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 '''김성녀의 관련 둘러보기 틀'''}}}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로고(1).png|width=160]]]] || ||<-5> [[파일:baeksangartsawards4.png|height=100]] || ||<-5> {{{#fff '''연극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 || '''제21회[br]([[1985년]])''' || {{{+1 →}}} || '''제22회[br]([[1986년]])''' || {{{+1 →}}} || '''제23회[br]([[1987년]])''' || || 백성희[br](파우스트) || {{{+1 →}}} || '''{{{#000 김성녀[br]([[돈키호테(연극)|{{{#000 돈키호테}}}]])}}}''' || {{{+1 →}}} || [[박정자(배우)|박정자]][br](위기의 여자) || ||<-5> || || '''제27회[br]([[1991년]])''' || {{{+1 →}}} || '''제28회[br]([[1992년]])''' || {{{+1 →}}} || '''제29회[br]([[1993년]])''' || || [[윤석화]][br](프쉬케) || {{{+1 →}}} || '''{{{#000 김성녀[br]([[욕탕의 여인들|{{{#000 욕탕의 여인들}}}]])}}}''' || {{{+1 →}}} || 손봉숙[br](안네 프랭크의 장미) || ||<-5> || }}} || ||<-2>
{{{#ffffff '''{{{+1 김성녀}}}'''[br]Kim Sung-ny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김성녀_여성중앙.png|width=100%]]}}} || ||<|2> '''출생''' ||[[1950년]] [[9월 16일]][* 음력 ] ([age(1950-09-16)]세)[br]|| ||[[서울특별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가족''' ||배우자 손진책[* 연출가] 딸 손지원[* 뮤지컬배우] 아들 손지형[* 연출가][br]어머니 박옥진[* 여성국극의 개척자. 육자배기」「흥 타령」「개고리 타령」 등 남도잡가의 명창으로도 널리 알려진 진도의 대표적인 여성국악인] 아버지 김향[* 국극 작가이자 연출가] [br]동생 김성예[* 국악인] 김성일[* 안무가. 뮤지컬배우] 김성아[* 국악인.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교수] || || '''학력''' ||[[진명여자고등학교]] [br][[단국대학교]] 국악과[br][[중앙대학교]] 대학원 음악과 || || '''데뷔''' ||1972년 비둘기 씨스터즈[* 동성 김성예와 듀엣. 주로 신민요를 가요로 해석하여 부름. 대표곡 '까투리 사냥(1972)'] '까투리사냥'으로 가수 데뷔 [br]1976년 음악극 '한네의 승천'[* 연출자 손진책과 만나 결혼까지 하게된 작품]으로 배우 데뷔 || || '''경력'''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석좌교수 (2022.08 - )[br] 국립창극단 예술감독 (2012.01 - 2019.03)[br]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장 (2007.03 - 2011.02)[br] [[중앙대학교]] 국악대학 학장 (2007.03 - 2011.02)[br] [[중앙대학교]] 국악대학 음악극과 교수(2000.03 - 2011.02)[br] 극단 미추 창단 동인 (1986 - )[br] [[국립극단]] 단원 (1981 - 1984)[br] 국립창극단 단원 (1978 - 1980)[br] 극단 민예 단원 (1976 - 1977)|| [목차] [clearfix] == 개요 == >천의 얼굴 >[[마당놀이]]의 여왕 >연기·노래·춤, 모든 것이 가능한 가장 한국적인 연극을 하는 우리나라 대표 예인 >배우의 원형{{{-2 (原型)}}}이자 전형{{{-2 (典刑)}}}이자 [[이상형]]{{{-2 (理想型)}}} [* 김성우 문화평론가] > [[대한민국]]의 [[배우]]. 국악부터 현대극까지 아우르는 만능 예인으로 정평이 나 있다. 배우자인 연출가 손진책과 [[마당놀이]]라는 장르를 탄생시켰으며, [[윤문식]], 김종엽과 함께 마당놀이 3인방으로 불리며 30년동안 3000회 이상 공연했다. 국립창극단 예술감독 시절 창극의 다양하고 파격적인 시도로 창극의 대중화를 이끌었다. 다양한 방면에서 굵직한 활동으로 배우, 국악인, 교수, 예술감독 등 여러가지 수식어가 따른다. == 상세 == [[1950년]] [[목포시|목포]]로 피난가던 배 안에서 태어났고 [[서울특별시|서울]]에서 자랐다. 여성국극[* [[창극]]의 한 갈래로서 연극의 한 장르. 여성이 남녀 모든 역할을 하는 것이 특징.]