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 ||<-2><#0f8184> {{{+2 {{{#ffffff '''김상흠'''}}}}}}[br]{{{#ffffff '''金相欽'''}}}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tv03.search.naver.net/yonhapnews_33782488.jpg|width=100%]]}}} || ||<|2> {{{#ffffff '''출생'''}}} ||[[1919년]] [[10월 27일]] || ||[[경기도]] [[경성부]] (現 [[서울특별시]]) || ||<|2> {{{#ffffff '''사망'''}}} ||[[1991년]] [[11월 2일]] (향년 72세) ||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동]] || || {{{#ffffff '''본관'''}}} ||[[울산 김씨]] || || {{{#ffffff '''부모'''}}} ||아버지 [[김성수(1891)|김성수]] 어머니 고광석 || || {{{#ffffff '''형제자매'''}}} ||형 [[김상만(언론인)|김상만]], [[김상기(언론인)|김상기]], 김상선[br]누나 김상옥[br]남동생 김상오, 김상종, [[김남]], 김상석, 김상겸[br]여동생 김상숙, 김상현, 김순민 || || {{{#ffffff '''배우자'''}}} ||고완남[br]이군엽 || || {{{#ffffff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1묘역-312호 || || {{{#ffffff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언론인]], [[정치인]]이다.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에 서훈되었다. == 상세 == 1919년 10월 27일 [[경기도]] [[경성부]](現 [[서울특별시]])에서 [[동아일보]] 창업주인 [[김성수(1891)|인촌 김성수]]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중앙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연희전문학교 상과]]에 재학 중이던 1939년 12월에 [[고영완]],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8854|서영원]](徐泳源)[* [[서재필]]의 종손자], [[윤주연]][* 고산(孤山) [[윤선도]]의 9대손],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2187|백재호]](白在鎬)[* 고영완의 외종사촌, 광복회 사무국장] 등과 함께 조선학생동지회를 결성하여 봉기를 기획하였다. 그러나 1941년 7월 동지회의 하부조직인 원산상업학교의 조직이 일경에게 발각됨으로써 조직의 전모가 드러나게 되었고, 결국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모진 고문을 당하고 일본 검찰에 의해 기소되었다. 그 후 함흥지방법원에서 징역 1년을 선고 받은 다음 함흥형무소에서 복역하였다. 그때 그의 아내 고완남[* 조선학생동지회에 연락책으로 참여하였다. 고영완의 여동생이기도 하다.]도 함께 수감되었다. [[8.15 광복]] 이후 [[동아일보]] 편집국장을 역임하였다.[[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199111030048304078|#]]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1955년)|민주당]] 공천을 받지 못하자 탈당하고 아버지의 고향인 [[전라북도]] [[고창군]] 을 지역구에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당시 득표율 2위였던 [[민주공화당]] 성정기(成正基) 후보에 149표 차로 극적으로 당선되었다.] 당선 후 민주당에 복당하였다가, 민주당 구파 인물들과 함께 민주당을 탈당하여 [[신민당(1960년)|신민당]]을 창당하였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정당]] 후보로 전라북도 고창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신민당(1967년)|신민당]] 후보로 출마했다가 [[민주공화당]] [[신용남]] 후보에게 밀려 낙선하였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진의종]]에 밀려 공천 탈락하였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진의종을 제치고 신민당 공천을 받아 전라북도 고창군-부안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이병옥]], 무소속 진의종 후보에 밀려 3등으로 낙선하였다.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에 서훈되었으며, 1991년 11월 2일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동 자택에서 [[숙환]]으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1110300239117003&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1-11-03&officeId=00023&pageNo=17&printNo=21801&publishType=00010|별세했다]].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1묘역에 안장되었다. == [[동아일보/오너 일가|가족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동아일보/오너 일가)] == 선거이력 ==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60 ||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고창군]] 을) || [include(틀:무소속)] || '''7,648표 (24.09%)''' || '''당선 (1위)''' || '''초선''' || || 1963 ||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고창군) || [include(틀:민정당)] || '''16,680표 (28.63%)''' || '''당선 (1위)''' || '''재선''' || || 1967 || [[제7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고창군) || [include(틀:신민당(1967년))] || 27,804표 (39.44%) || 낙선 (2위) || || || 1973 || [[제9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고창군-부안군) || [include(틀:신민당(1967년))] || 23,664표 (20.3%) || 낙선 (4위) ||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5대 국회의원/전라북도)] [include(틀:제6대 국회의원/전라북도)]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제5대 민의원의원]][[분류:제6대 국회의원]][[분류:무소속 국회의원]][[분류:민주당(1955년) 국회의원]][[분류:신민당(1960년) 국회의원]][[분류:민정당 국회의원]][[분류:신민당(1967년) 국회의원]][[분류:울산 김씨]][[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동아일보/오너 일가]][[분류:1919년 출생]][[분류:1991년 사망]][[분류:한국의 정치인 자녀]][[분류:건국훈장 애족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분류:중앙고등학교 출신]][[분류:연세대학교 출신/전신 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