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국민의힘 당협위원장/서울특별시)] ---- ||<-2> {{{#fff '''국민의힘 광진구 갑 당협위원장'''}}}[br]{{{+1 {{{#ffffff '''김병민'''}}}}}} [br]{{{#ffffff '''金炳玟 | Kim Byung-mi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병민2023.png|width=100%]]}}} || ||<|2> '''출생''' ||[[1982년]] [[2월 4일]] ([age(1982-02-04)]세) || ||[[서울특별시]] [[광진구]] || || '''거주지'''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동]] || || '''현직''' ||[[국민의힘]] 최고위원[br][[경희대학교]] [[경희대학교/학부/정경대학#s-3.2|행정학과]] 객원교수[br][[국민의힘]] [[광진구 갑]] [[당협위원장]] || || {{{#fff '''링크'''}}} ||[[https://www.facebook.com/gowith24|[[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youtube.com/channel/UCfZ9DLRB5QR0DldmFJ51kE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blog.naver.com/gowith24|[[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자녀''' ||[[딸]] 김해인, 김재인[* 2013년 출생. 이란성 쌍둥이.][br][[아들]] 김준[* 2017년 출생.] || || '''학력''' ||서울용마초등학교 {{{-2 (졸업)}}}[br][[용곡중학교]] {{{-2 (졸업)}}}[br][[대원고등학교(서울)|대원고등학교]] {{{-2 (졸업)}}}[br][[경희대학교/학부/정경대학|경희대학교 정경대학]] {{{-2 (경제통상학부 / 학사)}}}[br][[경희대학교/대학원|경희대학교 대학원]] {{{-2 (경영학 / 석사)}}}[br][[경희대학교/대학원|경희대학교 대학원]] {{{-2 (행정학 / 박사)}}} || || '''병역''' ||[[대한민국 육군]] [[병장]] 만기전역 || || '''소속 정당''' ||[include(틀:국민의힘)] || || '''구의원 선수''' ||'''1''' || || '''구의원 대수'''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6]]''' || || '''약력''' ||[[경희대학교]] 총학생회장[br]제6대 서초구의회 의원[br][[여의도연구원]] 정책자문위원[br][[경희대학교]] [[경희대학교/학부/정경대학#s-3.2|행정학과]] 겸임교수[br][[대한민국 국회|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자문위원[br][[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br][[국민의힘]] [[살리는 선거대책위원회]] 대변인[br][[국민의힘 선거대책본부]] 대변인[br][[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 || || {{{#ffffff '''별명'''}}} ||[[뱀혓바닥/ 뱀혓바닥 그리마]] ,[[간신배]] || || '''구독자''' ||21만 명[* 2022.07.03. 기준] ||}}}}}}}}} || [목차] [clearfix] == 개요 == 현 시사평론가이자 [[국민의힘]] 서울 [[광진구 갑]] [[당협위원장]]이다. [[SBS]], [[YTN]], [[연합뉴스TV]] 등의 다양한 방송에서 보수측 패널을 맡고 있으며, 현재는 [[경희대학교]] [[경희대학교/학부/정경대학#s-3.2|행정학과]] 객원교수로 출강하고 있다. == 생애 == [[1982년]] [[2월 4일]]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2000년 [[경희대학교]] 경제통상학부에 입학해 학사(2008), [[경희대학교/대학원|경희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석사(2012), 행정학 박사(2015) 학위를 취득했다. === 정치 활동 === [[한나라당]] 당적으로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초구의회 의원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5년 [[여의도연구원]]의 정책자문위원으로 활동했고 2018~2019년 [[대한민국 국회|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자문위원으로 활동했다.