의 히로인 박옥진[* 여성국극 스타, 눈물의 여왕, 남도잡가의 명창.]과 국극 작가이자 연출가인 김향[* '[[춘향전]]'을 최초로 영화화함 '대춘향전(1957년)']의 장녀[* 5녀 1남]로 태어났다. 전국을 누비며 공연을 하는 부모님을 따라 극단[* 당시 국극단은 전국에 공연을 다니는 유랑극단이었다.]에서 자란 그녀는 5세에 어머니의 아역으로 무대 데뷔한다. 가계를 책임지던 어머니의 병환으로 대학진학을 포기하고 1972년 동생 김성예[* 명창]와 함께 비둘기시스터즈[* 대표곡은 추후 많은 가수에 의해 커버된 까투리사냥]를 결성해 가수로 데뷔한다. 2년 여의 가수 생활을 한 뒤 가야금 병창의 명인 박귀희[* 인간문화재 제23호] 의 이수자 겸 전수자로 국악에 입문한다. 그러던 중 극단 민예[* 민족극예술극장 / 당시 극장장 허규]에서 한국적인 음악극 한네의 승천[*원작 오영진][* 연출 손진책]의 주인공 한네역[* 1인 3역]으로 캐스팅되어 1976년 화려하게 배우로 정식 데뷔한다. == 출연 작품 == === 무대 === || {{{#ffffff '''연도'''}}} || {{{#ffffff '''제목'''}}} || {{{#ffffff '''배역'''}}} || {{{#ffffff '''공연 기간'''}}} || {{{#ffffff '''공연 장소'''}}} || {{{#ffffff '''비고'''}}} || ||<|3> 1976 || 한네의 승천 || 한네[* 1인 3역] || 04. || 문화체육관 || 배우 데뷔작 || || 청포각시 || || 07. || 문화체육관 || || || 뮤지컬 포기와 베스 || 베스 || 11. || 시민회관 별관 || || ||<|2> 1977 || 소금장수 || || 03. || 세실극장 || || || 물도리동 || || 10.13-10.17 || 시민회관 별관 || || ||<|3> 1978 || 가실이 || || 03. || 세실극장 || || || 강릉매화전 || 연연 || 05.12-05.16 || [[국립극장]] 대극장 || 창극[* 국립창극단 28회 공연] || || 물도리동 || || 05. || 국립극장 || || ||<|5> 1979 || 놀부뎐 || || 02. || 공간사랑세실 || || || 광대가 || 진채선 || 03.22-03.26 || [[국립극장]] || 창극[* 국립창극단 30회 공연] || || 한네의 승천 || 한네[* 1인 3역] || 05. || 시민회관 별관 || 음악극 || || 가로지기(변강쇠타령) || 사당패 || 10.07-10.11 || [[국립극장]] 소극장 || 창극[* 국립창극단 31회 공연] || || 이대감망할대감 || || || || [* 연극협회 주최 신극70주년 기념] || ||<|2> 1980 || 대춘향전 || 춘향 || 04.09-04-12 || [[국립극장]] 대극장 || 창극[* 국립극장설립 30주년] || || 선인장꽃 || || 07. || [[세종문화회관]] || || ||<|8> 1981 || 이수일과 심순애 || || 03. || || [* 제3회 세계연극제] || || 뜻대로하세요 || || 04. || 엘칸토예술극장 || [* 극단 가교 창단15주년] || || 세종대왕 || 신빈 || 06.16-06.22 || [[국립극장]] 대극장 || [* 국립극단 100회 기념공연] || || 샌프란시스코여 다시 한 번 || || 07. || 엘칸토예술극장 || || || 세종대왕 || 신빈 || 10.06-10.09 || [[국립극장]] 대극장 || [* 국립극단 100회 기념공연 재공연] || || 한만선 || 상노처 || 11.18-11.27 || [[국립극장]] 소극장 || [* 국립극단 102회 정기공연] || || 유다여 닭이 울기전에 || || 11. || 판 소극장 || [* 판 소극장 개관기념] || || 뮤지컬 에비타 || 에바 페론 || 12. || [[세종문화회관]] || || ||<|5> 1982 || 어떤날 || 경옥 || 04.05-04.13 || [[국립극장]] 소극장 || [* 국립극단 103회 정기공연] || || 장화를 신은 고양이 || 관객 || 05.17-05.26 || [[국립극장]] 소극장 || [* 국립극단 103회 정기공연] || || 삭풍의 계절 || 박경희 || 09.30-10.06 || [[국립극장]] 대극장 || [* 국립극단 104회 정기공연][* 독립기념관건립 성금모금 참여공연] || || 돈 쥐앙 || || 11. || [[국립극장]] 소극장 || || || [[마당놀이]] 별주부전 || || 12.02-12.04 || 문화체육관 || || ||<|4> 1983 || 바리더기 || 바리더기 || 03.09-04.01 || [[국립극장]] 소극장 || [* 국립극단 107회 정기공연] || || 나래섬 || || 10.16-10.19 || [[국립극장]] 대극장 || [* 국립극단 109회 정기공연] || || 공녀이실 || || 11. || || [* 청소년 공연예술제] || || [[마당놀이]] 놀부전 || || 12.18-12.20 || 문화체육관 || || ||<|6> 1984 || [[마당놀이]] 놀부전 || || 01.25-02.08 || 각 시도 실내체육관 || [* 부산,대구,전주,대전,광주,마산,춘천] || || 불타는 여울 || 동네아낙 || 05.10-05.13 || [[국립극장]] 대극장 || [* 국립극단 111회 정기공연][* 84년 청소년 공연예술제] || || 불타는 여울 || 동네아낙 || 06.16-06.18 || [[국립극장]] 대극장 || [* 국립극단 112회 정기공연(앵콜공연)] || || 밤으로의 긴 여로 || || 06. || 문예회관 대극장 || || || [[마당놀이]] 이춘풍전 || 춘풍의 처 || 11.27-12.18 || 각 시도 실내체육관 || [* 부산,대구,전주,광주,대전,마산,춘천,청주] || || [[마당놀이]] 이춘풍전 || 춘풍의 처 || 12.07-12.09 || 문화체육관 || || ||<|6> 1985 || [[마당놀이]] 이춘풍전 || 춘풍의 처 || 01.31-02.03 || 문화체육관 || 서울앵콜공연 || || 뮤지컬 돈키호테 || 알돈자 || 05.08-05.13 || [[국립극장]] 대극장 || [* 85청소년 공연예술제의 한국연극협회 참여작] || || [[마당놀이]] 이춘풍전 || 춘풍의 처 || 05.24-05.26 || 국립극장 놀이마당 || [* 85청소년 공연예술제] || || [[마당놀이]] 방자전 || 이도령 || 11.0-11.15 || 각 시도 실내체육관 || [* 춘천,청주,대전,전주,광주,마산,대구,부산] || || [[마당놀이]] 방자전 || 이도령 || 11.21-11.30 || 문화체육관 || || || 휘가로의 결혼 || || 12. || 문예회관 대극장 || || || 1986 || [[마당놀이]] 방자전 || 이도령 || 02. || || 서울 등 전국투어 || || 1987 || [[마당놀이]] 봉이김선달 || || 02. || || 서울 등 전국투어 || || 1988 || 오장군의 발톱 || || 06.05-06.17 || [[국립극장]] 소극장 || || || 1990 || 영웅만들기 || 권영자 || 03.27-04.02 || 문예회관 대극장 || || || 1991 || 욕탕의여인들 || || 08.30-10.31 || 실험극장 전용극장 || || || 1992 || 죽음과 소녀 || || 04.06-04.14 || 문예회관 대극장 || || ||<|3> 1993 || 백마강 달밤에 || || 02. || [[예술의전당]] 토월극장 || [* 예술의전당 토월극장 개관 기념작] || || 남사당의 하늘 || 바우덕이 || 06.18-06.24 || [[국립극장]] 대극장 || || || 남사당의 하늘 || 바우덕이 || 08.25-08.29 || [[국립극장]] 대극장 || || || 1994 || 맥베드 || || || || || || 1995 || 뮤지컬 7인의 신부 || || 05.12-06.04 || 호암아트홀 || || || 1998 || 죽음과 소녀 || || 04.25-05.02 || 문예회관 소극장 || || || 2002 || 게이오 모년 조각구름 || || || || [* 일본 공연] || || 2003 || 최승희 || 최승희 || 09.26-10.12 || [[예술의전당]] 토월극장 || || ||<|2> 2004 || [[마당놀이]] 삼국지 || 제갈공명 || 11.20-12.12 || 상암월드컵경기장 [* 마당놀이 전용극장] || || || [[마당놀이]] 삼국지 || 제갈공명 || 12.14-01.02 || 상암월드컵경기장 [* 마당놀이 전용극장] || [* 연장공연] || ||<|4> 2005 || [[마당놀이]] 삼국지 || 제갈공명 || 01.21-02.13 || 상암월드컵경기장 [* 마당놀이 전용극장] || [* 재연장공연] || || 디아더사이드 || 러바나 줄랙 || 03.18-04.03 ||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 ||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06.10-07.24 || 우림청담씨어터 || [* 2005 여배우 시리즈 (박정자, 손숙, 양희경, 윤석화, 김지숙)] || || [[마당놀이]] 마포황부자 || 황만금 || 11.18-12.18 || 장충체육관 || || ||<|3> 2006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03.31-04.01 || 대구 학생문화센터 || ||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07.06-07.23 ||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 || || || [[마당놀이]] 변강쇠전 || 옹녀 || 11.17-12.21 || 장충체육관 || || ||<|5> 