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헌 국회의원/전라남도)]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제헌-5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전라남도|{{{#cfa547 전라남도}}}]] [[진도군|{{{#cfa547 진도군}}}]])'''}}} || ||<:>''제헌 헌법 공포''||<:>→||<:>'''초대[br]김병회'''||<:>→||<:>제2대[br]???||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ed30 0%, #f0ed30 20%, #f0ed30 80%, #f0ed30)" '''{{{#000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br]{{{#000 {{{+1 김병회}}}[br]金秉會}}}'''}}}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병회.jpg |width=100%]]}}} || ||<|2> '''출생''' ||[[1916년]] [[9월 17일]] || ||[[전라남도]] [[진도군]] || || '''사망''' ||[[1987년]] [[10월 15일]] || || '''본관''' ||[[김해 김씨|김해]](金海).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 본관은 [[김해 김씨|김해]](金海). == 생애 == 1916년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에서 태어났다. 소학교를 졸업하였다. 이후 [[보통문관시험]]에 합격하였고, 이어서 조선변호사시험에 합격하였다. [[8.15 광복]] 이후 이후 [[조선일보]]사 목포지국장, 대한독립촉성 전국청년연맹 목포지부 부위원장,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목포지부 조직부장, 대한노총 목포지부 총무부장, 목포일보사 편집장 등을 지냈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전라남도]] 진도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49년 [[국회 프락치 사건]]에 연루되어 투옥되었다가, 1950년 [[6.25 전쟁]] 때 월북하였다. 사망 이후 [[재북인사릉]]에 안치되었다. == [[제헌 국회]] 활동 == * 1948년 6월 2일 헌법급정부조직법기초위원 30인 으로 뽑혔다.[* [[류성갑]],[[김옥주]],[[김준연]], [[오석주(독립운동가)|오석주]],[[윤석구]],[[신현돈(정치인)|신현돈]],[[백관수]],[[오용국]],[[최규옥]],김명인,[[이종린(1883)|이종린]],[[이훈구(1896)|이훈구]],[[류홍렬]],[[연병호]],[[서상일]],[[조헌영]],[[김익기]],[[정도영]],[[김상덕(1892)|김상덕]],[[이강우(독립운동가)|이강우]],[[허정]],[[구중회]],[[박해극]],[[김효석(1894)|김효석]],[[김병회]],[[홍익표(1910)|홍익표]],서성달,[[조봉암]],[[이윤영]],[[이청천]]. ] * 1948년 6월 10일 "헌법이 제정될 때까지 일절 법률의 공포는 국회의장이 법률 정문에 서명함으로써 효력을 발한다."라는 주장을 하였고 가결되었다.[* 재석인원 178명 가결 112표,부결 3표] * 1948년 9월 4일 국회 사무총장 [[전규홍]]이 [[유엔 총회]]에 가는것에 대하여 문제를 제기하였다.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48 || [[제헌 국회의원 선거]] (전남 제29선거구(진도군)) || '''[[무소속]]''' || '''13,032표 (55.43%)''' || '''당선 (1위) ''' || || [[분류:진도군 출신 인물]][[분류:김해 김씨]][[분류:1916년 출생]][[분류:1987년 사망]][[분류:제헌 국회의원]][[분류:북한의 인물]][[분류:재북인사릉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