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롯데 자이언츠/코칭스태프)] ---- ||
'''{{{#fff 김민호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fff 김민호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external/s20.postimg.org/OB1995.png|width=auto&height=70]][br]'''KBO 리그 한국시리즈[br]우승반지''' || || '''[[1995년 한국시리즈|{{{#ffffff 1995}}}]]''' || ---- ||
[[파일:KIA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11.svg|width=auto&height=70]][br]'''KBO 리그 한국시리즈[BR]우승코치''' || || '''[[2017년 한국시리즈|{{{#ffffff 2017}}}]]''' || ---- ||
[[파일:2008 베이징 올림픽 로고.svg|width=auto&height=70]][br] '''2008 베이징 올림픽 야구 종목[br]{{{#d4af37 금메달(코치)}}}''' || || '''[[김경문호/2008년|{{{#FFFFFF 2008}}}]]''' || ---- [include(틀:KBO 골든글러브/유격수)] ---- || [[KBO 리그|[[파일:KBO 로고(세로형, 2013~2021).svg|width=25]]]] '''{{{#ffffff [[1995년 한국시리즈|{{{#fae7a6 KBO 한국시리즈}}}]]}}}[br]{{{#ffffff 1995 한국시리즈 MVP}}}''' || ---- [include(틀:두산 베어스 주장)] ---- ||<-5>
'''{{{#ffffff [[OB 베어스|{{{#ffffff OB}}}]]{{{/}}}{{{#fff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42번}}}''' || || 손병희[br](1990~1992) || {{{+1 →}}} || '''{{{#000 김민호[br](1993~2003)}}}''' || {{{+1 →}}} || 방승재[br](2004) || ||<-5> '''{{{#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72번}}}''' || || [[손상대(야구선수)|손상대]][br](1991~2003) || {{{+1 →}}} || '''김민호[br](2004~2012)''' || {{{+1 →}}} || [[강성우]][br](2013~2014) || ||<-5> '''{{{#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92번}}}''' || || [[최원호]][br](2011~2012) || {{{+1 →}}} || '''김민호[br](2013~2014)''' || {{{+1 →}}} || [[김동수(야구)|김동수]][br](2019~2020) || ||<-5> '''{{{#ffffff [[KIA 타이거즈|{{{#ffffff KIA 타이거즈}}}]] 등번호 72번}}}''' || || [[김용달]][br](2013~2014) || {{{+1 →}}} || '''김민호[br](2015~2019)''' || {{{+1 →}}} || [[김상훈(1977)|김상훈]][br](2021~) || ||<-5> '''{{{#ffffff [[KIA 타이거즈|{{{#ffffff KIA 타이거즈}}}]] 등번호 94번}}}''' || || [[정상옥]][br](2017~2019) || {{{+1 →}}} || '''김민호[br](2020)''' || {{{+1 →}}} || [[정상옥]][br](2021~2022) || ||<-5> '''{{{#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72번}}}''' || || [[김재걸]][br](2019~2020) || {{{+1 →}}} || '''김민호[br](2021~2023)''' || {{{+1 →}}} || 결번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번}}}''' || || || {{{+1 →}}} || '''김민호[br](2024~)''' || {{{+1 →}}} || 현역 || }}} || ---- || '''{{{#FFFFFF A대표팀 참가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주성노호/1999 야구선수권대회 엔트리)]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2김민호코치프로필사진.png|width=100%]]}}} || ||<-2> '''롯데 자이언츠 No.''' || ||<-2> '''{{{+2 김민호}}}[br]金敏浩 | Kim Minho''' || ||<|2> '''출생''' ||[[1969년]] [[3월 19일]] ([age(1969-03-19)]세) || ||[[부산광역시]] [* [[https://www.chosun.com/sports/baseball/2023/11/03/3EJO2RS3J3OUX5VNQIRWMCKK4I/?outputType=amp]] ]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월성초 - [[신라중학교(부산)|신라중]] - [[경주고등학교 야구부|경주고]] - [[계명대학교 야구부|계명대]] || || '''포지션''' ||[[유격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1993년 [[육성선수|신고선수]] ([[OB 베어스|OB]]) || || '''소속팀''' ||'''[[OB 베어스|OB]]-[[두산 베어스]] (1993~2003)''' || || '''지도자''' ||'''[[두산 베어스]] 1군 주루코치 (2004~2011)'''[* ~5월 21일] [br] [[두산 베어스]] 1군 작전·수비코치 (2011)[* 5월 22일~] [br] [[두산 베어스]] 1군 작전코치 (2012) [br] [[LG 트윈스/2군|LG 트윈스 2군]] 수비코치 (2013) [br] [[LG 트윈스]] 1군 수비코치 (2014) [br] [[KIA 타이거즈]] 1군 수비코치 (2015) [br] [[KIA 타이거즈/2군|KIA 타이거즈 2군]] 수비코치 (2016) [br] '''[[KIA 타이거즈]] 1군 수비코치 (2017~2018)''' [br] [[KIA 타이거즈]] 1군 야수총괄코치 (2019)[* ~5월 16일] [br] [[KIA 타이거즈]] 1군 수석코치 (2019)[* 5월 17일~] [br] [[KIA 타이거즈]] 잔류군 수비코치 (2020) [br] [[LG 트윈스]] 1군 수비코치 (2021) [br] [[LG 트윈스]] 1군 작전코치 (2022~2023)[* ~5월 2일] [br] [[LG 트윈스/2군|LG 트윈스 2군]] 작전코치 (2023)[* 5월 3일~] [br] [[롯데 자이언츠]] 1군 수비코치 (2024~)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주루코치 (2008~2009)''' [br]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3루·작전코치 (2023) || || '''가족''' ||장남 [[김성훈(1998)|김성훈]], 차남 [[김성원(프로게이머)|김성원]]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OB 베어스|OB]]-[[두산 베어스]]의 프랜차이즈 야구선수. 現 [[롯데 자이언츠]] 1군 수비코치. == 선수 경력 == ||<#182132> [[KBO 골든글러브|[[파일:KBO 골든글러브 로고.svg|height=40]]]] [br] [[틀:KBO 골든글러브/유격수|'''{{{#b58a5d KBO 골든글러브}}} {{{#ffffff 유격수 부문 수상자 (1995)}}}''']]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b 김민호.jpg|width=100%]]}}}|| [[경주고등학교 야구부|경주고등학교]]와 [[계명대학교 야구부|계명대학교]]를 졸업하고 [[OB 베어스]]에 신고선수로 입단했다. 이 시절 그를 픽업한 감독은 [[윤동균]]인데 1994년 [[OB 베어스 항명파동]] 때 신인급 선수인 [[권명철]], [[안경현]], [[김상진(1970)|김상진]], [[이종민(야구)|이종민]] 등이 줄줄이 짐싸서 서울로 올라갈 때 [[장원진]]과 더불어 윤 감독 옆에 남았던 소수의 선수 중 하나이다. 