2007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01.19-02.28 ||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 || ||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03.30-03.31 || 미국 LA Wilshire Ebell Theater|| || || 김영동의 우리소리여행 || || 05.15 || 의정부예술의전당 대극장 || [* 2007 의정부국제음악극축제] || || 뮤지컬 [[댄싱 섀도우]] || 마마아스터 || 07.08-07.26 ||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 ||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09.27-09.28 || 서산문화회관 대공연장 || || ||<|5> 2008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02.14-02.24 ||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 || || 남사당의 하늘 || 바우덕이 || 03.27-04.06 ||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 ||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05.05-05.14 ||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 || || || 은세계 || || 10.03-10.19 || 정동극장 || [* 원각사 설립 100년 기념공연] || || [[마당놀이]] 심청 || 뺑덕어멈 || 11.20-01.27 || 상암월드컵경기장 [* 마당놀이 전용극장] || || ||<|8> 2009 || [[마당놀이]] 심청 || 뺑덕어멈 || 02.28 || 부천실내체육관 || || || 피카소의 여인들 || 재클린 로크 || 04.16-04.26 || [[예술의전당]] 토월극장 || ||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05.05-05.14 ||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 || ||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06. || 일본 || ||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06.11 || 용인시 평생학습관 큰어울마당 || ||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09.19-09.27 ||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 || || || 행복한 국악 || || 11.15 || 의정부 예술의전당 대극장 || [* 경기도립국악단과 협연] || || [[마당놀이]] 이춘풍 난봉기 || 춘풍처 || 11.26-01.03 || 서울월드컵경기장[* 마당놀이 전용극장] || || ||<|9> 2010 || [[마당놀이]] 이춘풍 난봉기 || 춘풍처 || 01.23 || 부천실내체육관 || || || [[마당놀이]] 이춘풍 난봉기 || 춘풍처 || 01.30 || 대구 엑스코 || || || [[마당놀이]] 이춘풍 난봉기 || 춘풍처 || 02.27 || 충북학생교육문화원 대극장 || || || [[마당놀이]] 이춘풍 난봉기 || 춘풍처 || 05.09 || 진주문화예술회관 대극장 || || || [[마당놀이]] 이춘풍 난봉기 || 춘풍처 || 05.15 || KBS 창원홀 || || || [[마당놀이]] 이춘풍 난봉기 || 춘풍처 || 05.23 || 전주실내체육관 || || || [[마당놀이]] 이춘풍 난봉기 || 춘풍처 || 09.04 || 부평아트센터 해누리극장 || ||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09.16-09.26 ||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 || || || [[마당놀이]] 이춘풍 난봉기 || 춘풍처 || 11.27-01.02 || 서울월드컵경기장[* 마당놀이 전용극장] || || ||<|11> 2011 || 신년맞이 30주년 마당놀이전 || || 01.30 || 수원실내체육관 특설무대 || || || 신년맞이 30주년 마당놀이전 || || 02.19 || 청주예술의전당 대공연장 || || || 마당놀이전 || || 02.26 || 광주염주체육관 || || || 신춘맞이 30주년 마당놀이전 || || 03.05 || 안동실내체육관 || || || 신춘맞이 30주년 마당놀이전 || || 03.19 || 경산 실내체육관 || || || 신춘맞이 30주년 마당놀이전 || || 04.23 || 부산벡스코 || || || 