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출마 선언을 했다. 청년 공천 할당, 이른바 'Future Maker' 전형으로 [[미래통합당]]에서 [[광진구 갑]] 지역구에 공천되었다. 당 차원에서는 이른바 'FM(Future Maker·미래창조자)'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전혜숙]] 후보와 맞붙어 낙선했다. 2020년 5월 27일, 새로 출범하게 된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의 비대위원으로 선임되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00527165800001|#]] [[국민의힘/제1차 전당대회]] 사회자 역할을 맡았다. 2021년 [[윤석열]] 전 검찰총장 대선캠프에 합류해 대변인을 맡았다. 그리고 캠프 인선을 추가 발표하면서 "앞으로 윤석열 후보의 선거캠프 공식 명칭은 '국민캠프'"라며 "정권교체를 바라는 국민의 염원을 모아 모두 함께 참여하는 국민의 선거캠프를 만들겠다"고 했다. 이에 [[국민의힘]]은 ‘정당한 이유 없이 당명에 불복하고 당원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거나 당의 위신을 훼손했을 때’ 징계토록 한 당헌·당규에 해당하는지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준석 당대표가 8월 내로 윤 전 총장이 입당하지 않을 경우 김병민에 대한 징계가 있을 것을 예고하자 이준석을 겨냥 "추미애 전 장관의 길을 걷지 않기를 바랍니다" 라며 맞받아쳤다.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4116601|#]] 무슨 이유인지 윤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된 이후로도 인수위 및 대통령실에 입성하지 못하고 방송 패널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2022년 7월 26일, [[윤석열-권성동 텔레그램 논란]]이 발생하자 “권성동 원내대표가 의도적으로 했는지는 모르겠다.”, “이 상황을 인지하지 못했다면 심각한 문제”라고 비판했다. 그리고 “모두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텔레그램]]에는 대통령 추정 인물”이라고 주장하며 사안 확인이 우선이라고 말했으나 비슷한 시각 권성동 원내대표는 대통령과 한 대화가 맞다고 인정하면서 모양새가 이상하게 되었다. 2022년 9월 13일,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으로 선임되었다. 2023년 3월 8일, [[국민의힘 제3차 전당대회]]에서 최고위원으로 선출되었다. == 비판 및 논란 == === 친페미니즘 발언 논란 === [youtube(d_z8WRtMVs0)] 2021년 4월 [[여성징병제 청원]] 등의 [[젠더 이슈]]와 관련해 [[이준석]]과 [[진중권]]의 설전이 이어졌는데, 김병민이 KBS 더라이브에서 그날 진중권의 칼럼을 언급하며 "적을 만들지말고 친구를 만들어라"는 메시지에 동의한다면서 "정치의 본질은 갈등을 조정하는 것", "사회적 갈등에 불에 기름을 얹기보다는 어떻게 조정할지를 고민해야 하는데 갈등구도의 최전선에 맞서면서 당론으로 비쳐지는 측면이 있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 지지층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페미니즘]]에 반대하는 성향을 가진 남성들로부터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발언을 한 [[권영세(1959)|권영세]]와 함께 크나큰 공격을 당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57&aid=0001572335|#]] 한편으로 국민의힘 게시판에 김병민을 아웃시키라는 글들이 너무 많아져 결국 국민의힘 게시판의 서버가 터져버리기도 했다.[[https://m.fmkorea.com/3575196840|#]] 또한 김병민과 [[여성의당]] 로고를 합성한 짤들도 생겨났다. 참고로 이는 국민의힘 경선 때 [[윤석열]]에 대한 2030대 남성의 낮은 지지율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는 주장이 존재한다. 