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문화훈장|{{{#EDE4D3 대한민국 문화훈장 수훈자}}}]]}}}''' || ||<-2> [[파일:문화보관.jpg|width=170]] || || '''연도''' || '''2020년''' || || '''이름''' || '''김문숙''' || || '''분야''' || '''무용''' || ||<-2> '''[[틀:보관문화훈장|{{{#EDE4D3 보관문화훈장(3등급)}}}]]''' || ---- ||<-2> '''{{{+1 [[국민훈장|{{{#EDE4D3 대한민국 국민훈장 수훈자}}}]]}}}''' || ||<-2> [[파일:목련장 정장.png|width=170]] || || '''연도''' || '''1973년''' || || '''이름''' || '''김문숙''' || || '''분야''' || '''무용''' || ||<-2> '''국민훈장 목련장(4등급)''' || ---- ||<-2> '''{{{#ffc700 {{{+1 김문숙}}} 金文淑}}}'''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김문숙.jpg|width=100%]]}}} || ||<|2> '''{{{#ffc700 출생}}}''' ||[[1928년]] [[12월 27일]] || ||[[서울특별시]] || || '''{{{#ffc700 사망}}}''' ||[[2023년]] [[1월 27일]] (향년 94세) || || '''{{{#ffc700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ffc700 직업}}}''' ||[[무용가]] || || '''{{{#ffc700 학력}}}''' ||[[배화여자고등학교]][br][[중앙대학교|]] {{{-2 (교육학과 / 중퇴)}}}[br]중앙대학교 개발대학원 {{{-2 (사회교육과 / 수료)}}} || || '''{{{#ffc700 경력}}}''' ||한국종합예술학교 무용원 겸임교수[br]우리춤협회 고문[br]대한민국예술원 연극영화무용분과 회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원로 한국무용가. == 생애 == 1928년 서울에서 출생하여 타고난 감각과 신체적 조건을 바탕으로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무용을 익혔다. 1970년대까지 해외 여러 나라에 한국무용의 아름다움을 알리는 데 힘썼으며 묵묵히 춤꾼으로 무대에 서길 고집했다. 1947년 조선교육무용연구소(함귀봉교육무용연구소의 전신)에서 춤을 배우기 시작했고 한국전쟁 중 부산에서 최승희의 반주자 박성옥으로부터 한국춤과 장단을 배웠다. 1960년 일본 공연을 앞두고 한국 근대무용의 선구자 조택원(1907-1976)을 만나 백년가약을 맺었다. 조택원의 춤세계를 이어가기 위해 그의 대표작들을 전수받았으며 1992년 조택원의 <가사호접>이 한국무용협회 명작무로 지정받게 되면서 그의 유작들을 보존하기 위해 1993년 서울춤아카데미를 설립했다. 1990년에는 한국무용협회 이사장 직무대행을 지내기도 했다. 대표작으로 <수궁가> <대궐> <승무> <별의 전설> 등이 있으며 1973년 대한민국 국민훈장 목련장, 1991년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예술공로상을 비롯해 많은 상을 수상했다. 2003년 대한민국예술원상, 2020년에는 보관문화훈장을 받았다. 2023년 1월 27일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4세. [[분류:대한민국의 무용가]][[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1928년 출생]][[분류:2023년 사망]][[분류:중앙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