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2 김선숙}}}}}}''' || || '''{{{#white 이름}}}''' ||김선숙 || ||<|2> '''{{{#white 출생}}}''' ||[[1982년]] || ||미상 || ||<|2> '''{{{#white 사망}}}''' ||[[2017년]] [[1월 15일]] (향년 34세) || ||[[정부세종청사]] 10동 보건복지부 청사 6층 || || '''{{{#white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대한민국]] || || '''{{{#white 가족}}}''' ||남편^^(1978년생)^^[br]딸^^(2010년생)^^[br]아들^^(2012년생, 2014년생)^^ || || '''{{{#white 학력}}}'''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2 (약학 01 / 학사)}}} || || '''{{{#white 직업}}}''' ||[[보건복지부]] 사무관 || [목차] [clearfix] == 개요 == 김선숙은 대한민국의 공무원으로, 과로에 시달린 워킹맘의 현실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인물로 큰 화제가 되었다. == 생애 == 김선숙은 1982년생으로, 사망 당시 생일이 지나지 않아 만 34세였다. [[서울대학교]] 약학과를 졸업하였고, 2007년 행정고시에 합격해 공무원 생활을 시작하였다. 2010년 [[기획재정부]] 사무관인 남편과 결혼[[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7011901071703017001|#]]하여 2010년 12월 딸을 낳은 것을 시작으로, 2012년 아들, 2014년 아들을 낳아 3남매의 어머니가 된 김선숙은 2010년 12월부터 2017년 1월 8일까지 육아휴직을 한 후 2017년 1월 9일부터 [[보건복지부]] 사무관으로 복직하였다. 1월 9일 복직한 이후 1월 15일 급사할 때까지 일주일 동안 매일 연속으로, 김선숙 사무관은 새벽 5시에 출근하여 밤 9시에 퇴근하여 퇴근 이후에도 아이들을 돌보는 생활을 반복하였고, 토요일인 1월 14일에도 일찍 퇴근해서 아이들과 오후 시간을 보내기 위해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710086615798704&mediaCodeNo=257&OutLnkChk=Y|#]] 새벽 5시에 출근한 것으로 알려져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 사망 == 2017년 1월 15일 '''일요일''' 아침에도 새벽 5시에 [[정부세종청사]] 10동 보건복지부 청사에 출근한 김선숙 사무관은 오전 업무를 보던 중 오전 7시 40분경 6층 계단을 이동하던 중 [[https://www.insight.co.kr/newsRead.php?ArtNo=109676|#]] 심장 비대에 의한 [[부정맥]]으로 쓰러져 계단에서 넘어져 사망했다. 더욱이 해당 장소는 CCTV가 없던 곳이라 발견이 늦은 것도 있었다. 과로로 쓰러진 것은 맞지만 계단에서 넘어져서 사망한 것이기 때문에 과로로 인한 병사가 아닌 과로로 인한 사고사이다. 유족 또한 김선숙이 평소에 그렇게 건강이 심하게 나쁜 편인 것도 아니었다고 하니. 원래 [[5급 공무원]]들은 고된 업무에 비해 처우가 안 좋아서 과로사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고, 때문에 공무원들 중 과로사한 인물이 김선숙만 있던 것은 아니지만, 다른 과로사한 공무원들에 비해 유독 김선숙만 주목받고 화제가 된 이유는 복직한 지 겨우 일주일 밖에 안 되었고, 서울대 약대라는 엘리트 학력, '''불과 2살, 4살, 6살 세 남매를 둔 워킹맘'''이라는 점 때문이다. 이로 인해 훗날 대통령이 되는 [[문재인]] 또한 [[페이스북]]으로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170826/85994166/1|애도]]를 표했고, 보건복지부 또한 토요일 근무를 전면 금지하고 일요일에도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면 출근하지 않는 것을 권고하고, 임신한 직원은 하루 2시간 근무시간을 단축하는 모성보호시간제를 적극 활용할 수 있게끔 홍보하는 등[[https://www.insight.co.kr/newsRead.php?ArtNo=109676|#]] 김선숙의 죽음으로 인한 사회적 파장이 매우 컸기 때문이다. 2017년 6얼 14일, 김선숙은 공무상 순직을 인정받았다.[[https://www.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1706162218035|#]] [[분류:1982년 출생]][[분류:2017년 사망]][[분류:과로사한 인물]][[분류:약사]][[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5급 공개경쟁채용시험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