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1D4euLX.jpg|width=300]] || || '''이름''' ||김선욱 || || '''영문명''' ||Sunwook Kim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출생''' ||[[서울특별시]] || || '''생년월일''' ||[[1988년]] [[4월 22일]] ([age(1988-04-22)]세) || || '''학력''' ||[[예원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기악과 예술사 영국 왕립음악원 지휘과 석사 || || '''소속사''' ||아스코나스 홀트(Askonas Holt), 빈체로 || || '''홈페이지''' ||[[http://www.sunwookkim.com/|공식 사이트(영문)]] || [목차] == 소개 == [[대한민국]]의 [[피아니스트]], [[지휘자]]. [[대한민국]]에서 거의 유일하게 피아노와 지휘를 동시에 하는 음악가이다. 만 3세 때 처음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해 [[예원학교]] 졸업 후 2004년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에 입학하여 [[김대진(피아니스트)|김대진]]을 사사[* 한예종 입학 후 지도교수 희망 1~3순위에 김대진 교수 한명만 써넣었을 정도였다.]하였다. 2006년 만 18세의 나이로 라두 루푸, 머레이 페라이어 등을 배출한 리즈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최연소이자 아시아인 최초로 우승함으로서 세계적인 주목을 받게 되었다. 리즈 국제 피아노 콩쿠르 결선 당시 연주한 [[브람스]] 피아노 협주곡 1번은 만장일치의 호평을 받았다. [[텔레그래프]]와 [[타임즈]]는 당시 리뷰를 통해 "스스로 선택한 곡에 대한 완전한 이해를 보여준 것은 그가 유일했다. 마크 엘더 & 할레 오케스트라와 동등한 위치에서 호흡을 맞춘 연주자도, 와일드하면서도 지적인 연주를 보여준 이도, 길을 가로질러 가서라도 듣고 싶은 이도 그가 유일했다. 시적이면서도 지적인 짜릿함이 섞인 느린 악장은 앞으로 그가 가장 많은 가능성을 지닌 아티스트임을 보여주는 증거이며 그의 승리는, 굳이 따질 필요 없는 완벽한 것이었다.", "김선욱은 각각의 프레이즈와 화음을 매우 충실한 브람스적인 방법으로 해석하는 음악적 성숙함을 보여주었다. 그는 우승을 했고, 할 만 했다."라고 극찬했다. [youtube(SK7yeZ6CmnE)] ||브람스 피아노 협주곡 1번 (마크 엘더 지휘 / 할레 오케스트라, 2006년)|| 2013년 영국 왕립음악원(RAM) 지휘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어렸을 적부터 [[지휘자]]를 꿈꿨다고 한다. [[정명훈(지휘자)|정명훈]] 지휘자를 어렸을 때부터 매우 좋아해서 공연을 맨 앞줄에서 보고, 경매에 나온 정명훈 지휘자의 지휘봉을 초등학교 시절 50만원에 (엄마 카드로) 샀다고 한다. 본격적으로 지휘자가 되기 위한 결심을 코로나 팬데믹기간 많은 연주가 취소되면서 더 늦게 시작하면 안 될 것 같아 2021년에 데뷔하게 되었다고 한다. 2022년 12월, 오스모 밴스케를 대신해 [[서울시립교향악단]]과 베토벤 교향곡 9번 "합창"을 1주일만에 준비해 암보로 완벽하게 지휘했다. == 음악 활동 == 2007년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의 협연을 통해 세계적 클래식 매니지먼트 아스코나스 홀트에 발탁되어 전속 계약을 체결하고 2008년 [[영국]] [[런던]]으로 이주하였다. 2018년 5월 [[런던]]에서 [[독일]] [[베를린]]으로 이사했다.[* [[조성진(피아니스트)|조성진]]도 [[파리(프랑스)|파리]]에서 [[베를린]]으로 옮겨 현재(2019년 1월 기준) 거주 중인데, 임동혁, 조성진, 선우예권 등 많은 한국 연주자가 베를린에 거주하고 있다. 이들은 어렸을 때부터 오랫동안 친하게 지내고 있지만 각자의 음악 세계를 존중하기 때문에 서로 음악에 대한 대화는 거의 하지 않는다고 한다.] 2020년 말에는 항공편이 더 많은 공항이 있는 [[뮌헨]]으로 옮겼다.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지휘자 [[존 엘리엇 가디너]], [[다니엘 하딩]], [[마이클 틸슨 토머스]]),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지휘자 사카리 오라모)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지휘자 [[블라디미르 아슈케나지]], 유라이 발추하, 에드워드 가드너), [[유럽]] 챔버 오케스트라, [[왕립 콘서트허바우 관현악단|로열 콘서트헤보우 오케스트라]] (지휘자 [[정명훈(지휘자)|정명훈]]), [[드레스덴 국립 관현악단|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 (지휘자 [[정명훈(지휘자)|정명훈]]), 맨체스터 할레 오케스트라 (마크 엘더 경), [[베를린]] 방송 교향악단 (지휘자 마렉 