현역 시절 포지션은 [[유격수]]였고 빠른 발에 작전 수행 능력까지 출중해서 발만 빨랐던 [[정수근]]의 기량이 만개하기 전까지는 주로 1번타자를 맡았다. 준수한 타격에 빠른 발, 수비도 꽤 괜찮은 유격수였으나, 두산의 팬이 아니라면 아무래도 동시대에 활약하던 [[이종범]]이나 [[류지현(야구)|유지현]]에 비해 존재감이 밀리는 편. 하지만 이종범과 유지현이 둘 다 방위병 근무를 하던 1995년엔 .288의 타율과 47도루를 기록하며 웬만한 스타 유격수 못지않은 활약을 했다. 이를 바탕으로 그해 팀을 한국시리즈 우승으로 이끌며 시리즈 MVP를 차지하고, 골든글러브까지 차지하는 등 선수로서 최고의 시즌을 보냈다.[* 1995년 유지현과 이종범이 모두 방위병 복무를 하면서 규정상 홈경기만 뛰어야 했다. 이에 반해 김민호는 풀타임으로 시즌을 소화했고 소속팀 OB가 정규시즌과 한국시리즈까지 모두 우승했으며 김민호 본인도 시리즈 MVP까지 받을 정도로 한국시리즈에서 맹활약했던 게 골든글러브 수상에 영향을 줬다.] 당시 끝판왕이었던 [[이종범]]과 그 2인자급의 [[류지현(야구)|유지현]]이 있어서 그렇지, 유격수로 준수한 타율과 좋은 수비 발빠른 도루를 보여줬다. 또 하나 추가하자면 93년 OB가 쌍방울 [[김원형]]에게 [[노히트노런]]을 당했는데, 유일하게 볼넷으로 걸어나가 [[퍼펙트 게임(야구)|퍼펙트 게임]]을 막았다고 한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3050100209123001&edi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3-05-01&officeId=00020&pageNo=23&printNo=22158&publishType=00010|당시 기사]] 그 밖에 한국시리즈에 유난히 강했으며, [[1995년 한국시리즈]]에선 시리즈 MVP를 수상, 부상으로 [[쏘나타 2]] 승용차를 받기도 했다.[* 2차전에서 [[강상수]]가 밀어내기 볼넷으로 패전을 뒤집어썼는데 볼넷을 허용한 마지막 타자가 김민호였다.] 다만 그 후의 한국시리즈였던 2000년에는 평범했고 2001년에는 무릎 부상으로 인해 시즌 아웃되면서 엔트리에 들지 못했다.[* 오히려 2000년은 2차전에서 수비실책을 했다. 다만 [[홍성흔]]이 송구실책을 했던 것 인지라 김민호의 잘못은 아니다.] 2000년까지는 2할 7푼 찍으며 제 몫을 해내던 선수였지만, 2001년부터 급격히 노쇠화가 찾아오며 타격감이 떨어지기 시작했고 2002년은 주전 유격수임에도 1할대 타율을 찍고 만다. 풀타임을 뛰었다면 1997년 [[박진만]]이 기록한 0.185의 기록을 깰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 2003년 시즌 중반부터 [[손시헌]]이 유격수 주전을 차지하기 시작하자 아예 전력에서 밀려났고, 그 해 말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2004년 4월 4일 잠실 KIA전에서 베어스 구단 역사상 3번째로[* 첫번째는 1989년 [[윤동균]], 2번째는 1997년 [[박철순]].] 은퇴식을 치렀다. 여담으로 역대 1,000경기 이상 출전한 유격수 중 유격수 출장 비율(1075G/1113G)이 가장 높다. == 지도자 경력 == === [[두산 베어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50238557.2.jpg|width=100%]]}}}|| 은퇴 후 2004년부터 [[두산 베어스]]의 코치로 선임되며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보직은 주로 수비코치와 주루코치를 맡았다. 두산 주루코치 시절이던 [[2007년 한국시리즈]]에서 은근히 당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벤클이 터져서 성질부리는 [[김동주(타자)|김동주]]를 말리겠다고 다시 벤치로 불러들였지만 화가 난 김동주가 김민호 코치를 몸으로 세게 밀쳐내고 빠따를 집어던지는 모습을 보였다. 공수 교대 중엔 관중석의 관중들과 캐치볼을 하기도 하였다. 2012 시즌 후 두산과 재계약에 실패하면서 친정팀을 떠나게 되었다. 