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원불교|{{{#221f20 원불교}}}]] {{{#221f20 원정사}}}''' [br] {{{#221f20 {{{+1 '''김성윤'''}}}[br]{{{#221f20 '''金聖潤 | Kim Seongyoon'''}}}}}} || ||<-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유타원 김성윤.jpg|width=100%]]}}} || ||<|2> {{{#221f20 '''출생'''}}} ||[[1931년]] || ||[[전라북도]] [[군산시]] || || {{{#221f20 '''사'''}}} ||[[2020년]] [[11월 3일]] (향년 89세) || || {{{#221f20 '''법호'''}}} ||유타원(裕陀圓) || [목차] [clearfix] == 개요 == [[원불교]] 원정사이자, 제6대 김삼룡 원광대학교 총장의 부인. == 생애 == [[1931년]], [[전라북도]] [[군산시]]에서 출생했다. 원불교 군산교당을 다니다 문산 김정용 종사(김삼룡 제6대 [[원광대학교]] 총장)의 설교를 듣고 인연이 되어 문산 종사와 결혼했다. 1959년, 제일연탄공장을 만들어 수익의 8할은 [[원불교]]에 기부하고, 나머지는 가족을 위해 쓰며 원불교 초기 당시 교단의 경제적인 기틀을 잡는데 기여했다. 특히 문산 종사가 원광대학교 총장을 역임할 당시 사비를 기부해 대학발전에 큰 기여를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 유문빌딩 부지를 원불교에 기부해 그 수익금으로 매년 [[교무]] 자녀들의 교육비와 개척교당 운영비를 지원할 수 있게 도와줬다. 이외에도 한국부인회 이사, 가정법률상담소 부이사장, 원불교 중앙교구 봉공회 회장, 청소년 상담소 이사, [[영산선학대학교]] 운영이사, [[원불교대학원대학교]] 운영이사 등을 역임했다. 원불교는 이러한 유타원 김성윤 원정사의 공적을 기려 1991년 대호법 법훈을, 2002년 종사 법훈을 수여했다. 2020년 11월 3일, 자택에서 노환으로 사망했다. 열반 소식을 접한 [[김주원(1948)|전산 김주원]] [[종법사]]는 "유타원 원정사는 창립기 간고한 교단 창업의 역사에 권장부로서 대보은자의 삶을 사셨다"며 "숙겁의 약속으로 문산 김정용 종사와 결혼한 후 새벽기도와 좌선을 철저히 지키며, 그 힘 바탕해 온갖 어려움 이겨내고 성공적인 사업 운영과 5남매 자녀들을 모두 교단과 사회에 보은하는 인재로 성장시키셨다"고 추모했다. 종재식은 2020년 12월 21일, [[원불교 중앙총부]] 반백년기념관에서 거행됐다. [[분류:1931년 출생]][[분류:2020년 사망]][[분류:군산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원불교 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