야노프스키), [[NHK 교향악단]] (지휘자 카를 하인츠 슈테펜스), 도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북독일 방송 교향악단]], 서독일 방송 교향악단, 핀란드 방송 교향악단, [[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BBC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시몬 볼리바르 청소년 관현악단]], 도이치 캄머필하모니 브레멘 (지휘자 [[파보 예르비]]),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 [[LA]]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등과 협연하였고, 2013년 여름에는 [[본머스]] 심포니 오케스트라 (지휘자 키릴 카라비츠)와 세계적인 음악 축제인 BBC proms 데뷔를 치렀다. 한국인 피아니스트로는 조성진을 제외하고 협연한 해외 오케스트라의 명성이 가장 높다고 할 수 있다. 2012년부터 2013년까지 [[루트비히 판 베토벤|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32곡 전곡을 작품 번호 순서대로 8회에 걸쳐 완주했다. 국내에서는 최연소로 전곡을 연주한 기록을 세웠다. 2015년 3월에는 한국인 최초로 런던 사우스뱅크 센터가 주관하는 ‘인터내셔널 피아노 시리즈’에 초청받아 퀸엘리자베스 홀에서 독주회를 가졌다. 위그모어 홀에서도 정기적으로 실내악, 독주회를 열고 있다. 2018년 이후 독일에 거주하면서 리사이틀, 협연, 실내악, 기악이나 리트 반주 등 영역을 가리지 않고 매우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특히,13년간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악장이었던 가이 브라운슈타인, 베를린필 수석 비올리스트 아미하이 그로스와 실내악을 자주 연주한다. 또한 가이 브라운슈타인 지휘로 함브루크 심포니와 협연하였고, 아미하이 그로스와는 2020년 앨범을 발매하는 등 매우 긴밀한 관계를 이어오고 있다. 20/21 시즌에 사카리 오라모 지휘로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과 [[진은숙]] 피아노 협주곡으로 데뷔했다. [[2020년]] [[12월 14일]], 드디어 지휘자로 데뷔하여 [[롯데콘서트홀]]에서 [[KBS 교향악단]]과 [[교향곡 제2번(브람스)|브람스 교향곡 2번]] 연주가 예정되어 있었으나 [[2021년]] [[1월 12일]]로 연기되었고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에 따라 연주곡도 편성 인원이 적은 베토벤 교향곡 7번으로 변경되었다. [[2021년]] [[1월 12일]], 드디어 지휘자로써의 첫 공식 연주회를 진행했다. 1부에서는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2번을 지휘와 동시에 피아노 연주를 겸하였고, 2부에선 베토벤 교향곡 7번을 완벽히 연주하여 지휘자 데뷔 공연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 날 관객이 매우 화려했는데, 동료 아티스트인 [[임동혁(피아니스트)|임동혁]], [[선우예권]] 등 국내 최고의 연주자들이 관람했다.] 2022년부터는 지휘 활동도 조금씩 늘려나가고 있다. 주로 [[KBS 교향악단]]과 [[서울시립교향악단]] 위주의 무대가 많다. 2022년 8월에는 새롭게 개장한 [[광화문광장]]에서 광복절 기념 연주를 지휘하였다. [youtube(Qxk94BqzdZU)] ||스메타나 몰다우 - Vltava (서울시립교향악단), 2022년|| 영국에서 [[본머스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꾸준히 지휘무대를 가지고 있으며 22/23 시즌에는 경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마카오 오케스트라, 코리아 챔버 오케스트라와도 지휘무대가 예정되어 있다. 2023년 10월에는 [[서울시립교향악단]] 정기공연에서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1번과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죽음과 변용, 장미의 기사 모음곡을 연주할 예정이다. 2023년 5월에는 [[영국]] [[런던]] 바비칸 홀에서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지휘 마이클 틸슨 토마스)와 [[브람스]] 피아노 협주곡 1번을 연주하여 기립박수를 이끌어내었다. == 디스코그래피 == ||2013년|| [[도이치 그라모폰]] || Beethoven - Piano Concerto No. 5 in E flat major, Op. 73 ‘Emperor’ ([[정명훈(지휘자)|정명훈]] 지휘, [[서울시립교향악단]]) || ||2014년|| [[도이치 그라모폰]] || Unsuk Chin - Piano Concerto (정명훈 지휘, 서울시립교향악단) || ||2015년|| 아첸투스(Accentus) || Beethoven