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김밥]]을 통으로 볶는 게 아니라, 김밥을 분해해서 또는 김밥을 만들기 전 재료를 볶아서 내는 [[볶음밥]]. 집에서 해 먹어보면 알겠지만, 예상외로 간단하고 맛있는 음식이다. 김밥 속재료의 간간한 맛과 이를 살려주는 단무지의 아삭한 맛이 어우러져 먹기 좋은 편. 또한, 집에서 김밥을 싼 이후에 남는 재료나 남은 김밥을 재활용할 때에도 요긴하다. 다만 재료의 수준에 따라 맛이 꽤나 달라지기 때문에 학교 급식처럼 괴식이 될 수도 있다. 학교 급식의 경우 매우 '''높은''' 확률로 우엉 볶음밥이 되어 나온다. 아이디어는 단순하지만 왠지 김밥을 볶아 먹는다는 것이 묘하게 괴식같은 느낌을 주기 때문에 거부감이 있는 편이다. 특히 [[급식]]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아 왠지 묘한 인상을 주는 이름과 맛이 없는 급식이 나쁜 의미로 시너지를 이뤄 이미지는 썩 좋지 않다. 그래도 집에서도 만들어 먹을 수 있으며 의외로 맛이나 영양 부분에서 나쁘지 않기에 요리만 잘 한다면 맛있다. 비슷한 단순요리로 [[후리가케]] 볶음밥이 있다. == 조리법 == === 일반적인 방법 === ==== 기본 조리법 ==== * 재료: 김밥 적당량, 기름 약간 1. 먹다 남은 김밥을 볶음밥으로 만들어 놓을 양만큼 볶음 팬에 투하한다. 2. 주걱으로 밥알을 눌리면서 김밥을 분해한다. 3. 잘 볶아준다. 분해된 재료들이 자연스럽게 결합된다. === 다른 조리법 === * 재료: 김밥 재료 적당량, 기름 약간 1. 김밥 재료를 잘게 다진다. 2. 볶는다. 3. 그릇에 잘 담으면 끝. 미리 싸둔 김밥이 없을 경우 만드는 방법. 김밥 재료는 단무지를 포함해서 서너 가지 정도면 충분하다. === 응용 버전 === ==== 카레김밥볶음밥 ==== * 재료: 김밥 적당량, 기름 약간, 편으로 썬 마늘, 카레 가루 한스푼, 물 한두 스푼 1. 기름 두른 팬에 얇게 썬 마늘을 볶아 향을 낸다. 2. 카레가루 한 스푼을 물에 갠다. 3. 잘게 썬 김밥을 마늘과 함께 볶다가 중간에 카레 물을 붓고 마저 볶는다. [[해피투게더(KBS)|해피투게더]] [[야간매점]]에서 [[윤아]]와 [[효연]]이 제시한 조리법으로, 은은한 카레향이 어우러져 좀 더 맛있어진다. 사실 이전에도 이렇게 만드는 집이 꽤 있긴 했다. ==== 삼각김밥볶음밥 ==== * 재료: [[삼각김밥]], 기름 약간, 그외 1. 삼각김밥의 포장을 벗긴다. 김은 손으로 따로 찢어주는 것이 좋다. 2. 기름 두른 팬에 삼각김밥을 넣어 볶는다. 잘 풀어지도록 열심히 볶아준다. 3. 기호에 따라 굴소스나 계란 등을 첨가하면 좋다. 재료를 갖추는 것이 귀찮은 자취생들을 위한 버전. 일반 김밥볶음밥의 생명인 단무지는 없지만, 삼각김밥 속 재료에 따라 다른 맛을 즐길 수 있다는 점이 매력이다. 폐기 난 삼각김밥이 넘치는 편의점 알바생에게 추천. 다만, 삼각김밥만으로는 양념이 다소 부족한 느낌이 들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양념을 좀 더 추가하는 것이 좋다.전주비빔삼각김밥등 밥 전체가 빨갛게 양념된 종류는 별 다른 양념을 추가하지 않아도 간이 잘 맞는 편 이다. ==== 김치당면김밥볶음밥 ==== * 재료: 김밥 적당량, 김치 한 줌, 달걀 한 개, 당면 한 컵, 물, 설탕 0.2스푼, 참기름 한 스푼, 기름 약간 1. 당면은 물에 미리 불려둔다. 2. 김치를 송송 썰고, 기름을 약간 두른 팬에 설탕과 함께 1~2분 간 볶는다. 3. 불린 당면을 넣어 1~2분 정도 더 볶는다. 4. 당면이 부드러워지면 물 5스푼과 김밥을 넣고 주걱으로 으깨가며 볶는다. 5. 참기름을 넣어 마무리한다. 6. [[계란후라이]]를 해 볶음밥 위에 얹는다. == 볶음밥김밥 == 볶음밥김밥이라는 요리도 등장했다. 특징이라면 요리법이 김밥볶음밥과 정반대라는 점이다. 김밥볶음밥이 김밥 재료를 이용해서 볶음밥을 만드는 것이었다면, 볶음밥김밥은 반대로 볶음밥을 가지고 김밥을 말아서 만드는 것. 요즘은 편의점에서도 흔하게 찾아볼 수 있으며 전주비빔밥(소고기+야채), 고깃집볶음밥(돼지고기), 닭갈비볶음밥(닭고기) 등 종류도 다양하다. [[분류:볶음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