두산 팬들은 기존 김민호 코치의 평가가 좋았던 데다 김민호가 나가고 들어온 코치가 하필이면 한화 시절에 삽질로 유명한 [[김민재(내야수)|김민재]]인지라 걱정스러운 반응이었다. === [[LG 트윈스]] 1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4041201001530500098821.jpg|width=100%]]}}}|| 두산과 재계약에 실패했다는 소식이 들려오자 [[LG 트윈스]]가 코칭스태프 보강 차원에서 재빨리 그를 영입해갔다.[* 이 무렵 [[계형철]]과 [[신경식(야구)|신경식]]도 영입했고, [[경헌호]]가 은퇴하면서 2군 코치를 맡게 되었다.][* 여러가지로 보면 [[김기태(1969)|김기태]] 감독의 인맥인 듯하다. 현역 시절 동갑내기라는 걸 제외하면 인연은 없었지만 국가대표팀 코치 시절 이 둘은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우승도 경험했다.] [[LG 트윈스]]에서 [[박종호(1973)|박종호]]와 같이 2군 수비코치를 맡아 제 몫을 했으며, 그러다가 2014년 [[LG 트윈스]]의 1군 1루, 외야코치가 되었는데 LG 팬들 사이에서 평가가 꽤 좋은편이다. [[최태원(야구)|최태원]]을 몰아내고 다음년도 3루 작전코치를 해달라고 염원하는 LG 팬들이 많은 편. === [[KIA 타이거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5081101001156300079701_99_20150811170316.jpg|width=100%]]}}}|| 그런데 2014년 11월 2일, [[김기태(1969)|김기태]] 감독의 부름을 받고 [[KIA 타이거즈]]로 이적했다. 그 와중에도 김민호만 떠나고 [[최태원(야구)|최태원]]이 '또' 잔류에 성공해서 3루 코치를 맡게 되자, LG 팬들 역시 김민호 코치가 떠나는 게 아쉽다는 반응이다. 더군다나, 후임 1루 코치인 [[한혁수]]가 지도자 경력이 짧다는 점도 어느 정도 있고. [[KIA 타이거즈]] 팬들에게는 [[위아래(EXID)|위아래]] 코치라는 별명이 붙었다. 내-외야를 아우르는 수비코치 능력과 김민호 코치 특유의 학습방법이 동영상에 뜨면서 화제가 되었기 때문. 2015 시즌이 어느 정도 진행된 시점에서는 KIA 수비진들의 안정화를 가져다 주면서 투수진의 평균자책점 하락을 동시에 가져온 공로가 인정되면서 능력있는 코치로 팬들의 신뢰를 받았다. 특히 팀 실책 개수가 리그 최소 2위라는 부분이 증명하듯 영건들의 수비능력 상승과 센터라인 부재의 수비 측면에서 해결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데 일조를 했다. 하지만 2016 시즌부터는 뜬금없이 [[KIA 타이거즈/2군|2군]]으로 내려가고 [[김창희(야구)|김창희]]가 1군 수비코치로 올라오게 되었는데, 팬들 사이에서는 능력 검증된 1군 수비코치를 2군으로 보내고 무능력한 2군 코치를 1군으로 올려서 자리를 보전해줄 생각을 한다고 프런트를 까고 있다. 결국 시즌 종료 후 다시 1군으로 올라왔고, 김창희 코치가 다시 2군으로 내려갔다. 2017년 수리 불가능 판정을 받을 만큼 심각한 [[김선빈]] 위로 뜬공을 고쳤을 뿐더러, 돌글러브로 평가받던 [[최원준(1997)|최원준]]의 내야수비마저 조금씩 교정되기 시작하면서 KIA 팬들에게 찬사를 받는 중. 그렇지만 수비 시프트가 그다지 성공적이지 못한 결과가 많다. 게다가 선수단 전체적으로 수비능력이 떨어지고 있다. 근데 이건 사실 ,KIA 선수단 전체의 노화 탓도 있어서 전적으로 김민호 코치 탓으로 돌리기는 어렵다. 2019년 5월 17일, [[김기태(1969)|김기태]]가 스스로 물러나고 김기태 사단도 모두 2군으로 내려가면서, 김민호 코치는 수석코치로서 [[박흥식]] 감독대행을 보좌하게 되었다. 김기태 사단으로 분류되는 인물이었지만 능력에 대해 긍정적인 평이 제법 많았고 2020년에도 KIA의 유니폼을 입으며 수비코치로서 함께 하게 되었다. 그러나 2019년 11월 23일 안타깝게도 장남 [[김성훈(1998)|김성훈]]이 불의의 사고로 요절하며 [[참척]]의 아픔을 겪게 되었다. 팬들은 아버지로서 이 사실이 믿기지 않고 상심이 크지 않을까 걱정스러운 반응이다. 이로 인해 원래 1군 수비코치로 합류할 예정이었으나 잔류군에서 선수를 지도하는 것으로 결정했다고 한다. === [[LG 트윈스]] 2기 === 2021 시즌을 앞두고 [[류지현(야구)|류지현]] 신임 감독 체제로 출범한 LG 트윈스의 코치로 합류하며 6년 만에 LG로 돌아오게 되었다. 