마당놀이전 || || 02.26 || 광주염주체육관 || || || 뮤지컬 엄마를부탁해 || 엄마 || 05.05-06.19 || [[충무아트센터]] 대극장 || ||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08.05-09.25 || 대학로 자유극장 || || || 흑인 창녀를 위한 고백 || 템플 || 11.23-12.11 ||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 ||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12.14-12.17 || 소월아트홀 || || ||<|5> 2012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02.28 || 청주예술의전당 대공연장 || || || 김성녀와 함께하는 흥겨운 마당놀이 || || 03.24-03.25 || 소월아트홀 || ||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05.19 || 함안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 ||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10.23-10.28 || 소월아트홀 || ||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12.21-12.22 || 안양 평촌아트홀 || || ||<|4> 2013 || 김성녀와 함께하는 흥겨운 마당놀이 || || 03.05 || 소월아트홀 || || || 김성녀의 우리 극(劇), 우리 소리 || || 03.11 || 노원청소년수련관 || [* 국악방송 특강 100회 기념] ||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04.26-04.27 || 여수 GS칼텍스 예울마루 || ||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12.18-12.22 || 고양아람누리 새라새극장 || || ||<|4> 2014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02.04-02.16 || 명동예술극장 || ||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06.20-06.21 || 부평아트센터 달누리 극장 || ||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07.26-07.27 || 밀양아리나 성벽극장 || [* 2014 밀양여름공연예술축제 초청 개막작] || || 유리동물원 || 아만다 || 08.06-08.30 || 명동예술극장 || || ||<|5> 2015 || 유리동물원 || 아만다 || 02.26-03.10 || 명동예술극장 || ||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09.12-09.13 || 남한산성아트홀 소극장 || [* 제1회 모노드라마 페스티벌] || || [[아리랑(뮤지컬)]] || 감골댁 || 07.11-09.06 || [[LG아트센터]] || ||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11.21 || 연천수레울아트홀 대공연장 || || || 김성녀의 우리소리 이야기 || || 12.12 || 한남대학교 성지관 || || ||<|7> 2016 || 김성녀의 우리소리 이야기 || || 01.09 || 안동실내체육관 || ||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05.07 || 금나래아트홀 || ||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06.25 || 영주문화예술회관 까치홀 || || || 김성녀의 해설이 있는 창극 이야기 || || 06.29 ||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 || 햄릿 || 호레이쇼 || 07.12-08.07 ||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 [* 이해랑 탄생 100주년 기념하여 이해랑연극상 배우,연출,작가 모두 역대 수상자들로만 구성됨] || || 어머니의 노래 || || 08.11 || 영광예술의전당 대공연장 || 악극 ||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11.09 || 용인시 평생학습관 큰어울마당 || || ||<|11> 2017 || 국악드림콘서트 || || 02.16 || 울산 현대예술관 대공연장 || ||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04.28-04.29 || 대구봉산문화회관 가온홀 || || || 어머니의 