하지만 그의 발언들을 들여다보면 친페미니즘이라는 비판과는 달리 원론적인 말을 했을 뿐이다. [[안티페미니즘|안티 페미니스트]]가 아니라고 페미니스트인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사례들을 보면 20대 대선에서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페미니즘도 건강한 페미니즘이어야 한다"고 발언했다가 페미니스트들의 반발을 산적이 있는데, 당시 이 논란에 대해 김병민 대변인은 "젠더 갈등에 편승하지 말고 여성의 권익 신장과 관련해 정치권이 노력해야 한다는 취지이고, 그런 게 '건강한' 페미니즘이라는 의미"라며 "이런 논란을 정치적 공방으로 끌고 가는 게 나쁘다"라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79/0003536959?sid=110|#]] 2021년 4월 26일 김병민은 "젠더 논쟁에 정치가 편승해 불에 기름을 붓기보다, 어떻게 갈등을 조정하고 우리 사회의 실질적 양성평등을 구현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어디서부터 닦아 나갈지 고민하는 게 정치의 기본 역할"이라고 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5344456?sid=004|#]] 4월 28일에는 "국민의힘은 '모두의 내일을 위한 약속'을 기반으로 출범한 정당"이라며 "지역, 성별을 넘어 국민을 위한 정당이 되어야 하는데 갈등 편승은 바람직하지 않다. 갈등은 조정해야 하는 것이지 의원이 나서서 불을 붙이면 안 된다"고 말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57&aid=0001572335|#]] 또한 100분 토론에 출연해 민주당과 정의당은 페미니스트 입장을 대변하는 척 하지만 정작 박원순, 오거돈, 김종철의 성추행 파문에는 조용하며 남녀 갈등을 조장한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윤석열 후보는 극단적 페미니스트 의견을 반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 [[미국 하원의장 낸시 펠로시 패싱 사건|펠로시 패싱]] 옹호 논란 === [[MBN]]과 방송 인터뷰에서 되려 "대통령 휴가기간에 온다고 한 펠로시가 윤대통령에게 결례"라고 주장하며 억지 실드를 시전하였다. 너무 티나는 아부성 변호로 비웃음만 샀다. 펠로시는 40년생으로 윤석열 대통령과는 '''나이차가 20살'''이고, 87년 초선부터 현재까지 '''하원의원만 무려 18선을 지냈다.[* [[대한민국|우리나라]]로 치면 9선이다.] 상식적으로 봐도 아무도 해내지 못한 정치경력 35년'''으로 정계 은퇴없이 '''국익과 외교 관계를 위해 자신의 개인적 시간을 투자하면서''' 그것도 '''여든이 넘은 노구에도 불구'''하고, 고생하며 아시아를 순방하고 있는 것이다. 상황에 따라 변수가 있어 제 아무리 국가요인으로 대접을 받는다 해도 어떤 교통수단이든 오랜 시간을 타면 피로하고 뭘 해도 지루해져 시간이 잘 가지 않는걸 누구나 한 번쯤 경험한다. 그만큼 펠로시도 자신의 휴식 시간을 내다버리고 온 것인데, 특히 이러한 발언 자체가 대단히 큰 실수였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 이준석 성묘 평론 논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준석 국민의힘 대표 징계 사건)]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 수립 논란)] 2022년 8월 27일, 모 방송에 출연하여 이준석 전 대표가 자신의 SNS에 고향인 칠곡을 방문하여 묘소를 방문한 내용을 업로드한 것에 대해 칠곡은 당시 이준석과 갈등을 빚던 주호영 비대위원장의 비서실장인 [[정희용]] 의원의 지역구라며 이준석 전 대표가 주호영 비대위원장을 저격할 의도로 해당 SNS를 썼다는 평론을 했다. 김병민은 “물론 조상의 묘소를 찾아서, 이준석 전 대표가 여기에 대한 예를 갖추고자 하는 마음이 있었을 것”이라면서도 “주호영 비상대책위원장은 직무정지가 됐는데, 비대위원들은 사퇴하지 않고 존속하겠다고 하니까 한 방 쏘는 행동으로 보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57/0001686119?sid=100|#]]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712533?sid=100|#]] 이에 대해 이준석 대표는 자신의 SNS를 통해 추석을 목전에 두고 성묘를 올린 것조차도 정치적 공격의 소재로 쓰느냐며 반박했고 네티즌들 사이에서도 김병민이 상식 밖의 언행을 했다는 비판이 적지 않게 쏟아졌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3401390?sid=100|#]] [[https://n.news.naver.com/article/087/0000919621?sid=100|#]] === [[2023년 하반기 보궐선거]]에 대한 이준석 전 대표 평론 비하 === 2023년 10월 4일, 강서구 구청장 재보궐 선거에 대해 [[이준석]]이 18% 득표차로 [[더불어민주당]]이 이길것이라는 예상을 두고, 2023년 10월 5일 박재홍의 한판승부에 출연해 이준석의 이러한 평론은 “인디언식 기우제” 라고 비아냥 거렸다.