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4f22, #34632a 20%, #34632a 80%, #2a4f22)" '''{{{#fff {{{+1 김병곤}}}[br]Kim Byunggon}}}'''}}}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준장김병곤프로필.jpg|width=100%]]}}} || ||<#34632a><:> '''{{{#fff 출생}}}''' ||<(> [[1966년]] || ||<#34632a><:> '''{{{#fff 복무}}}''' ||<(> [[대한민국 육군]] || ||<#34632a><:> '''{{{#fff 기간}}}''' ||<(> [[1989년]] ~ [[2022년]] || ||<#34632a><:> '''{{{#fff 학력}}}''' ||[[김해고등학교]] {{{-2 (졸업 / 9회)}}}[br][[국방대학교]] 대학원 {{{-2 (석사)}}}|| ||<#34632a><:> '''{{{#fff 임관}}}''' ||<(> [[육군사관학교]] {{{-2 (45기)}}} || ||<#34632a><:> '''{{{#fff 최종 계급}}}''' ||<(> [[준장]] || ||<#34632a><:> '''{{{#fff 최종 보직}}}''' ||<(> [[제7기동군단]] [[부군단장]] || ||<#34632a><:> '''{{{#fff 주요 보직}}}''' ||<(> [[제73보병사단]]장[br] [[제55보병사단]] [[제170보병여단|제170보병연대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육군]]의 [[군인]]. 최종 계급은 [[준장]]이다. [[김해고등학교]](9회)를 졸업하고 1985년 [[육군사관학교]] 45기로 입교하여 1989년 졸업과 함께 육군 보병 소위로 임관했다. == 주요 직위 == * '''위관급 장교''' * [[특전사]] * [[제25보병사단]] 수색대대 * [[수도방위사령부]] [[제33경비단]] * [[국방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 * '''중령''' * [[제15보병사단]] [[제38보병여단|제38보병연대]] 1대대장 * [[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인사참모부 * [[방위사업청장]] 보좌관 * '''대령''' {{{-2 2010년 11월 진급}}} * [[제55보병사단]] [[제170보병여단|제170보병연대장]] * [[대한민국 국방부차관|국방부차관]] 보좌관 *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인사기획관리과장 * '''준장''' * [[제2작전사령부]] 인사처장 * [[육군인사사령부]] 인재선발지원처장 * [[육군인사사령관]] 직무대리 * [[제73보병사단]]장 * [[제7기동군단]] [[부군단장]][* 후임은 육사 46기 [[이갑수(군인)|이갑수]] 준장이다.] * [[전역|{{{#000 '''전역'''}}}]] {{{-2 2022년 1월}}} == 여담 == * 복무 경력으로 보아 직능은 인사로 추정된다. * 한직으로 여겨지는 동원사단장 및 부군단장을 역임하였고, 준장으로 복무하던 중 육사 46기에서 소장을 배출하였다. 따라서 더 이상의 진급은 없을 것으로 보였고 예상대로 준장으로 전역하였다. * [[육군인사사령부]] 시절 전임자인 김문곤 소장이 직무대리를 거쳐 9대 사령관으로 임명된 사례인데, 김병곤 준장은 위 절차를 똑같이 밟지 못하고 직무대리만 담당하다가 향토사단장으로 영전하였다. 소장 진급의 기회였는데 그러지 못한 것은 본인으로써는 아쉬운 부분. 10대 사령관으로는 [[박동철(군인)|박동철]] 장군이 임명되었다. * 육군 장성 [[표세우]], 김용삼과 김해고등학교 및 육군사관학교 동기이다. [[분류:1966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김해고등학교 출신]][[분류:육군사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