노래 || || 05.06 || 용인여성회관 큰어울마당 || 악극 || || 김성녀의 나의 삶, 나의 무대, 나의 노래 || || 05.10 || 대전예술의전당 앙상블홀 || [* 인문학콘서트] || || 어머니의 노래 || || 05.12 || 목포문화예술회관 || 악극 || || 김성녀의 무대인생 || || 05.24 || 전남 GS칼텍스 예울마루 || [* 예울마루 브런치콘서트 ART&ARTIST] || || [[아리랑(뮤지컬)]] || 감골댁 || 07.03 || [[예스24 라이브홀]] || 쇼케이스 || || [[아리랑(뮤지컬)]] || 감골댁 || 07.25-09.03 ||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 || || 김성녀와 함께하는 토크 콘서트 || || 08.07 || 무주읍 전통문화의집 대강당 || [* 무주군 주최 명사·전문가초청 해피 365 문화행사] ||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09.16 || 삼척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 || || 김성녀의 무대와 예술 그리고 인생 || || 11.29 || 인천 중구문화회관 공연장 || [* 명사초청 인문학 콘서트] || ||<|7> 2018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05.25-05.26 || 안성맞춤아트홀 소공연장 || || || 명사초청 프리미엄 토크콘서트 || || 05.30 || 포천반월아트홀 대극장 || || || 다시찾은 내청춘 || || 09.19 || 용인시문예회관 처인홀 || [* 용인문화재단 9월 노래가 있는 문화쌀롱] ||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09.21-09.22 || 용인 포은아트홀 || ||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10.05 || 인천서구문화회관 대공연장 || || || 맛있는 만두 만드는 법 || 영순 || 12.14-12.23 || 우란문화재단 우란2경 || 모노드라마 ||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12.29 || 여주 세종국악당 || || ||<|8> 2019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02.09 || 의정부예술의전당 대극장 || || || 심청이와 춘향이가 온다 || || 02.04 || 울산 북구문화예술회관 || 김성녀의 마당놀이 || || 김성녀의 나의 인생 나의 무대 || || 04.17 || 인천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 [* 2019 커피콘서트] || || 맛있는 만두 만드는 법 || 영순 || 04.26-04.28 || 성남아트센터 || 모노드라마 || || 맛있는 만두 만드는 법 || 영순 || 05.18 || 음성문화예술회관 || 모노드라마 || || 맛있는 만두 만드는 법 || 영순 || 07.03-07.07 || 광주 유스퀘어문화관 동산아트홀 || 모노드라마 || || 인문학콘서트 - 사람, 인생을 이야기하다 || || 10.17 || 창원의집 다목적 전각 특설무대 || [* 창원문화재단 주최 창원의집 기획공연 인문학콘서트] ||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12.01-12.29 || 대구봉산문화회관 가온홀 || || || 2021 || 파우스트 엔딩 || 파우스트 || 02.26-03.28 || 명동예술극장 || [* 국립극단 70주년을 맞아 2020년 4월 공연 예정이었으나 Covid-19와 본인의 부상으로 2021년에 공연하게 됨][* 한국 최초의 여성 파우스트] || ||<|5> 2022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03.18-03.19 || 부산 금정문화회관 금빛누리홀 || || || 심청이와 춘향이가 온다 || || 05.08 || 세종예술의전당 || 김성녀의 마당놀이 || || 햄릿 || 거트루드 || 07.13-08.13 ||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 || || 심청이와 춘향이가 온다 || || 09.16-09.17 || 강동아트센터 한강 || 김성녀의 마당놀이 || || 김성녀의 삶과 무대인생을 통한 소리여행 || || 12.15 || 영주 148아트스퀘어 중앙홀 || [* 명사 초청 릴레이 강연 '미래 영주에 관한 이야기 : 미담'] || ||<|12> 2023 || 심청이와 춘향이가 온다 || || 03.18 || 인천 남동소래아트홀 || 김성녀의 마당놀이 || || 장수상회 Last Dance || 임금님 || 04.21-05.21 || [[두산아트센터]] 연강홀 || [* 마지막 시즌이라 'Last Dance'라는부제가 붙여짐] ||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06.23-06.24 || 강동아트센터 드림 || || || 갈매기 || 성녀 || 06.29-07.09 || 경기아트센터 소극장 || [* 2023년 경기도극단 레퍼토리시즌 원 스테이지(One Stage) / 동일한 무대에 '죽음의 배'와 함께 공연됨] || || 심청이와 춘향이가 온다 || || 08.27 || 고양어울림누리 어울림극장 || 김성녀의 마당놀이[* 2023년 방방곡곡 문화공감 사업] || || 심청이와 춘향이가 온다 || || 09.08 || 부산 금정문화회관 금빛누리홀 || 김성녀의 마당놀이[* 2023년 방방곡곡 문화공감 사업] || || 심청이와 춘향이가 온다 || || 09.16 || 속초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 김성녀의 마당놀이[* 2023년 방방곡곡 문화공감 사업] || || 심청이와 춘향이가 온다 || || 10.05 ||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 || 김성녀의 마당놀이[* 서울시민 문화충전 프로젝트 <천원의 행복>] || || 심청이와 춘향이가 온다 || || 10.31 || 철원 화강문화센터 || 김성녀의 마당놀이[* 2023년 방방곡곡 문화공감 사업] || || 심청이와 춘향이가 온다 || || 11.12 || 의정부예술의전당 대극장 || 김성녀의 마당놀이[* 2023년 방방곡곡 문화공감 사업] || || 심청이와 춘향이가 온다 || || 11.26 || 울주문화예술회관 || 김성녀의 마당놀이 || || [[벽속의 요정]] || 1인 32역 || 12.09-12.10 || 성남아트센터 오페라하우스 || || === 드라마 === * 1982년 KBS1 [[지금 평양에선]] - 최은희 * 1983년 KBS1 [[TV문학관]] '소리의 빛' - 누이 * 1983년 MBC [[전원일기]] - 금동이 생모 * 1984년 KBS1 특집드라마 [[함정(드라마)|함정]] * 1986년 MBC [[사이공 억류기]] * 1986년 KBS1 [[노다지]] - 음전네 * 1986년 KBS1 [[여심]] - 황화숙 * 1987년 KBS1 [[이화(드라마)|이화]] * 1987년 KBS1 [[토지(1987년 드라마)|토지]] - 홍씨 부인 * 1987년 KBS2 일요추리극장 '밤피리' - 피리부는 여인 * 1987년 KBS1 [[TV문학관]] '점 점 점' - 김차희 * 1989년 KBS1 [[우리동네]] * 1990년 KBS1 고전해학극 [[추천석뎐]] - 진천 추천석의 부인 * 1990년 KBS1 [[서울뚝배기]] - 문정숙 * 1990년 KBS1 [[여명의 그날]] - 허정숙 * 1991년 KBS1 [[열녀, 지옥에 떨어지다]] * 1993년 KBS2 [[일월(드라마)|일월]] - 백운산 * 1993년 [[MBC 베스트극장]] '거름꽃' - 김씨 집안 셋째부인 * 1994년 KBS2 [[사라비아 공화국]] - 풍산댁 * 1996년 KBS2 [[아내가 있는 풍경]] * 1996년 KBS2 전설의 고향 '바리데기' - 김대부 * 2022년 SBS 웹드라마 아직,일흔 - 오경숙 (Ep.1[[https://youtu.be/LzGxuzAFlSo?si=s9KseSdRrp0ij61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 / Ep.2 [[https://youtu.be/WnQuakbaUoU?si=VrsQPcJpXC819lCX|[[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 / Ep.3 [[https://youtu.be/NROlR6EkqbU?si=Ef9n0owkPQqUn-z-|[[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 / Ep.4 [[https://youtu.be/WYoscarUcgA?si=9akzPOuJ1tiW8TL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 / Ep.5 [[https://youtu.be/Dkt6GZKLUT8?si=3JaRFbKjkaKoIZy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 / Ep.6 [[https://youtu.be/lGmQ5QSXLww?si=VKBzuc-FM91N51ez|[[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 * 2022년 JTBC [[그린마더스클럽]] - 은표의 시어머니 === 영화 === * 1957년 김삿갓 * 1992년 [[눈꽃#s-3.4]] - 정선 * 1994년 번지없는 주막 * 1999년 [[춘향뎐]] - 월매 * 2005년 무등산 타잔, 박흥숙 * 2006년 사랑할 때 이야기하는 것들 - 혜란 * 2019년 [[우상(영화)|우상]] - 