[[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898671?sid=100|#]] [[https://n.news.naver.com/article/032/0003252894?sid=100|#]] [[https://n.news.naver.com/article/079/0003819464?sid=100|#]] 그는 이어 ‘이준석은 사이비평론가’다 라는 식의 힐난을 하며 [[국민의힘/제3차 전당대회|3차 전당대회]]에서도 “천아용인(천하람·허은아·김용태·이기인)이 무조건 이긴다는 많은 근거들이 있었는데 뚜껑을 열어보니 단 한 자리도 가져가지 못했다”라며 “이 전 대표는 [[제20대 대통령 선거|지난 대통령 선거]] 때에도 호남에서 20% 이상을 반드시 가져온다고 해놓고 출구조사 과정에서 사색이 됐다”며 “이 전 대표가 ‘인디언 기우제’를 하고 있다” 라고 이준석을 일방적으로 폄훼했다. 하지만 '''반전은''' 11일에 실시된 [[2023년 하반기 보궐선거|강서구청장 재보궐 선거]]에서 민주당의 [[진교훈]] 후보가 [[김태우(1975)|김태우]] 후보를 '''17.15%p 격차'''로 압승하며 김병민의 인신공격성 발언과 조롱은 그대로 빗나가며 이준석의 예상이 [[2023년 하반기 보궐선거#s-8|완벽하게 적중하여 사실상 똥통 취급을 당했다.]][* 실제로 이와 비슷한 [[윤호중/비판 및 논란#s-5|대표적인 사례]]가 있었다. 공교롭게도 2021년 [[2021년 재보궐선거|서울특별시장 재보궐 선거]]에서 발생된 발언이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2141567?sid=100|#]] [[https://n.news.naver.com/article/052/0001946035?sid=100|#]] [[https://n.news.naver.com/article/025/0003313712?sid=100|#]] 이에 대해 김병민은 자신의 경솔한 발언에 관해 사과나 언급 조차 하지 않고 모르쇠로 일관하며 이준석에 대해 ”오로지 자신만 옳고 다른 사람의 얘기는 듣지 않는 이 전 대표의 소통방식에 문제가 있다“ 공세를 이어가고 있다. 10월 18일에 박재홍의 한판승부에 재출연 하여 “이준석 대표 말대로 똑같이 하면 과거에 있는 기록들을 가지고 얘기 했던거 잖아요. 이준석 대표는 노원병에 출마 하면 안되죠. 세번 나가서 떨어졌던거 잖아요.“ 라며 얼렁뚱땅 궤변을 늘어놓으며 넘어갔다. 이준석에게 시비거는 게 한 번으로 부족했는지, 11월 10일에는 "국민의힘이 제대로 된 [[인요한 혁신위원회|역할]]을 추진한다면 이준석 전 대표의 신당은 0석"이라며 "그야말로 찻잔 속 태풍에 그칠 수 있다"고 예견하였다. 이에 대해 당사자인 이준석은 "[[팩트폭력|김병민 직업이 숫자 예측하고 못 맞히는 것 아니에요?]] 그거하고 돈 받는 사람 같던데. 그런 말 하고 나중에 틀려도 [[후안무치|뻔뻔하게 얼굴 들이밀고 나오고]] 그런 게 직업 아녜요?"라고 반응하였다.[[https://imnews.imbc.com/news/2023/politics/article/6542432_36119.html|#]] == 여담 == * 유튜브 채널도 있다. [[https://www.youtube.com/channel/UCfZ9DLRB5QR0DldmFJ51kEA|유튜브]] 2020년 5월 기준 구독자가 14만 7천여 명가량 된다. 주로 우파 성향을 띈다. 문재인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의 실정을 비판하는 내용이 다수이다.[* 특히 [[정의기억연대 위안부 피해자 이용 논란|윤미향 사태]], [[조국 사태]], [[문재인 정부의 울산시장 선거개입 의혹|울산시장 선거개입]] 등 정부여당 인사들의 비리를 많이 파헤친다.] 선거기간 중에는 [[광진구 을|옆 지역구]]의 [[오세훈]] 후보와 같이 영상을 올리기도 하였다. * 자녀는 1남 2녀가 있다. 유튜브 영상 중 자녀 탄생에 대한 비화가 있는데, 2013년 이란성 쌍둥이 딸[* 김병민 본인이 언급한 바에 따르면, 이름은 김해인, 김재인이라고 한다.]