Piano Sonatas - Waldstein, Hammerklavier || ||2016년|| 아첸투스(Accentus) || Franck - Prélude, Choral et Fugue & Brahms - Piano Sonata No.3 || ||2017년|| 아첸투스(Accentus) || Beethoven Piano Sonatas - Pathétique, Moonlight, Appassionata || ||2017년|| 할레 콘서트 소사이어티 (Halle Concerts Society) || Brahms Piano Concerto No.1 & 2 (Sir Mark Elder 지휘, The Hallé) || ||2020년|| 아첸투스(Accentus) || Brahms - Piano Concerto No. 1, Six piano pieces (정명훈 지휘,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 || ||2021년|| 아첸투스(Accentus) || Beethoven - The Last Three Sonatas (CD, DVD, Blu-Ray발매) || ||2021년|| 아첸투스(Accentus) || Beethoven - 10 Violin Sonatas ([[강주미]]) || == 수상경력 == || 1998년 || 음연 피아노 콩쿠르 1위 || || 1998년 || 틴에이저 피아노 콩쿠르 1위 || || 1998년 || 음악교육신문사 콩쿠르 피아노 전체 대상 || || 1999년 || [[삼익악기|삼익]] [[벡스타인]] 피아노 콩쿠르 1위 || || 2002년 || 이화경향음악콩쿠르 1위 || || 2004년 || [[독일]] 에틀링겐 국제 피아노 콩쿠르 시니어 부문 1위, 세계청소년음악콩쿠르 유럽협회 특별상 및 베렌라이터 상 || || 2005년 || [[스위스]] [[클라라 하스킬]] 국제 피아노 콩쿠르 우승 || || 2006년 || [[영국]] [[리즈]] 국제 피아노 콩쿠르 최연소 우승 || || 2006년 || 금호음악인상 || || 2009년 ||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음악부문상 || || 2015년 || 제9회 대원음악상 연주상 || == 기타 == * 앙드레 퓌르노 ~~http://www.piano4etoiles.fr/ 창립자, 피아니스트~~ 추천으로 피기 시작한 [[시가(담배)|시가 ]] 애호가이다. ~~[[아르투르 루빈스타인]]처럼 쿠바산 몬테크리스토를 좋아한다.~~[* BBC MUSIC 2016년 3월호] * 런던에 거주하는동안 옷, 신발, 와인, 치즈 등 영국의 장인정신(craftmanship)에 빠져 지냈다고 한다. * 음악 연주자이면서 [[클덕]]이다. 2018년 9월 내한공연을 앞두고 진행한 인터뷰에서 "[[크리스티안 지메르만]]이 내한했을 때, [[예원학교]] [[교복]] 입고 연주회장에서 가서 같이 사진까지 찍었죠. 완전 팬심이었어요", "2006년 [[카네기 홀]]에서 알프레드 브렌델 선생의 연주회를 보면서, 또 독일에서 봤던 [[그리고리 소콜로프]]의 연주회에서도 피아니스트가 공간을 완전히 지배한다는 게 무엇인지를 실감했죠", "제 안에는 '두 개의 나'가 있어요. 하나는 음악가로서의 김선욱인데, 그것은 그냥 음악을 사랑하고 공부하는 것이죠. 그리고 또 하나는 무대에서 연주하는 '직업 피아니스트'로서의 김선욱이죠. 그건 음악을 좋아하는 것과 차원이 달라요. 자신만의 언어를 가지고 무대에서 어떤 에너지를 뿜어내는 것, 그래서 공간을 장악하는 거죠"라고 말하기도 했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809021449001|피아니스트 김선욱 “내 안에는 두 개의 내가 있죠”···9일 예술의전당 단독 리사이틀]] * 자타가 인정한 부점연습 매니아라고 밝혔다. 부점연습을 하면 특유의 성취감과 희열이 느껴진다고 한다. 요즘에는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많이 하는 편은 아니라고. * 2010년 리사이틀 때 앙코르 타임이 되자, 앙코르를 한 곡 밖에 준비하지 못했다고 말하고 30분이 소요되는 [[모데스트 무소륵스키|무소르그스키]]의 [[전람회의 그림]]을 연주하였다. 객석에서는 환호성이 터져나왔다. * JTBC에서 제작하는 "[[고전적 하루]]"라는 고전음악 아티스트 대담프로그램에서 중앙일보 김호정 기자(서울대 기악과 피아노전공)와 꾸밈없는(!) 대화와 자신의 해석이 담긴 연주들을 들려주었다. [[https://youtu.be/yIj0qkbaId4|고전적 하루 김선욱 편 Part 1]] [[https://youtu.be/VrBb5GHErUw|고전적 하루 김선욱 편 Part 2]] * 2021/22 시즌에 유서깊은 [[프랑스 파리]] 샹젤리제 극장의 상주연주자로 이름을 올렸다. [[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고전 음악 연주자]] [[분류:대한민국의 지휘자]] [[분류:대한민국의 피아니스트]][[분류:예술체육요원 출신]][[분류:예원학교 출신]][[분류:한국예술종합학교 출신]][[분류:왕립음악원 출신]][[분류:1988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