명희 모 * 2021년 여고괴담 여섯번째 이야기 : 모교(영화) - 석공녀 교장 == 수상 == * 1986년 제22회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문 여자연기상 (돈키호테) * 1991년 제27회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문 인기상 (영웅만들기) * 1991년 서울연극제 여자연기상 (욕탕의 여인들) * 1992년 제28회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문 여자연기상 (욕탕의 여인들) * 1992년 서울연극제 여자연기상 (남사당의 하늘) * 1993년 서울연극제 여자연기상 * 1996년 한국뮤지컬대상 여우주연상 (7인의 신부들) * 2000년 꽃봉지회 올해의배우상 * 2000년 제8회 [[춘사영화제]] 여우조연상 ([[춘향뎐]]) * 2003년 김동훈연극상 * 2004년 꽃봉지회 올해의인물 * 2005년 동아연극상 연기상, 올해의예술상 * 2007년 한국연극협회 자랑스런연극인상 * 2010년 이해랑연극상 * 2013년 국민문화훈장화관 == 도서 == * 2010년 배우 김성녀의 일곱 가지 마음 담긴 따뜻한 손뜨개 * 2014년 배우 김성녀의 마음을 전하는 선물 손뜨개 * 2015년 벽속의 요정(천의 얼굴 김성녀 Life Story) * 2018년 100인의 배우, 우리 문학을 읽다(오디오북) - 김성녀가 읽는 황석영의 삼포 가는 길 == 음반 == [발매] * 1972 까투리 사냥 (비둘기 시스터즈) / 국악 크로스오버, 트로트 * 1972 눈사람 (비둘기 시스터즈) / 국악 크로스오버 * 1981 신 남도민요 Vol.2 (안숙선, 김성녀, 강정숙) / 국악 * 1998 갈피리 노래소리 사랑의 칵테일 오직 하나 당신 / 트로트 * 2004 김성녀의 찬불가 / 찬불가 * 2007 벽속의 요정 OST / OST * 2011 뮤지컬 엄마를 부탁해 OST 미안하다 / OST(싱글) [참여] * 1985 향사 박귀희 작품집 / 범벅타령, 골패타령, 야월삼경, 애수의 가을밤, 발림(안숙선, 김성녀), 봄노래/김매기노래(강정숙,김성녀, 윤소인,조남희) / 국악 * 1994 영화 휘모리 OST / 떠나지마오 / OST * 1996 요동류(遙東流) In Beijing / 청산별곡(靑山別曲) / 국악 크로스오버 * 1996 박범훈 불교음악 3집 (무상) / 무상게, 찬미의 나라, 천둥소리 (김성녀, 신동호) / 찬불가 * 1997 박범훈 불교음악 4집 (김성녀 찬불가) / 찬불가 * 1997 드라마 임꺽정 OST / 둥개타령 / OST * 1998 한국 영화 음악 기록사 1차 (1919~1997) / 영화 휘모리 "떠나지마오" / OST * 1998 박범훈 불교음악 2집 (보현행원송) (김성녀, 송창식) / 찬불가 * 1998 박범훈 불교음악 (붓다) (김성녀, 주병선, 상훈스님) / 찬불가 * 1998 박범훈 불교음악 6 (이차돈의 하늘) / 찬불가 * 2003 무상 / 무상게,찬미의 나라, 거룩한 손 / 찬불가 * 2003 부모은중송 / 부모님의 크신 은덕 / 찬불가 * 2015 용성 (박범훈 불교음악 7집) (안숙선, 김성녀, 유희성) / 찬불가 == 기타 활동 == === 방송 === * 2003 10.17 KTV 피플투피플 74회 * 2004.11 TV문화지대 KBS 1TV 마당놀이 '삼국지' * 2011 BTN 예술공간 울림 진행 [* 2월 7일 첫방송] * 2012.04.16 MBC 놀러와 (연극계 철의 여인들 스페셜) [* 박정자,윤소정,윤석화와 함께 출연] * 2020.12.07 국악방송 인생낭독:人 18회 * 2021.08.03 MBN 혼밥인생 [* 5회 - 예술과 낭만의 거리 대학로에 스며든 혼밥의 향기를 느끼다! 편] * 2021.12.06 국악방송(라디오) 구술프로젝트 * 2022.01.02 JTBC 차이나는 클라스 - 인생수업 * 2023.04.30 TV조선 스타다큐 마이웨이 [* 연극 장수상회(박정자, 이순재, 신구와 함께 출연)] * 2023.05.13 SBS 파워FM 컬투쇼 - 스타와 토킹어바웃 [* 연극 장수상회(이순재,강성진,이희진과 함께 출연)] == 여담 == * 5세때 어머니의 아역으로 여성국국 무대에 섰으며, [[https://www.nocutnews.co.kr/news/170330?c1=191&c2=198)|영화 '김삿갓(1957년 개봉)'에 아역으로 출연]]하기도 했기때문에 데뷔년도를 정확히 규정하기 어려움 * 음악극 한네의 승천 오디션을 보기위해 극단 민예를 처음 방문했을 때 허규 극단대표[* 전 국립극장장]와 손진책 연출이 별도의 오디션을 보지도 않고 주인공으로 낙점하여 사이비 극단이 아닌지 의심을 했다고 함 하지만 알아보니 아주 유명한 극단이었다는 일화가 있음 [[분류:1950년 출생]] [[분류:한국 여배우]] [[분류:단국대학교 출신]] [[분류:중앙대학교 출신]] [[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