보직은 1군 수비코치. 공교롭게도 [[이종범]]도 주니치 연수를 마치고 LG 코치진에 합류하면서 90년대를 대표하던 유격수 3인방 김민호, 이종범, 류지현이 모두 한 팀의 코칭스태프로 활동하는 모습을 볼 수 있게 되었다. 2022 시즌 부터는 1군 작전코치로 보직이 바뀌어 경기 때 3루 주루코치를 맡고 있다. 시즌 후 감독이 류지현에서 [[염경엽]]으로 바뀌는 와중에도 재계약에 성공하면서 살아남았다. 동시에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의 작전코치도 겸임한다. 그러나 2023 시즌 초부터 팀 주루사가 21개로 리그에서 압도적으로 1위다 보니 평가가 무척 나빠졌다.[* 물론 김민호 코치의 잘못이라기 보다는 시도 때도 없이 작전을 걸어대며 나대다가 실패하는 [[염경엽]]의 책임이 더 크다.] 결국 이 여파인지 5월 3일 [[박용근]]과 보직을 맞바꿔 2군으로 내려갔다. === [[롯데 자이언츠]] === 2023년 11월 3일 OB-두산 시절 선배였던 [[김태형(1967)|김태형]] 감독의 부름을 받고 [[롯데 자이언츠]]의 1군 수비코치로 간 사실이 확인되었다. 김민호 코치의 전 소속팀 [[LG 트윈스]]가 아직 시즌이 끝나지 않았지만 1군이 아니라 2군 코치다 보니 한국시리즈를 앞두고 있는 팀 전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생각해 LG 측에서도 김민호 코치의 롯데 이적을 수락해 미리 발표한 걸로 보인다. 롯데 이적 직후부터 자이언츠TV의 마캠 영상 지분을 독식하고 있다. 작년의 [[배영수]]와 비슷하다. == 연도별 성적 == ||<-15>
{{{#000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장타율 || 출루율 || || 1993 ||<|11> [[OB 베어스|OB]]-[[두산 베어스|두산]] || 113 || 272 || .239 || 65 || 8 || 2 || 0 || 21 || 28 || 12 || 17 || .283 || .280 || || 1994 || 126 || 426 || .275 || 117 || 13 || 0 || 8 || 34 || 57 || 17 || 43 || .362 || .340 || || 1995 || 113 || 400 || .288 || 115 || 24 || 3 || 2 || 30 || '''79'''[br](3위) || '''47'''[br](2위) || 42 || .378 || .353 || || 1996 || 15 || 59 || .271 || 16 || 5 || 0 || 0 || 6 || 8 || 2 || 3 || .356 || .302 || || 1997 || 122 || 467 || .238 || 111 || 13 || '''5'''[br](5위) || 6 || 34 || 75 || '''46'''[br](3위) || 52 || .325 || .314 || || 1998 || 112 || 371 || .226 || 84 || 16 || 4 || 1 || 19 || 36 || 22 || 26 || .299 || .276 || || 1999 || 132 || 458 || .273 || 125 || 17 || 6 || 3 || 46 || 70 || '''37'''[br](4위) || 40 || .356 || .329 || || 2000 || 99 || 288 || .250 || 72 || 9 || 2 || 3 || 32 || 40 || '''23'''[br](5위) || 26 || .326 || .311 || || 2001 || 109 || 306 || .216 || 66 || 17 || 2 || 4 || 29 || 42 || 14 || 38 || .324 || .299 || || 2002 || 95 || 160 || .156 || 25 || 3 || 1 || 2 || 11 || 14 || 7 || 15 || .225 || .223 || || 2003 || 77 || 193 || .218 || 42 || 7 || 0 || 0 || 15 || 23 || 5 || 15 || .254 || .268 || ||<-2> '''[[KBO 리그|KBO]][br]통산'''(11시즌) || 1113 || 3400 || .246 || 838 || 132 || 25 || 29 || 277 || 472 || 232 || 317 || .326 || .308 || == 기타 == * 첫째 아들 [[김성훈(1998)|김성훈]]이 남양주 [[리틀야구]]단을 거쳐 [[경기고등학교 야구부|경기고등학교]]를 나왔는데, 사상 첫 3연타석 홈런을 친 적이 있다고 한다. 