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법무연수원장)]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석우27기.jpg|width=100%]]}}} || || '''이름''' ||김석우 || ||<|2> '''출생''' ||[[1972년]] ||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시]] (現 [[대구광역시]])|| || '''학력''' ||[[덕원고등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 법과대학]] {{{-2 (사법학 / [[학사]])}}}|| || '''현직''' ||법무연수원장 || || '''경력''' ||제37회 [[사법시험]] 합격[br]제27기 [[사법연수원]] 수료[br]서울서부지방검찰청 형사5부 부장검사[br]서울중앙지방검찰청 특수3부 부장검사[br][[서울중앙지방검찰청]] 특수2부 부장검사[br][[광주지방검찰청 순천지청]] 차장검사[br][[울산지방검찰청]] 차장검사[br][[서울고등검찰청]] 형사부장[br][[대전고등검찰청]] 검사[br]서울고등검찰청 검사[br][[대한민국 법무부|법무부]] 법무실장[br][[법무연수원]]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검사(법조인)|검사]]. 현 [[법무연수원]]장. == 생애 == [[대구광역시]] 출신으로 [[덕원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사법학과를 졸업했다. 1995년 제37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1998년에 [[사법연수원]]을 수료했다. [[사법연수원 기수]]는 27기. 1998년 서울지방법원(현 서울중앙지방법원) 예비[[판사]][* 1998년부터 2007년까지는 연수원 수료 후, 바로 법관으로 임용하지 않고, 예비 판사로 2년 간 재판 업무를 보조했다. 지금의 [[재판연구원]] 제도와 유사한 점이 있다.]로 법복을 입었고, 2000년 [[서울행정법원]]에 발령받았다. 행정법원에 함께 발령받은 판사가 연수원 27기 동기인 [[정계선]] 판사(현 부장판사)와 한애라 판사(현 성균관대 로스쿨 교수)로 김석우 판사를 포함해 세 명 뿐이다. 첫 번째 임지로 서울지법, 두 번째 임지로 서울행정법원으로 발령받은 것을 보면 연수원 성적이 우수했음을 알 수 있다. 2002년 검사로 전관했다. 이후 검사로 20년 이상 일하며 서울중앙지검 특수3,2부장, 울산지검 차장, 서울고검 형사부장 등을 역임했다. 2023년 1월 27일, [[검사장]]으로 승진해 법무부 법무실장으로 발령되었다. [[https://m.lawtimes.co.kr/Content/Article?serial=184842|#]] 2023년 9월에 발표된 대검 검사급 인사에서 고검장으로 승진하여 [[법무연수원]]장[* 보통은 초임이 아닌 말년 고검장이 가는 자리다.]으로 발령되었다. [[https://viewer.moj.go.kr/skin/doc.html?rs=/result/bbs/182&fn=temp_1693806322213100|인사이동 내역]],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170726?rc=N&ntype=RANKING|#]] == 여담 == * [[독일]]의 [[막스 플랑크 협회|막스 플랑크 국제형사법연구소]] 출신으로 검찰 내 대륙법 전문가로 손꼽힌다고 한다. [[https://www.mbn.co.kr/news/society/4901260|#]] == 경력 == * 서울지방법원 판사 * 서울행정법원 판사 * 서울지방검찰청 검사 * 대검찰청 검찰연구관 * 수원지방검찰청 평택지청 부장검사 * 광주지방검찰청 특수부 부장검사 * 서울서부지방검찰청 형사5부 부장검사 * 서울중앙지방검찰청 특수3부 부장검사 * 서울중앙지방검찰청 특수2부 부장검사 * 대구지방검찰청 서부지청 부장검사 * 광주지방검찰청 순천지청 차장검사 * 울산지방검찰청 차장검사 * 서울고등검찰청 형사부장 * 대전고등검찰청 검사 * 서울고등검찰청 검사 * 법무부 법무실장 * 법무연수원장 [[분류:1972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검사장]][[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덕원고등학교 출신]][[분류:윤석열 정부/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