이 태어났을 때, 한 아이가 1.9kg의 미숙아였다고 한다. 품에 안기조차 어려울 정도로 위험한 상황이었으나 회복 후 건강해졌다고 한다. 이때 육아에 약간 시행착오를 겪다 보니, 4년 뒤 2017년에 아들[* 비슷한 성향의 [[채널A]] 김진 앵커와 합방했던 라이브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이름은 김준이라고 한다.]이 태어날 때 훨씬 육아에 능숙해졌다고 한다. * [[제1회 국민의힘 토론배틀 : 나는 국민의힘 대변인이다|나는 국대다]]에 진행자로 참여하였다 * 대략 2020년 중반부터 팟캐스트 [[매불쇼]]의 수요난장판 코너[* 수요미식회라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이름에서 아이디어를 따온 것이고 정치이야기를 주로 한다. --그야말로 난장판이다--]에 등장하며 주로 [[국민의힘]]을 대변하는 역할을 맡았었다. * [[윤석열]]의 대선캠프인 [[국민캠프]]에 대변인단으로 합류했다.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2010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서울 서초 다 || [include(틀:한나라당)] || '''8,255 (34.87%)''' || '''당선 (1위)''' || '''초선''' || || 2020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광진구 갑|광진 갑]] || [include(틀:미래통합당)] || 42,822 (40.60%) || 낙선 (2위) || || || {{{#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0 김병민.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0 김병민.jpg|width=100%]]}}}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000,#fff 5회 지선}}}]] {{{#000000,#fff (서울 서초구 다선거구)}}}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21대 총선}}}]] [[광진구 갑|{{{#000000,#fff (서울 광진구 갑)}}}]] ||}}}}}}}}} ||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한나라당)] || 2008 - 2012 || 정계 입문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2 - 2017 || 당명 변경 || || [include(틀:자유한국당)] || 2017 - 2020 || 당명 변경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2020 || 합당[* [[새로운보수당]], [[미래를향한전진4.0]]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국민의힘)] || 2020 - || 당명 변경 || == 참여 음반 == ||<-5>
{{{#ffffff '''2021 지금 다시 하나되어'''}}}[br]{{{-2 {{{#ffffff 2021.04.21}}}}}}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1 지금 다시 하나되어.jpg|width=100%]]}}} || || {{{#fff '''트랙'''}}} || {{{#fff '''곡명'''}}} || {{{#fff '''작사'''}}} || {{{#fff '''작곡'''}}} || {{{#fff '''편곡'''}}} || || '''01''' ||'''지금 다시 하나되어''' {{{-3 [[https://youtu.be/o8LnIB006-c|MV]]}}} || 임기훈, 최준영 || 최준영, 정진향 || 김한년 || == 둘러보기 == [include(틀:국민의힘 중앙당)]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1982년 출생]][[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사회과학 교수]][[분류:국민의힘 소속]][[분류:서울용마초등학교 출신]][[분류:대원고등학교(서울) 출신]][[분류:경희대학교 출신]][[분류:학자 출신 정치인]][[분류:교육인 출신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유튜버]][[분류:교수 출신 유튜버]][[분류:경희대학교 총학생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