두산 팬들은 유망주라고 기대했었고[* 경기고는 [[두산 베어스]]의 지역 연고 학교이다.], 이후 타격부진으로 고교 3학년 때 [[투수]]로 전향했다. 그리고 [[KBO 리그/2017년/신인드래프트|2017년 신인드래프트]]에서 한화 이글스에 2차 2라운드 지명을 받아 [[한화 이글스]] 선수가 되었다. 그러나 2019년 11월 23일 [[실족사]]로 첫째 아들을 먼저 하늘로 떠나보냈다. 둘째 아들 [[김성원(프로게이머)|김성원]]은 현재 [[오버워치]] 프로게이머로 활동 중이다.[* 현역 시절 아버지의 소속팀인 두산과 등번호 42번에서 따온 doosan42가 김성원의 [[트위치]] 아이디이기도 하다. 또한 [[워싱턴 저스티스]]로 이적한 후에는 등번호로 형의 등번호인 61번을 사용 중이다.] * [[코치(스포츠)|코치]]로서는 선수들이 놀이와 훈련을 겸할 수 있도록 다채롭고 흥미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KIA 시절 '위아래'라는 별명이 붙게 된 '방망이 따라 글러브 움직이기'나 홈에 타이어 갖다 대고 타이어 중앙으로 송구하기 등 특이한 훈련들을 선보이는 등 훈련 집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을 끊지 않고 있다. * 2017년 골든 글러브 시상식에서 신혼여행을 떠난 [[안치홍]]을 대신하여 무대에 올라 수상 소감을 전했다. 참고로 본인의 커리어하이 시즌인 1995년도에 유격수 골든글러브에 선정됐는데 허리 부상으로 입원 중이었던 터라 아내가 대신 받아서 아쉬웠는데, 대리수상으로도 나와서 영광이라는 소감을 전했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5121200329117003&editNo=30&printCount=1&publishDate=1995-12-12&officeId=00032&pageNo=17&printNo=15622&publishType=00010|1995년 당시 대리 수상 사진]]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311&aid=0000803853|2017년 사진]] * 흑역사로는 현역 시절이던 1999년 10월 15일, 대전에 위치한 모 나이트클럽에서 폭행시비에 연루되어 불구속 입건된 바 있다.[[http://www.kyeonggi.com/news/articleView.html?idxno=114907|#]] 하필이면 그 해 한화와의 [[KBO 플레이오프/1999년|플레이오프]] 3차전이 끝난 시점에 사건이 발생했는데, 이 사건으로 팀 분위기가 저하됐는지 두산은 4차전에서 힘조차 못 쓰고 한화한테 시리즈를 스윕당하면서 흑역사로 남게 되었다. * [[박명환야구TV]]에 출연한 [[이경필]]의 말에 의하면 FA 선언을 앞뒀던 당시 두산의 [[정수근]]을 불러서 빠따로 때렸다고 한다. 아무리 정수근이 사고를 쳤어도, '아들이 4살이고, FA앞둔 후배를 설마 때리겠냐?' 싶었는데 엎드리게 하면서 풀스윙으로 엉덩이를 두 방 갈겼다고. 그 뒤로 정수근은 바로 두산을 떠났다고 한다. 현역 시절 폭행사건도 그렇고, 여러모로 구타에 대한 오명은 피할 수 없는 인물. * 상술했던 둘째 아들인 [[김성원(프로게이머)|김성원]]이 현재 [[오버워치]] 프로게이머로 활동 중이나, [[러너웨이]]에서 [[워싱턴 저스티스]]로 이적하는 과정에서 [[탬퍼링]] 논란이 있어서 그의 차남이 [[러너웨이]]의 해체에 일조했다는 평가를 해외에서 듣고 있다. 자세한 사건의 과정은 항목 참조.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69년 출생]][[분류:1993년 데뷔]][[분류:2003년 은퇴]][[분류:북구(울산) 출신 인물]][분류:경주고등학교 출신]][[분류:계명대학교 출신]][[분류:내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OB-두산 베어스/은퇴, 이적]][[분류:원클럽맨/야구]][[분류:KBO 한국시리즈 MV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