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1932년생 정치인, rd1=김문기(정치인))] [include(틀:장릉배식록 수록자)] |||| [[파일:김문기2.jpg|width=100%]] || || '''성명''' ||김문기(金文起) || || '''초명''' ||김효기(金孝起) || || '''자''' ||여공(汝恭) || || '''호''' ||백촌(白村), 마암(馬巖) || || '''본관''' ||[[김녕 김씨]][* 당대에는 김해 김씨를 사용하였으며, 후대에 [[김녕 김씨]] 충의공파, [[김해 김씨]] 백촌공파, [[경주 김씨]] 백촌공파로 갈라진다.] || ||<|2> '''출생''' ||[[1399년]]([[정종(조선)|정종]] 1) [[2월 16일]] || ||[[경상도]] [[옥천군|옥주]] 이산현 백지리[br](현 [[충청북도]] [[옥천군]] [[이원면]] 백지리)[* [[https://www.chungbuk.go.kr/child/selectBbsNttView.do?key=2893&bbsNo=482&nttNo=145364&searchCtgry=&searchCnd=all&searchKrwd=&pageIndex=8|#]]] || ||<|2> '''사망''' ||[[1456년]]([[세조(조선)|세조]] 2) [[6월 8일]] (향년 57세) || ||[[한성부]] 서부 황화방 군기감계 군기감골[br](현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태평로(서울)|태평로1가]])[* 조선시대 군기감은 현재 [[서울특별시청]] 자리에 있었다.[[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804408&cid=49352&categoryId=49352|#]]][[http://sillok.history.go.kr/id/kga_10206008_002|#]] || || '''국적''' ||[[조선]] || || '''시호''' ||충의(忠毅) || >"그대들은 안에서 일이 성공되도록 하라. 나는 밖에서 군사를 거느리고 있으니, 비록 거역하는 자가 있다 한들 그들을 제재하는 데 무엇이 어렵겠는가?" >---- >세조실록 4권, 세조 2년 6월 8일 [목차] [clearfix] == 소개 == [[조선]] 전기의 인물. == 생애 == 1399년(정종 1) 2월 16일 경상도 옥주 이산현 백지리(현 충청북도 옥천군 이원면 백지리)에서 아버지 김관(金觀)과 어머니 [[옥천 육씨]] 육중(陸仲)의 딸 사이의 3형제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N_6JOa_1426_000487|#]] 일찍이 생원시에 급제하였으며, 1426년([[세종(조선)|세종]] 8) 식년시 문과에 병과 6위로 급제하였으나 부친상을 치르는 3년 동안 관직에 나아가지 않았다. 이후 관직에 나아가 예문관 검열, 병조 참의, 형조 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1455년 [[세조(조선)|세조]]가 왕위를 찬탈하자 공조 판서 겸 삼군도진무로 있으면서 단종 복위 운동을 추진하였다. 1456년 [[단종(조선)|단종]] 복위 운동을 하려다가 [[김질]], [[정창손]] 등이 밀고하여 발각되었고, 그해 한성부 서부 황화방 군기감계 군기감 앞에서 [[거열형]]에 처해졌다.[[http://sillok.history.go.kr/id/kga_10206008_002|#]] 그의 부인 김봉비(金奉非)와 딸 김종산(金終山)은 [[노비]]로 강등되어 각각 당시 도절제사(都節制使)였던 유수(柳洙)와 [[사헌부]] [[대사헌]]이었던 [[최항(조선)|최항]]에게 하사되었다.[[http://sillok.history.go.kr/id/kga_10209007_004|#]] 후일 단종에 충절을 바친 세 명의 중신, 삼중신(三重臣)으로 인정받았다. 1731년([[영조]] 7) 복권되었다. 1778년([[정조(조선)|정조]] 2) 충의(忠毅)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 가계 == * 원조부(8대조): 김시흥(金時興) - [[김녕 김씨]]의 시조로, [[경순왕]]의 7대손이라 한다. * 현조부: 김중원(金重源) * 고조부 : 김현(金峴) * 증조부 : 김광저(金光儲) * 조부 : 김순(金順, 1341~?) - 1376년([[우왕]] 2)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KM_5COc_1376_001215|문과 급제]], 호조 판서, 증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영의정 * 부친 : 김관(金觀) - 이조 판서, 증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영의정 * 모친 : 정경부인 [[옥천 육씨]] * 서숙부 : 김구수(金仇守) * 서숙부 : 김개질지(金介叱知) ---- * 부인 : 김봉비(金奉非)[* [[선산 김씨]] 김효정(金孝貞)의 딸이다. 김효정은 일찍이 생원시에 급제하고 1402년([[태종(조선)|태종]] 2) 식년시 문과에 동진사 15위로 급제한 뒤[[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N_6JOa_1402_000157|#]] 1427년([[세종(조선)|세종]] 9) 중시(重試) 문과에 을과 2등 6위로 급제하여[[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N_6JOa_1427_000541|#]] [[대제학]]에 오른 인물이다.] * 장남 : 김현석(金玄錫, 1420~1456) * 차남 : 김인석(金仁錫) * 3남 : 김원석(金元錫) * 4남 : 김의석(金義錫) * 5남 : 김정석(金正錫) * 6남 : 김현동(金玄仝) * 딸 : 김종산(金終山) == 사육신? == 김문기의 후손인 [[김재규]]가 [[중앙정보부]]장 재임 시절 김문기를 무리하게 [[사육신]]에 끼워넣으려 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그러나 김재규도 높이 평가하는 문중에서는 김재규는 그런 적이 없다고 한다.[* 중앙정보부장이 되기 전에는 일을 했으나, 된 후에는 참여하지 않았다고 한다.] 사실 김문기는 [[계유정난]] 관련 인물로 민신, 조극관과 함께 [[장릉배식록]]의 '''삼중신'''(三重臣)에 포함되어 있지만, 사육신의 네임밸류가 어마어마한 관계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한 듯하다. 어쨌든 조선도 공식적으로 김문기의 공을 인정하였고, 역사적인 사료에서도 그 근거 자체는 확실히 발견할 수 있으므로, 1977년 국사편찬위원회에서 김문기를 사육신에 헌창했다. 그러다가 1982년 11월 국사편찬위원회 합의 사항에서는 그런 적이 없다고 발표를 하면서 다시 복잡해졌고. 2008년 국사편찬위원회가 최초의 6인에서 변함이 없다고 1982년 합의 사항을 재확인했다. 이 때문에 공식적으로 김문기는 사육신 명단에 포함되지 않는다. 그런데 노량진동에 있는 [[사육신공원]]에선 또 김문기를 사육신의 한 사람으로 소개하고 있다. [[분류:조선의 문관]][[분류:1399년 출생]][[분류:김녕 김씨]][[분류:옥천군 출신 인물]][[분류:1456년 사망]][[분류:거열형된 인물]][[분류:사육신]]