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05년 MBC에서 방영된 드라마, rd1=내 이름은 김삼순)] [include(틀: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aaafff> {{{+3 '''김삼순'''(金三純)}}} || ||||<#fff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김삼순.jpg|width=100%]]}}} || ||<#aaafff> 본관 ||[[김해 김씨]] || ||<#aaafff><|2> 출생 ||[[1909년]] [[2월 3일]] || ||[[전라남도]] [[담양군|창평군]] 고현내면 고읍리[br](현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 고읍리 대팽이골)[* [[http://www.newsd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02869|#]]] || ||<#aaafff> 사망 ||[[2001년]] [[12월 11일]] (향년 92세) || ||<#aaafff> 직업 ||[[교수]] || ||<#aaafff> 학력 ||창평공립보통학교 {{{-2 (졸업)}}}[br][[경기여자고등학교|경기공립고등여학교]] {{{-2 (졸업)}}}[br][[오차노미즈여자대학|도쿄여자고등사범학교]] {{{-2 (이과 / 졸업)}}}[br][[오차노미즈여자대학|도쿄여자고등사범학교]] {{{-2 (연구과 / 수료)}}}[br][[홋카이도대학|홋카이도제국대학]] {{{-2 (이학부 [[식물학]] / [[학사]])}}}[br][[규슈대학|규슈대학 대학원]] {{{-2 ([[농학]] / [[박사]][* 박사학위논문 : [[https://ndlonline.ndl.go.jp/#!/detail/R300000001-I000009788955-00|Photoinactivation of Taka-amylase A (1966)]]])}}}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생물학자. [[http://www.mycology.or.kr/|한국균학회]]를 설립한 인물이며, 1977년에 대한민국 [[문교부]] 과학기술교육행정특보위원직을 지냈고 [[서울여자대학교]] 교수직을 맡았다. 대한민국의 [[http://www.wome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780|실질적인 최초의 여성 과학자]]로 꼽힌다. 한국 여성 '''최초'''로 농학박사[* 최초의 여성 박사는 [[송복신]]이다.] 학위를 받았으며, 조카가 [[이회창]]인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 생애 == [Youtube(Yav795fcgVQ)] 1985년 12월 3일 KBS2 <11시에 만납시다> 인터뷰 영상. 1909년 2월 3일 전라남도 창평군 고현내면 고읍리(현 담양군 고서면 고읍리 대팽이골)에서 태어나 창평공립보통학교(현 창평초등학교)를 졸업한 뒤, 1927년 [[경기여자고등학교|경기공립고등여학교]]를 졸업하였다. 이후 1933년 일본 [[오차노미즈여자대학|도쿄여자고등사범학교]][* 현재의 [[오차노미즈여자대학]]으로, 당시 [[구제전문학교]] 과정. 단, 당시 [[고등사범학교]]는 [[구제전문학교]] 중에서도 우월한 지위였다.] 이과를 졸업하였다. 졸업 후 귀국하여 1933년부터 1938년까지 [[진명여자고등학교|진명여자고등사범학교]]와 모교인 경기공립고등여학교에서 [[수학교사]] 및 [[화학교사]]를 지냈다. 다만, 학문에 대한 열망이 있었기 때문에 다시 도쿄여자고등사범학교(현, 오차노미즈여자대학) 연구과를 수료하고 1941년 [[홋카이도대학|홋카이도제국대학]] 이학부 식물학과에 입학하였다. 홋카이도제국대학에서 식물학 학사 학위를 받고 대학원에 들어가 응용균학을 연구하다가 일제강점기 말에 다시 귀국한다. 해방 후, [[서울대학교]]에서 강사로 지냈다. 1961년, 다시 일본유학을 결심하고 [[홋카이도대학]] 농학부 농예화학 연구생을 거쳐, 1966년, [[규슈대학]]에서 농학부에서 박사 학위를 받는다. 1968년 [[서울여자대학교]]에 교수로 취임했고, 1970년부터 삼성농장 대표를 맡았다. 1972년 한국균학회를 창립하였고, 1976년까지 한국균학회 회장을 맡았다. 1976년부터는 한국균학회 명예회장을 맡았다. 1977년에 대한민국 [[문교부]] 과학기술교육행정특보위원직을 지냈다. 2001년, 91살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 여담 == 김삼순 여사가 일본 유학을 시작한 도쿄여자고등사범학교(현, [[오차노미즈여자대학]])에는 당시 [[제국대학]] 첫 여성 입학자였던 '구로다 치카'와 첫 여성 박사였던 '야스이 코노가'가 교수로 재직하고 있었다. [[홋카이도제국대학]]으로의 진학도 이들과의 상담 후 내린 결정이라 한다. == 가족 관계 == * 할아버지 김용현(金庸炫) * 아버지 김재희 * 오빠 [[김홍용]](金洪鏞, 1902년 10월 3일 - 1950년 8월 15일, [[제2대 국회의원]]) * 본인 '''김삼순''' / 배우자 [[강세형]](姜世馨, 1899년 6월 21일 - 1960년 7월, [[제3대 국회의원]]) * 여동생 김사순([[이회창]]의 어머니) / 제부 [[이홍규]] * 이질 [[이회창]](前 [[대한민국]] [[국무총리]]) * 남동생 [[김문용]](金汶鏞, 1916년 6월 23일 담양 - 1995년 2월 7일, 제2대 국회의원) * 남동생 [[김성용(1918)|김성용]](金星鏞, 1918년 1월 9일 - 1999년 1월 7일, 제6대, 제7대, [[제9대 국회의원]]) [[분류:담양군 출신 인물]][[분류:김해 김씨]][[분류:이학 교수]][[분류:대한민국의 교사]][[분류:대한민국의 생물학자]][[분류:1909년 출생]][[분류:2001년 사망]] [[분류:경기여자고등학교 출신]][[분류:오차노미즈여자대학 출신]][[분류:홋카이도대학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재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