필]]들을 저술했고, 대표작으로는 [[피딴 문답]], [[마이동풍첩]], [[물 한 그릇의 행복]]등 이 있다. 2002년 발표된 [[친일반민족행위자]] 문학인 42인 명단과 2005년 민족문제연구소가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발간을 위해 발표한 예비명단에 포함되었다. 2002년까지 발견된 친일 저작물 수는 1943년 《매일신보》에 발표한 〈[[야마모토 이소로쿠|야마모토]] [[원수(계급)|원수]]의 국장일〉 등 3편이다. 2009년 민족문제연구소가 발간한 <친일인명사전>에는 제외되었다. 사실 친일활동은 80년대부터 논란이 되었는데, 한국인 남편과 결혼해 한국에 거주하는 번역가 도다 이쿠코는 한국 유학 당시 "김소운 글을 좋아한다"고 하다가 동창생에게 그 색히는 친일파 매국노였지...라는 말을 들었다고 회고했을 정도이다. == 여담 == 그가 쓴 《목근통신》에는 [[하가쿠레]]에 실려 있는 설화라면서 아래와 같은 내용을 실어 놓았다. >떡집 이웃에 무사와 어린 아들이 살았다. 어느 날 아이가 가게에서 놀고 간 뒤 떡 한 접시가 없어졌다. 떡집 주인이 아이를 의심하자 무사가 말했다. “아무리 가난해도 내 자식은 사무라이의 아들이다. 남의 가게에서 떡을 훔쳐 먹을 리 만무하다.” 그래도 떡집 주인이 계속 의심하자 무사는 그 자리에서 아들의 배를 갈라 결백함을 증명한다. 그리고 그 칼로 떡집 주인을 베어 죽인 뒤 자신도 할복한다. 그러나 실제 하가쿠레 원문에는 이런 내용이 없다. 원래 저 이야기는 아카이맘마(赤いまんま)라는 [[아키타현]]의 지역 설화를 하가쿠레의 내용으로 착각해 잘못 실어 놓은 것이다.([[http://www.ne.jp/asahi/choonji/namo/hanasi3-185.html|일본어 원문]]) 실제 주인공도 무사가 아니라 평범한 농부이며, 떡이 아니고 팥밥을 훔쳐먹었다는 의심 끝에 결백을 증명하려고 아이의 배를 부잣집 주인이 보는 앞에서 '''낫'''으로 갈라버린 것이다. [[분류:대한민국의 번역가]][[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07년 출생]][[분류:1981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