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김성현(1987)/선수 경력)] [include(틀:관련 문서, top1=SSG 랜더스/2023년)] ||<-5>
'''[[김성현(1987)|{{{#ffffff 김성현의}}}]] [[김성현(1987)/선수 경력|{{{#ffffff 연도별 시즌 일람}}}]]''' || || [[김성현(1987)/선수 경력/2022년|2022년]] || ← || {{{#ffffff 2023년}}} || → || 2024년 || [목차] == 개요 == [[김성현(1987)|김성현]]의 2023 시즌을 정리한 문서. FA 3년차 시즌이다. == 시즌 전 == 2020시즌을 앞두고 16번으로 바꿨던 등번호를 원래 번호던 6번으로 변경했다. == 페넌트레이스 == === 4월 === 1일 개막전에서는 8회 대타로 나서 희생번트를 깔끔하게 성공시켰다. 2일에는 좌투수 [[이의리]]를 상대해 8번 2루수로 시즌 첫 선발출장했다. 결과는 4타수 1안타. 다만 3회 송구실책을 범하며 동점 실점의 빌미를 제공했다. 같은 포지션인 2루수 [[최주환]]이 지난 시즌 좌투수 상대 매우 약한 모습을 보였기 때문에, 시즌 초반 당분간은 스플릿 운영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4일 롯데전에는 우완 [[박세웅]]을 상대해 다시 벤치에서 대기한다. 15일 NC전에서 좌투수 [[구창모(야구선수)|구창모]]를 상대하기 위해 8번 3루수로 선발 출전했다. 그러나 5회에 맞이한 1사 1,2루 상황에서 초구에 병살타를 치는 최악의 모습을 보였고, 3타수 무안타를 기록하며 왜 본인이 백업 수준의 선수인지를 보여줬다. === 5월 === === 6월 === 2일 키움과의 경기에서 '''끝내기 안타'''를 포함한 멀티 히트를 기록했다. 6회에는 선발 투수로 나온 최원태의 퍼펙트를 저지하는 안타를 기록하였으며, 9회 말 2아웃 2:2 주자 1, 2루 상황에서 중견수 이정후의 키를 넘기는 큼지막한 중전 안타를 기록하면서 SSG에게 시즌 첫 끝내기를 선물했다. 다음 날에는 3타수 무안타로 침묵하다 10회말 2아웃 주자 없는 상황에서 안타를 치며 출루에 성공했고 김민식이 끝내기 안타를 치며 결승 득점을 기록, 두 경기 연속 끝내기 승리에 관여했다. 12일 늑간근 미세손상으로 인해 1군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 복귀까지 2주 정도 소요된다고 한다. === 7월 === 7월 6일 1군 엔트리에 등록됐다. === 8월 === === 9월 이후 === 9월 6일 대전 한화전에서 3회말 수비 도중 2루수 [[최주환]]의 대수비로 투입되었다. 타석에서 3타수 2안타를 기록했으나 연장 11회말 닉 윌리엄스 타석에서 치명적인 실책을 범했고 결국 정은원이 끝내기 내야안타를 치면서 6-5로 패배했다. 9월 30일 문학 KIA전 10회말 2사 만루 상황에서 정해영의 초구를 쳐 박찬호의 키를 살짝 넘기는 끝내기 안타를 쳤다. 10월 17일 두산과의 시즌 최종전에서 올 시즌 '''첫 홈런'''을 기록하면서 시즌 무홈런의 수모에서 벗어났다. == 포스트시즌 == === [[KBO 준플레이오프/2023년|준플레이오프]] === 1차전 8번 타자로 선발 출장해 3타수 1안타를 기록했다. == 페넌트레이스 총평 == == 관련 문서 == * [[SSG 랜더스/2023년]] [각주] [[분류:김성현(1987)/선수 경력]][[분류:SSG 랜더스/202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